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문득, 학문은 도둑질이라는 생각이 든다. 말이 <문득>이지 사실 그렇지 않다. 잡다한 생각을 글로 옮기려다 보면 그런 잡다한 것을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좋을지 모르는 난제에 빠지게 되는데, 그때마다 구세주처럼 등장하는 말이 <문득>이라는 낱말이다.
진보넷에 블로그를 만들면서 아무런 생각 없이 라이선스 선택에서
Karl Krauss가 그랬던가 책 도둑은 도둑이 아니라고. 지적인 것은 <남의 것이 될 수 없는 내 것>(Eigentum)이 아니라 <누구 것이든 하여간 내가 소유>(Besitz)하면 된다는 이야기다. 70년대 말부터 90년대 말까지 간행되었던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번역하면서 내가 도둑질해서 쌓아놓은 <지의 창고>에 들어가 뭐 쓸만한 것이 없나 하고 들여다보니 쓸만한 것이 별로 없다. 마치, 미술박물관에서 들어가서 진품은 가만히 나두고 그림아래 붙어있는 딱지만 열심히 모아 논 것 같다. 진품을 들고 왔어야 했는데. 그래서 학문의 박물관에 잠입하여 도둑질을 다시 해야 하는 판이다. 짜증난다. 왜 그런 멍청한 좀도둑이 되어서 진품은 그대로 나두고 그런 쓸데없는 것만 잔뜩 모아놓았는지.
그러다 보니 학문의 전통은, 학문의 대행진은 큰도둑들의 대행진으로 보인다. 좀도둑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 큰도둑들은 도둑질하는 기술을 닦고 또 닦아서 진품을 귀신같이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가 된 것이 아닌가 한다. 학문 박물관의 경비가 심해졌고 또 전시품을 이리저리 나눠나 도둑질을 하기가 어렵게 되었다고 짜증만 내지 말고 어디에나 거침없이 들어가는 큰도둑이 되는 것도 한번 생각해 볼 문제다.
물론 도둑질해온 진품에 딱지를 붙이는 일은, 즉 출처를 밝히는 일은, 도둑놈이지만 신사적인 차원에서 해야겠지만.
댓글 목록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지나치게 양심적인 분이군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공장에서 일하면서 배운 것이 있다면 글쟁이들이, 즉 글을 가지고 먹고사는 사람들이 갖춰야 할 최소한의 에토스입니다. 공장에서는 정확성이 나노미터에 육박했습니다. 몇년전에 TV에서 벤츠공장에서 엔진 만드는 것으 보여준 적이 있었는데, 나노분자로 코팅한 실린더를 검증하는 것은 노동자의 손이 었습니다. 두 노동자가 코팅 검증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그들은 손가락으로 한번 쓱 만지고 지나가면 금방 인지한데요. 제대로 되었는지 그렇지 않는지. 저도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구요. 그래서 글쟁이들은 두리뭉실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자기가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엄격한 반성이지 양심이 아닙니다.부가 정보
혁사무당파
관리 메뉴
본문
정보공유라이선스 4 를 말씀하신 이유를 알겠습니다. 동의합니다.부가 정보
구인류
관리 메뉴
본문
옵셋하시는 분들은 종이 딱 들어보면 이거 무슨 종이인지 다 아세요. 예전에 공장가니까 어떤 여성노동자가 기계에서 종이 막 나오는데 백개째 나오면 딱 집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기절했더니 여기 표시있어 그러더라구요.부가 정보
구인류
관리 메뉴
본문
어디다 써야할지 난감했는데 여기가 횡설수설하는 곳이니 안성맞춤이네요. ^0^ 상품과 욕망은 변증법적으로 관계를 맺죠. 일본은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나라로 유명하죠. 에도가와 란포. 그런데 90년대에 대대적인 붐을 일으켰던 이 장르가 2000년대 들어와서 휴머니즘적인 요소를 갖춘 스토리들에 밀려났어요. 일본 중년여성들에게 배용준이 나오는 드라마가 히트를 친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가죠. 상처받은 사람들. 그런데 발군의 히트를 친 추리소설가가 있죠. 용의자 X의 헌신. 보통 추리소설은 엽기적이거나 이상심리의 소유자들이 범인인데 이 소설은 조건없는 사랑, 헌신과 같은 보편적 가치들을 다루고 있죠. 이것은 징후적인 현상입니다.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