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의자놀이>를 놓고 진행되는 의자놀이를 어디까지 마르크스 <자본론> 1권 마지막 부분 “이른 바 본원적 축적”에 기대어 해석할 수 있을까?
- “enclosure of commons”가 지적-문화적 공간에서도 진행된다.
- 지적-문화적 공간의 “식민지화”도 땅차지하기(Landnahme) 및 토지분할(Parzellierung)과 유사하게 진행된다.
- 똑같이 나눠주면 본원적 축적의 의미가 사라진다. 한곳으로 몰아주어 땅으로부터, 땅이 없는, 그래서 빌어먹을 수밖에 없는 “자유”가 필연이다.
- 역사적인 사실일 뿐이 배타적/독점소유를 역사 외의 혹은 이전의 사건으로 돌려 법규화하여 신성한 것으로, 손댈 수 없는 것으로 만든다.
- 시민사회/자본주의하의 인간관계는 인격체간의 관계가 아니라 배타적/독점소유관계로 매개된 법규화된 관계다.
- 이런 법규화된 관계의 현상이 계약이다.
- 계약을 통해서 타자의 배타적/독점 소유물이 아니라 이와 관련된 타자의 약속 (사용허락, 양도 등등)을 취득한다. (칸트, 도덕형이상학, 1부, 법이론의 형이상학적 시원, §20)
- 자유로운, 자유의지만을 갖는 자본주의하의 가상 주체(Subjekt)는 사회현실에서 깔아뭉개진 자(Subjekt)일 뿐이다.
- 이런 상황에서의 주체성고집은 법체계의 기능과 작동에 기댈 수밖에 없다.
- 이런 법체계를 파기하는 것은 다른 문제다. 진정성의 문제가 아니다. 대의의 문제도 아니다.
이런 맥락에서 공지영, 혹은 하종강의 인품을 논하거나 둘이서 잘 이야기했으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 거라는 생각은 자본주의/시민사회의 의식을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의 힘을 보지 못하는 천진난만하고 낭만적인 생각이다. 그 힘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그 힘에 이리저리 끌려 다닌다. 진정성, 진심, 헌신 등의 비과학적이고 주관적인 카테고리들이 난무한다.
2021/05/15 |
2021/03/10 |
2021/03/09 |
2021/03/08 |
2021/02/06 |
댓글 목록
일몽
관리 메뉴
본문
본원적 축적과는 아무 상관없는 문제에요. 이 사건의 시초는 공지영이 하종강의 칼럼을 인용한것에서 시작되었어요. 그리고 공지영이 인용한 칼럼에는 이선옥의 글이 인용되어있었다고 해요. 공지영은 자긴 그 글이 이선옥의 글인지 몰랐다고 주장하고 하종강은 네가 몰랐다는게 말이 되냐고 주장하면서 이 싸움이 커진거에요. 그렇게 심각하게 생각하실 필요 없어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의자놀이]관련 논쟁에서 분명해지는 것은 본원적 축적에서 소유불분명한 "commons"를 분할하여 소유가 분명하게 했던 것과 같이 [의지놀의]의 이 부분은 하종강이 것, 이 부분은 이순옥이 것, 이 부분은 공지영이 것 등등 분할되었다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이런 "본원적" 논쟁이 없었다면 이런 분할이 없었겠죠.하종강(이순옥)-공지영 논쟁은 "내것을 니가 내 허락없이 맘대로 사용했다"라는 것인데 이것은 "본원척 축적"을 고착화한 법체계를 전제하는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호주머니에 갖고 다닐 수 없는 지적 소유의 특성상 배타적/독점 소유에 대한 사용허락 등은 출처를 밝히는 것으로 대체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과정의 정황은 저에게 우선적인 관심이 아니구요.
공지영이 그저 하종강이를 표절했다네 하면 심각하게 생각할 사안이 전혀 아닌데, 노동운동과 노동(자/해방)문학과 연관이 있는 문제라는 생각이 들어서 좀더 뇌주름을 써야 할 문제라는 생각이 듭니다. 관련 아직 생각이 다 정리되지 않았습니다만 프레시안 2012.5.10 이선옥의 공지영에 대한 비판(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20510112034&Section=03)의 연장선에 있는 문제제기가 될 듯 합니다. 정리되는 데로 [의자놀이, 단장 3)으로 올릴까 합니다.
부가 정보
일몽
관리 메뉴
본문
내것을 니가 내 허락없이 맘대로 사용했다는 것은 무단도용이고 무단도용은 출처를 밝혀도 허락을 받지 않으면 무단도용입니다. 이 논쟁은 출처를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표절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뒤에 보면 하종강 칼럼에서 인용했다고 나와있다고 합니다. 책을 안사서 확인은 못했습니다. 첫째, 허락을 받고 출처를 밝혔으면 표절과 무단도용 둘 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둘째, 종이판에는 이선옥 글이라고 되어 있고 인터넷판에는 그런 언급이 없는데 출판사는 인터넷판을 인용했다고 합니다. 셋째, 출처도 밝히고 허락도 받았는데 인용문을 각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분명히 저자의 허락을 받아야합니다. 종합적으로 잘못은 공지영보다는 출판사에게 있습니다. 그러면 출판사에게 책을 왜 이런 식으로 만들었냐고 따지면 됩니다. 저는 이런 일보다는 번역을 날림으로 해서 독자들에게 인식의 혼란을 가져오는 행위가 더 범죄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문제에 대해서는 별로 분노하지 않는 세태가 더욱 한심스러워요.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프레시안 노정태 자유기고가의 글 2012.8.17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20817171522)부가 정보
일몽
관리 메뉴
본문
소개해주신 글 잘 읽었습니다. 노정태 말대로 사람들이 쌍차 매각의 진실을 알고싶었으면 출판사가 공지영에게 책을 의뢰했을까요? 말도 안되는 소리 하고있어. 그러면 노정태는 한국에서 출판사가 책을 기획할 때 인용할 사람들 한명한명 다 만나서 우리는 어떤 책을 구상하고 있는데 아마 당신 글은 이런 식으로 인용될 것이라고 사전에 양해를 구하고 나서 작업들어갈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나보죠. 자본 빵빵한 방송국도 그렇게는 못해요. 정 안타까우면 자기가 한번 써보던가. 기자들도 데스크에서 글 다 고치는데 뭔 소리야.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쌍용파업을 드레이퓌스의 사건과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관련 에밀 졸라의 j'accuse를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공지영의 "문화권력"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 권력이 어떻게 쓰여지는지가 문제겠지요. 문제는 역시 좌파의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