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단상: 강신주의 노숙자대하기 6 -힐링?

폐결핵에 걸리면 약이 없었던 때가 있었다. 재래식 화장실의 누적된 인분까지 긁어모아 약으로 쓸 때가 있었다. 이와 비슷한 일들이 자본주의의 병을 치료한답시고 점점 더 횡행한다.

 

‘힐링’의 인플레이션이랄까? 독일도 한국과 마찬가지다. 독일에 Eckart von Hirschhausen이라는 의사가 있는데 몇 년 전에 코믹한 일상생활 스케치로 TV에 서너 번 등장하더니 이젠 느끼할 정도로 많이 출연한다. 이 사람의 십팔번은 ‘행복’인데 한국에서 만연하는 ‘힐링’과 비슷한 이야기다. 마음과 생각을 고치라는 것. 그가 이런 주제로 강연하면 사람들이 떼거지로 몰려든다.

 

Eckart von Hirschhausen에게 첫 TV 출연 플랫폼(Harald Schmidt Late Night Show)을 제공한 Harald Schmidt와 사뭇 다르다. Hirschhausen은 “Shit happens"하고 생각을 고치라고 하는  반면 Schmidt는 스스로 ‘Shit’이 된다.  뭐 의미부여(Sinngebung) vs. 의미 없음(sinnfrei)이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국 가수 Melissa Graham과 하랄드 슈미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기 이름을 이마에 붙힌 하랄드 슈미트)

 

 

아마 강신주류의 의미부여 때문에 한국엔 대형교회가 있고 독일엔 이런 쇼가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카르트 폰 히르쉬하우젠의 쇼, 프랑크푸르트 근처에 있는 도시 훽스트의 Jajhrhunderthalle(세기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