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회자정리 거자필반(會者定離 去者必般)

  • 등록일
    2004/08/16 19:45
  • 수정일
    2004/08/16 19:45
 만해 한용운 선생님의 "님의 침묵"의 싯구절 -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會者定離 去者泌反) -  가사처럼 우리는 만남과 이별이라는 윤회(輪廻)의 영겁에 돌고 돌아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불교에서 이승의 삶을 죄를 닦는 수행의 삶이라 여기고 있다. 천상병 시인은 이승의 삶을 "소풍"으로 비유하였지만, 난 이승의 삶이 소풍처럼  아름답다고는 생각치 않는다. 삶은 생존과 죽음을 넘나드는 투쟁이기에...


 세상사는 이들은 나와 다르게 살아간다. 이들은 추억이라는 과거 거울보다는 내일이라는 불안정한 미래에 기대어 살아가고있다. 그래서 그들은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소유와 집착, 영원불멸의 힘을 빌려 이승이 아닌 이후 삶에 대한 욕망을 목말라 한다. 이는 집착과 광신적 열망으로 발산하다. 이는 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이다. 사고한다는 것.... 인류가 출범하고 난 기나긴 역사에서 자연숭배 사상은 이를 잘 반증하고 있다.
 
 사라진다는 것도 죽는다는 것도 다 허망하다. 만남과 이별 인연이 모진 끈에 기대어 하루하루 상상의 나래에 살아가기엔 우리내 인생이 너무 삭막하다. 그리고  우리내 부모님들 세대에게는 어제와 오늘이라는 시간보다는 내일이라는 희망에 기대어 살아 왔다. 황혼의 문턱에 들어선 지금 부모님들은 이전과 다르게 어제와 오늘에 대한 회상에 잠겨 추억이라는 낡은 앨범을 인생과 함께 정리하고 계시다. 황혼기엔 접어든 부모님들은 내일보다는 어제와 오늘에 감사히 여긴다. 인생의 고됨에서 해방되는 시기도 하다.(왁스 4집, 황혼의 문턱이라는 노래를 들어보시기를...)
 
 존재는 의식을 규정한다라는 변증법적 유물론의 문구처럼 존재하기에 때문에 사고한다이다. 이러하기에 인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망각의 강에 빠져 정쳐없이 떠도는 나그네이다. 슬픔, 기쁨 등 과 같은 추억은 시간이 흐름에 서서히  희미해져 버리고, 어느센가 인간의 또다른 아픔과 기쁨이라는 반복적 삶에 종속되어져 간다.
 그래서 어르신들은 시간이 약이라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내일보다는 어제와 오늘에 충실하고자 한다. 나의 진행형은 "아직도"이기에...
 
 주인장의 그들이 사라지는 것.....이라는 글을 읽고 그냥 만해 한용운 선생의  시(틸타라는 식물에 대한 회상 글을 보면서 주인장의 말에 대해 동감할 수 있었습니다.)
 
 천상병 시인의 시하나 올려봅니다.
 
           "새"
 
                                     천상병
 
 외롭게 살다 외롭게 죽은
 내 영혼의 빈터에
 새날이 와 새가 울고 꽃잎 필 때는
 내가 죽는 날
 그 다음날
 
 산다는 것과
 아름다운 것과
 사랑한다는 것과의 노래가
 한창인 때에
 나는 도랑과 나뭇가지에 않은
 한 마리 새
 
 정감에 가득찬 계절
 슬픔과 기쁨의 주일
 알고 모르고 잊고 하는 사이에
 새여 너는
 낡은 목청을 뽑아라
 
 살아서
 좋은 일도 있었다고
 나쁜 일도 있었다고
 그렇게 우는 한 마리 새
 
 
 간장 오타맨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