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신현상학 서론 §2

(§2) 오늘날에 와서는 오류에 빠지지 않을까 하는 근심걱정이 이런저런 점에 주의해야 한다고 아는 체 하고 무게를 잡는 일 없이[1] 바로 철학이 해야 하는 일에 착수하고[2] 실질적으로 인식하는[3] 학문을 불신으로 대하기까지 이르렀는데, 사태가 진정 이렇다면 이건 눈뜨고 그냥 지나갈 수 없는 일로서 이젠 역으로 이런 불신을 불신으로 대하고 오류를 범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이미 오류를 범하는 것이라고 맞섬과 동시에 이에 대한 구제책을 강구하지[4] 않을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사실 이런 근심걱정은 뭔가를 전제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그것의 이런저런 변형을 내놓고 그것에 기반하여 이리저리 몸을 사리는 궁리들을 짜내고 어떤 바라짐하지 않는 결과에 귀착하게 되는지 보여주기 일상인데, 그런 식의 전제가 정말 올바른 것인지 먼저 조사해봐야 할 일이다. 이 근심걱정이 전제하는 것을 말하자면 인식을 도구나 매체로 보는 생각이며 또한 이와 같은 인식과 우리 자신은 별다른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가장 어처구니 없는[5] 것은 절대자는 이편에 서 있고 인식은 따로[6] 저편에 서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결국 인식이 절대자와 단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식이 실재적인 것을 담은[7] 것이라는 주장과 다름이 없다. 달리 표현하면, 절대자의 외곽을 맴도는 인식은 당연히 진리밖에 있을 수 밖에 없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다운 것이라고 전제하는 짓이다. 인식에 대하여 근심걱정하는 자들이 전제하는 것을 겨우 이런 가정으로서 거기서 드러나는 것은 오류를 두려워 한다는 거창한 이름표를 붙이고 나오지만 알고 보면 사실 진리에 대한 두려움에 가깝다는 것이다.



[1] 원어 . 어떤 일을 하는데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서 일을 방해하는 사람을 독일에서는 폄하하여 äger>라고 부른다. 특히 사회개혁안을 둘러싼 논쟁에서 이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데, 거의 직업적으로 소수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를 놓고 이렇게 부른다. 정신현상학 때문에 쉘링과 헤겔이 절교하게 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정신현상학이 쉘링의 기분을 상하게 한 모양이다. 이런 점에서 역자는 정신현상학을 번역하면서 기분을 상하게 하는 헤겔의 말투(Tonlage)를 살리려고 노력한다.

[2] 원어 . 이것은 §1 와 똑 같은 내용이다. §1의 역자주 2번 참조.

[3] §1의 역자주 4번 참조

[4] 원어 . §1의 역자주 11번 참조. 헤겔은 여기서 이런 구제책을 마련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약속하는데(Versprechen), 정말 약속을 지켜 그런 구제책을 제시하는지는(einlösen) 두고 볼 일이다. 정신현상학이 바로 이 구제책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헤겔이 이 약속을 지키지 못하면 정신현상학도 역시 그가 비판하는 잡다한 것이 될 것이다. 여기서 헤겔이 어떻게 할 것인지 미리 내다보는 것 같은데(vorgreifen) 한번 믿고 따라가 보자.

[5] 원어 <vorzüglich>. <으뜸가는> 정도로 번역될 수 있겠는데, 여기서는 상당히 빈정대는 투로 사용되고 있다.

[6] 원어 ür sich>

[7] 원어 . (사실을 담은/실재를 담은)라는 의미로 번역하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