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신현상학 서론 §7

(§7) 알없이 겨만 있는 의식이 이렇게 회의주의를 고수하고 꼼짝달싹하지 않으려고 하는데 어떻게 의식이 여러 형태를 취하게 되고 더구나 의식이 취해야 하는 형태를 하나도 빠짐없이 취한다고 할 수 있는지의 문제와 또 그 모든 형태를 서술하는 문제는[1] 의식이 어떤 형태에도 머물러 안주할 수 없고 필연적으로 거기를 떠나 다른 형태를 취해야 하며[2], 또 이 모든 형태들 간에 필연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통해서 자연적으로[3] 해결될 것이다. 이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임시로나마 일반적인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하고 넘어갔겠다. 즉, 참답지 않는 의식에게 그가 비진리라고 보여주는 서술이 단지 부정적인 운동만이[4] 아니라는 점이다. 이런 운동에 관하여 자연적인 의식은 아무런 다른 이해가 없고 위와 같이 오로지 부정하는 단편적인 입장만을 취한다. 이렇게 단편적인 입장을 본질로 만들어 거기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지는 불완전한 의식의 한 형태다. 의식은 도정에서 반드시 이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그때 가면 그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날 것이다. 언급하자면 이 형태가 바로 어떤 결과에서든지 단지 순순한 무(無)만 바라볼 뿐 그 밖의 다른 것은 아무것도 보지 않으려는 회의주의다. 이 회의주의는 이와 같은 무가 어떤 것으로부터 나타나는 결과로서[5] 밑도 끝도 없이 막연하지 않고 그 어떤 특정한 것을 부정한다는 것이 새겨져 있는 무라는[6] 사실을 지워버린다. 그러나 무는 어떤 것으로부터 유래되고 이 어떤 것을 부정하는 무라고 받아들여질 때만 비로소 참다운 결과가 된다. 이렇게 무는 제한성을 갖는 어떤 것이며[7] 이와 함께 또한 어떤 내용을 갖게 된다. 그러나 회의주의는 아무런 내용이 없는 막연한 무와 공허로 끝나기 때문에 이런 추상을 떠나 다른 데로 나아갈 수 없고, 다만 뭔가 새로운 것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까 도사리고 있다가 나타나기만 하면 무엇이든지 간에 이전과 다름없는 공허한 심연에 내던져버린다. 이와 달리 결과를, 결과가 참으로 그런 것처럼, 제한된 부정으로 이해하면 결과와 동시에[8] 새로운 형태가 발생한다. 이렇게 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과도(過渡)를 통해서 의식이 일련의 행태들을 빠짐없이 취하고 통과하는 전진이 자력으로 이루어진다.



[1] 본문 ändigket der Formen des nicht realen Bewusstseins>를 이렇게 풀어 옮겼다. 회의주의를 고수하는 의식을 거기서 벗어나게 하는 일이 사실 『정신현상학』에겐 가장 골치 아픈 일이다. 그래서 이 문제는 매번 등장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가 있을 수 없다.

[2] 본문 . 여기서는 이란 동사가 갖는 <고향을 떠나다, 지금까지의 삶의 터전을 떠나다>라는 의미를 살렸다. 고향을 떠나는게 쉽지 않고 그것이 경제적이든지 다른 이유이든지 상당히 강제된 것이라는 점에서 보면 에는 강제적인 요소가 스며있다.

[3] 본문

[4] 본문 ß negative Bewegung>

[5] 본문

[6] 본문 . <제한된 부정>으로 번역되겠다. 역자는 아마 데리다의 에 더 주목하는 것 같다.

[7] 이러한 제한된 무는 <아무런 제한이 없는 무한한 무>가 아니다. 이런 <아무런 제한이 없는 무한한 무>는 경험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동시에 <무한>이라는 의미와 <경험이 대상이 되지 않는>이란 의미를 갖는다. 고대 그리스는 apeiron이라면 아연실색한다. Horror vacui의 겁보다 한층 더한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항상 정해진 것(Horizont)이 있어야 좋다고 했는지 모른다. 

[8] 본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