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페터 한트케의 시 "Lied Vom Kindsein" 번역- 수정 1

[영원한] 아이의 노래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는 팔을 덜렁거리며 돌아다녔다.

[웅덩이를 보면 물고를 틀어 물이 흐르게 하고] 

그 도랑물이 강이 되고

그 강이 대하가 되고

바로 그 웅덩이가 바다가 되는 욕망의 세계에서 살았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는 자기가 아이라는 걸  몰랐다.

아이에겐 모든 게 살아 숨 쉬는 것이었고

살아 숨 쉬는 것은 모두 하나였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는 그 어느 것에도 굳어진 생각이 없었고

몸에 베인 행동이 없었다.

종종 책상다리를 하고 앉았다가

뜬금없이 뛰기도 했고 

  머리엔 가마가 그대로 보였고

사진 찍을 때 딴 얼굴이 되지 않았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그때 아이는 이런 것들이 헷갈렸다.

왜 나는 나지, 왜 네가 아니지?

왜 나는 여기에 있지, 왜 저기에 있지 않지?

언제 시간이 시작했지? 어디에 공간의 끝이 있지?

대낮에 뛰노는 것과 꿈꾸는 것이 어떻게 다르지?

내가 보고 듣고 냄새 맡는 것이  

단지 세계 앞 세계의 가상일뿐이 아닐까?

악이 있고 정말 악한 사람들이

있다는 게 사실일까?

어떻게 지금 이렇게 있는 내가

이렇게 되지 전에는 있지 않았다는 것과

이렇게 있는 내가 언젠가

더 이상 이렇게 있지 않게 된다는 게 가능하지?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는 시금치가, 완두콩이, 우유쌀죽이,

데친 콜리플라워가 밥상에 올라오면 입을 봉했다.

이젠 이런 모든 걸 먹는다. 챙겨 먹기도 한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는 언젠가 낯선 침대에서 깨어났다.

이젠 그게 반복된다.  

그땐 많은 사람들이 아름답게 보였지만 

이젠 운이 좋아야만 그렇다.

그땐 천국을 분명하게 그릴 수 있었다

이젠 잘해봐야 어렴풋하게 느낄 뿐이다. 

그 땐 無를 생각할 수 없었다.

지금에 와서는 無를 생각하면 소름이 끼친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는 신바람이 나게 놀았다.

이젠, 그때와 같이 뭔가에 푹  빠지는 경우는, 겨우

하는 일이 밥벌이일 경우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양식은 사과와 빵으로 충분했다.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가 펼친 손에 산열매들이 산열매들만의 촉감으로 떨어졌다. 

그 촉감이 아직 손에 남아있다.

싱싱한 호도를 잔뜩 먹고 혀가 떨떠름해졌다.  

그 떨떠름함이 아직 혀에 남아있다.

아이는 어떤 산에 오르더라도

그 다음으로 높은 산을 동경했고

어떤 도시에 가더라도

더 큰 도시를 동경했다
그 동경은 여전하다.

나무 꼭대기 올라가 팔을 뻗어 버찌를 딸 때의 짜릿한 느낌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낯선 사람들 앞에서 항상 수줍어했다

수줍음은 여전하다. 

첫눈을 기다렸다

여전히 그때처럼 첫눈을 기다린다.
 
내 안에 있는 아이가 온통 아이였을 때

  아이는 막대기 하나를 창 삼아 선악과나무에1 던졌다 

그 창이, [내 마음 안2] 그 자리에서, 오늘도 파르르 떨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 "den Baum"을 이렇게 번역했다. 여기서 나무는 정관사가 사용된바 앞에서 언급된 나무를 이야기하거나 아니면 독자의 세계지식을 참조한다. 앞에서 언급된 나무는 버찌나무일 뿐인데 맥락상 버찌나무가 참조의 대상이 아니다. 텍스트로 돌아가기
  2. "da"는 바깥세계의 "저기"라기보다는 심적으로 다다를 수 있는 "저기"라는 의미임을 이렇게 번역함.텍스트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