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신현상학 A. 의식 I. 감각적 확신; <바로 이것>과 사념, §6

(§6) {그런데 그런 것이 어떻게 스스로 표면에 드러나지? 대답하게 물어보면 되지…} 그럼 이제 다른 사람이 아닌 감각적 확신에게 직접 물어보자. 감각적 확신아, 너 <바로 이것, 이것>하는데 <이것>이란게 도대체 뭐냐? [말해봐.] <이것>이라는 [지시적인 것의] 이중적인 존재양식, 즉 <지금>과 <여기>라는 면을 차례로 살펴보면, 지시적인 <이것>이 [자기 모르게] 행하는 변증법이 밖으로 드러나[1],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는 자명한 <이것>못지않게, 쉽게 이해되는 형식을 취할 것이다. <지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우리는 예를 들어 <지금은 밤이다>라고 대답한다. 이런 감각적 확신이 정말 자기가 말하는 것을 담고 있는가를[2] 조사하는 데는 그리 애쓸 필요가 없고 아주 간단한 실험만 해도 충분하다. [뭔가를 항아리에 담듯이] 감각적 확신이 하는 말을[3] 써놓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뭔가를 이쪽 항아리에서 저쪽 항아리로 옮겨 담았다해서 그 뭔가가 달라지지 않듯이] 우리가 감각적 확신이 하는 말을 이렇게 옮겨 놓았다고 해서, 아니면 우리가 써놓은 종이를 [항아리를 선반에 올려놓듯이] 어딘가에 보존한다고 해서 감각적 확신이 담고 있다고 하는 것이 사라질 리가 없다. 어, 바라보니 이제 어느덧 정오다. 지금 이때 우리가 써놓은 감각적 확신이 담고 있는 것을 다시 바라보니, 어찌된 일인지 삐적 마른 뼈다귀만[4] 남아있다 아니할 수 없게 되었다.



[1]원문 <die Dialektik, die es [das Diese] an ihm hat>

[2]원문 <die Wahrheit dieser sinnlichen Gewissheit>. 여기서 <Wahrheit/진리>는 내용물의 참과 그릇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즉 <proposition>의 진리값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물 자체가 있는지 없는지를 따지는, 나아가 어떻게 있는지를 따지는 것이다.

[3]원문 <diese Wahrheit>

[4]원문 <schal/맛이 간>. 그리스어 <skeleton/해골>과 어원이 같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