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시/박기평] 손무덤

  • 등록일
    2004/08/15 19:04
  • 수정일
    2004/08/15 19:04

** 시인의 이름이 박노해라고 되어 있어 본명 박기평으로 정정한다. 그는 사노맹 조건사건으로 투옥된 후 전향서를 쓰고 나왔다. 전향서를 쓴것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이전 자신의 가명인 노해라는 이름 즉, 노동해방이라는 단어를 쓸 자격은 없다고 개인적으로 판단한다. 그는 더이상 박노해가 아니기에.... 쓸 자격은 그 스스로 박탈시켰다. 이에 내가 옮기고자 한 책에 박노해라고 되어있는 이름을 내 임의로 수정하여 그의 본명 박기평으로 쓰고자 한다.

 

올 어린이날만은

안사람과 아들놈 손목 잡고

어린이 대공원이라도 가야겠다며

은하수를 빨며 웃던 정형의

손목이 날아갔다.

 

 



작업복을 입었다고

사장님 그라나다 승용차도

공장장 로얄살롱도

부장님 스텔라도 태워주지 않아

한참 피를 흘린 후에

타이탄 짐칸에 앉아 병원을 갔다.

 

기계사이에 끼여 아직 팔딱거리는 손을

기름먹은 장갑 속에서 꺼내어

36년 한많은 노동자의 손을 보며 말을 잊는다

봉천동 산동네 정형 집을 찾아

서글한 눈매의 그의 아내와 초롱한 아들놈을 보며

차마 손만은 꺼내주질 못하였다

환한 대낮에 산동네 구멍가게 주저앉아 쇠주병을 비우고

정형이 부탁한 산재관계 책을 찾아

종로의 크다는 책방을 둘러봐도

엠병할, 산더미 같은 책들 중에

노동자가 읽을 책은 두누 까뒤집어도 없고

 

화창한 봄날 오후의 종로거리엔

세련된 남녀들의 화사한 봄빛으로 흘러가고

영화에서 본 미국상가처럼

외국상표 찍힌 왼갖 좋은 것들이 휘황하여

작업화를 신은 내가

마치 탈출한 죄수처럼 쫄드만

고충 사우나빌딩 앞엔 자가용이 즐비하고

고급 요정 살롱 앞에도 승용차가 가득하고 거대한 백화점이 넘쳐흐르고

 

프로야구장엔 함성이 일고

노동자들이 칼처럼 곤두세워 좆빠지게 일할 시간에

느듯하게 즐기는 년놈들이 왜 이리 많은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얻을 수 있고

바라는 것은 무엇이든 이룰 수 있는-

선진조국의 종로거리에

나는 ET가 되어

일당 4,800원짜리 노동자로 돌아와

연장노동 도장을 찍는다

 

내 품속의 정형 손은

싸늘히 식어 푸르뎅뎅하고

우리는 손을 소주에 씻어들고

양지바른 공장 담벼락 밑에 묻는다

 

노동자의 피땀 위에서

번영의 조국을 향락하는 누런 착취의 손들을

일 안하고 놀고 먹는 하얀 손들을

묻는다

프레스로 싹둑싹둑 짖짤라

원한의 눈물로 묻는다

일하는 손들이

기쁨의 손짓으로 살아날 때까지

묻고 또 묻는다

 

--------------------------------------------------------------

시평

 

노동 계급적 관점에서 충실한 시편이다.

주지하다시피 지난 연대인 7*80년대는 자본과 노동이 격렬하게 날 선 각으로 대립하며 서로를 적으로 규정한 시대였다. 냉대와 모멸의 대상으로 떨쳐 일어나 노동이 사회 변혁의 주체로 당당히 설 수 있었던 시대이기도 했다.

 

세계 최장 시간에 최저 임금이라는 인간 이하의 부당한 차별 대우를 일방적으로 받아왔던 노동자들이 태풍으로 만나 바다의 성난 파다와 같이 그들의 적대 세력인 자본가 계급에 대해 자신들의 전 생을 걸고 온몸으로 투쟁했던 것이다. 즉, 즉자적 대중에서 대자적 민중으로 변모한 노동자들의 투쟁은 개별 사업자 단위에서 벗어나 점차 전국적 수준으로 그 규모와 세력을 강화해 나갔고 이러한 투쟁에 힘입어 점차 열악한 노동 현실의 개선이 이전에 비해 눈에 띄게 달라지게 되었다.

 

박정희 정권의 근대화 정책은 철저하게 도시 중심이었다. 이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서 이농민들이 양산되었다. 야반도주한 그들은 도시 주변에 기생하면서 산업예비군으로 신분의 전락을 겪게 된다. 자본가 계급은 성장의 열매를 독점하고 사회적 분배에는 등한하였다. 또 그들은 노동자 ㅇ미금 착취로 얻은 부의 증식을 기술에 투자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치부하는데 몰두하였다. 따라서 당시 노동자들의 생존을 위한 처절한 투쟁은 어찌 보면 역설적으로 자본가 계급이 그 당위성을 부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박기평의 시 "손무덤"은 각성한 노동자의 분노가 격정적으로 분출한 시라 할 수 있다. 시간의 풍화 작용에도 불구하고 지금에 와서 읽어 봐도 가슴이 서늘해지고 섬뜩한 느낌이 든다. 이 시에서 우리는 고상한 미학적 장치를 찾을 필요가 없다.

척박한 노동 현실 경험과 그 극복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는 이 시는 발동기의 모터 소리처럼 박짐감 있게 읽힌다.

 

우리의 노동 현실은 점차 개선과 극복이라는 자기 발전의 길을 걷고 있지만 아직도 열악과 구태의 구습을 완전히 탈각했다고 보기 어려운 형편에 놓여 있으며 더욱이 한국에 진출한 동남아시아 노동자(이주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참혹한 노동 실태는 우리의 양식와 지성을 참담하게 만든다. 상품과 소비가 지배하는 시대, 공동체 의식은 골동품 취급을 받으며 희박해져 가고 있다. 지난 연대의 고난한 역정을 우리는 너무 쉽게 잊어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해 볼 일이다.                                                                                             - 이재무 -

 

69인의 좋은 시를 찾아서 "긍정적인 밥" 중에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