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패러다임 생성과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작: AkalN MEDI Coordinacion

 

 

 

근데 pps 파일은 어떻게 올리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7 상부

(§7) 이제 의식이 지각행위를 펼쳐가는 가운데 실지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지켜보자. 다만, 지켜보는 우리들은/헤겔은 바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상이 전개되는 과정과 또 그 대상을 대하는 의식의 태도에서 이미 의식이 하는 경험을 내다보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의식이 어떤 모순에 빠지고 어떻게 [허기적 허우적거리면서] 앞으로 나아가는지} 이런 의식의 경험[도정]에 널려있는[1]모순의 전개과정만 살펴보면 된다. —[2]지각으로서의 자아가 파악하는 대상은 순수한 일개의 것으로 제시된다. 의식은 또한 일개로 제시되는 대상에서 드러나는 {거기에 갇혀있는} 성질을 지각한다[3]. 그런데 성질은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에 일개성[4]안에 머무를 수 없고 일개성을 넘어 밖으로 향한다. 그 결과 의식은 처음에 대상으로 자기 곁에 와 있는 것의[5] 존재가 하나로 분리된 어떤 하나의 존재라고 파악했는데, 그것이 대상의 참다운 존재가 아니었다고 하게 된다. 그리고 의식은 대상이 [자기동일성을 유지하는] 참다운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긋나는 일은[6]자기 안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결론 짖고 자기가 대상을 잘못 파악하였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되면 의식은 성질의 보편성을 담아내기 위해서 대상으로 그 곁에 와 있는 것을[7][일개라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두루뭉실한 공동체로[8]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자리를 만들어 다리 좀 쭉 펴려고 하는데 의식은 성질을 달리 파악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자리에서[9]의식은 Eigenschaft를[10]다시 살펴보고 Eigenschaft는 이제  대상으로 그 곁에 와 있는 다른 것과 대립하고 그것을 배제하는 독립체라고 지각하게 된다.[11]그 결과 의식은 대상으로 그 곁에 와 있는 것을 다른 것들과의 공동체로, 달리 표현하면 다른 것들과 이어지는 연속성으로 규정했을 때 사실 잘못 파악했다고 하고, 오히려 독립체로서의 성질을[12]담아내기 위해서는 연속성을 절단하고 대상으로 그 곁에 와 있는 것을 배타적인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밖에 없게 된다.



[1]원문<vorhanden>

[2]이하 내용은 지각하는 의식이 무대에 등장하여 독백하는 내용이다. 제대로 번역하려면 드라마를 쓰는 것이 좋겠다.

[3]원문<gewahrwerden/알아보다, 인식하다>. <gewahr>에 스며있는<Gewahrsam/보호, 구류>란 의미의 Moment를 <갇혀있는>으로 옮겨보았다.

[4]원문<Einzelheit>. <개별성>이라 하지 않고 <일개성>으로 번역하였다. 이 낱말이 통용되는지 모르겠다.

[5]원문<das gegenständliche Wesen>. 여기서<Wesen>을<Anwesenheit>란 의미로 번역하였다.

[6]원문<das Unwahre>

[7]원문<das gegenständliche Wesen>. 위와 마찬가지로 <Wesen>을 <Anwesenheit>란 의미로 번역하였다. <Wesenheit>와 함께<귀신>이란 의미도 있는 것 같다.

[8]원문<eine Gemeinschaft überhaupt>

[9]원문<ferner>

[10]여기서<Eigenschaft>는 무슨 말인가?

[11]원문<Ich nehme nun ferner die Eigenschaft wahr als bestimmte, anderem entgegengesetzte und es ausschließende>. 알쏭달쏭한 문장이다. 여기서 <Eigenschaft>는 뭐고 또 <Eingenschaft als bestimmte>란 무슨 말인지, 그리고 뭐하고 어떻게 대립하고 배제한다는 말인지 알쏭달쏭하다. 우선 짚고 넘어가자면 성질과 다른 성질이 대립한다는 번역은 분명 오류인 것 같다. 문법상 맞지 않기 때문이다. 성질과 성질이 대립한다고 하려면 <anderem>이 아니라 여성인<Eigenschaft>를 받는 여성형<anderer>나 복수형 <anderen>이 와야 한다. 근데 남성형 <anderem>이 와 있다. 그리고 <anderem>이 다시 중성 <es>로 받아지는 것을 보면 <anderem>은 <gegenständliches Wesen>을 지시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면 <Eigenschaft>가 <gegenständliches Wesen>과 대립한다는 말인데 이건 또 무슨 말인가. 살펴보자. 현상학적 Epoché를 한 지각이 지각하는 것은 ‘뭔가 하얀 것’이다. ‘뭔가’가 두루뭉실한 공동체가 되겠고 ‘하얀 것’이 첫째 의미로서의 성질(Eigenschaft)이 되겠다. 다음 단계에서는 ‘하얀 것’이 첫째 의미로서의 다른 성질(Eigenschaft)과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뭔가’와 ‘하얀 것’이 종합된 ‘뭔가 하얀 것’이 다른 ‘뭔가 하얀 것’과 대립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렇게 보면 이 단계에서의Eigenschaft는 ‘하얀 것’을 의미하는 첫째 성질이 아니라 ‘뭔가 하얀 것’을 다 가리키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런 의미의 연장선에서 역자는 앞서 <Eigenschaft als bestimmte>를 페터 블리클레(Peter Blickle)에 기대어, 미흡하지만, 대자적으로 규정된 ‘독립체’로 번역한 적이 있다. 아무튼 헷갈린다. 지각을 다 읽어본 다음 다시 돌아와서 살펴봐야 할 문제인 것 같다.

[12]원문<Bestimmtheit der Eigenschaft>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연평도 사태관련 메모

걱정된다.

 

한반도에서의 국지전 전면화가 걱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북이 이성을 잃은 “불량국가”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역사를 보면 집단과 집단간 행동논리가 맞아 떨어지지 않아 전면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제국주의적 질서에서 헤게몬 집단과 비- 혹은 반-헤게몬 집단간의 모순은 극치로 치달을 수 있다. 아테네와 멜로스 사람들간의 관계가 그러했다. 그러나 동북아시아의 현 6자 구도아래 한반도에 국지전이 전면화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그럼 뭐가 걱정되는가?

 

남은 것은 이북과 이남의 power-political calculus일 뿐이다. 이런 차원에서 MB정권과 김정일-김정운 정권이 죽이 잘 맞는 것 같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6

(§6) {무수한 <이것>들이 언어라는 포승에 결박된 채  끌려와} 이렇게 지각의 사물이 된다.[1] 그리고 이와 같은 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에 한해서 의식은 지각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때 의식이 취하는 태도는 대상이 다가오는 대로 단지 받아들이기만 하는 순수한 파악[2]이다. 이런 순수한 파악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참다운 것이다. 순수한 파악으로서의 의식이 대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뭔가를 [자의적으로] 행한다면, 이런 행위는 [대상에] 뭔가를 더하거나 삭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진리를 변경시켜 놓을 것이다. 그래서 대상이 진리이며 보편적인 것이고 자기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이[3] 된다. 반면 의식은 가변적이고 비본질적인 것이 된다. 이것은 우리가/헤겔이 그렇게 파악하고있는 것이 아니라 지각하는 의식이 스스로 자기자신을 그렇게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4]. 그렇기 때문에 의식은 자기가 대상을 잘못 파악하고 착각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한마디로 지각하는 의식은 착각의 가능성을 품고 또 그것을 의식하고 있다. {의식이 왜 자기가 착각할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는가?} 그 이유는 보편성이란 꼰대의 지배를[5] 받고 {온통 보편성으로 도배되어 있는} 지각이 그런 보편성 안에서 {감각적 확신이 보편성에 대항하려고 기대고 있는 <바로 이것>이라는 직접적인} 타자존재의 {질} 조차[6], {감각적 확신의 망각에는 [아직]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지만} 자기에겐{지각하는 의식에겐} 곧바로 {쓸데없는 하루살이 존재로} 소멸되고 파기된다는 것을[7]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각하는 의식이 갖는 진리의 기준은 자기동일성이며[8], 그가 취하는 태도도 역시 [사물/대상의 자기동일성에 견주어] 자신을 동일한 것으로 유지하고 파악하는 일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것이 동시에 지각하는 의식에 대하여 있으므로 지각하는 의식이 취하는 태도는 결국 그의 갖가지 파악이 갖는 다양한 계기들을 서로 견주어 보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비교에서 불일치가 발생하면, 비진리는 자기동일성을 유지하는 대상에 있을 수 없고 지각행위에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지각하는 의식은 받아들인다.}



[1]원문<So ist nun das Ding der Wahrnehmung beschaffen.> <beschaffen>을<성상(性狀) 혹은 성질로 번역하지 않고(헤겔사전, 197-198쪽 참조) <가져오다, 조달하다>란 동사의 의미를 살려<어디 앞에 놓여있다>란 의미로 번역하였다.

[2]원문<reines Verhalten>

[3]원문<das sich selbst Gleiche>

[4]원문<sich>. <das Bewusstsein [ist] sich das Veränderlicher und Unwesentliche.>에서<sich>를 이렇게 좀 장황하게 번역하였다.

[5]원문<das Prinzip>

[6]원문<das Anderssein selbst>

[7]원문<als das Nichtige, Aufgehobene>. 아도르노의<부정변증법/stw113, 19쪽 이하>에 기대어 번역해 보았다.

[8]원문<Sichselbstgleichheit>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5 하부

사물의 진리는{홀로 뚝 떨어져 하나의 점을 이루는 단독성이 아니라 이런 단독성에서 해방되어} 그 점이 그가 존립하는 {<또한>이라는} 매체 안에서 다양성으로 스며들어가 그 안에서 한가락의 빛을 발하는 것이다.[1] 이와 같이 {점철된} 차이들이 {<또한>이라는 긍정적인} 무심한 매체에 속한다는 면에서 그들도 역시 단지 [즉자적으로] 자기와만 관계하고, 서로 아무런 영향을 주고받지 않는 [무심한] 보편적인 것이다. 반면, {대자적인} 부정적인 통일에 속한다는 면에서 차이들은 동시에 서로 배타적인 관계를 갖는다. 단, 차이들은 이때 필연적으로 이와 같은 대립적인 관계를 <각각의 또한>에서 제거된 Eigenschaften들과의 관계에서 드러내기 마련이다[2]. {감각적 확신이 말하는 <이것>이 사실 보편적인 것이라는} 감각적 보편성, 달리 표현하면, 감각적 확신이 행해지는 순간 바로 그 행위 자체에서 나타나는[3]{<이것이다>라는} 존재와 {<이것이 아니다>라는} 부정의 통일이 {개별적인 것을 찍어 올리는 것에서 해방되어} 비로소 Eigenschaft가 되는데, 이때 {이렇게 규정된} Eigenschaft에서는 하나라는 단일성과 순수한 보편성이 전개되어 구별되어야 하고 동시에 Eigenschaft가 이 둘을 다시 하나로 엮어야만 비로소 Eigenschaft가 되는 것이다. Eigenschaft가 이와 같이 {단일성과 보편적인 물질성이라는} 두 축으로 갈라지는 추상적인 꼰대와[4]관계할 때 비로소 <사물>이  완성된다.[5]



[1]원문<der Punkt der Einzelheit in dem Medium des Bestehens in die Vielheit ausstrahlend>.

[2]원문<haben aber diese entgegengesetzte Beziehung notwendig an Eigenschaften, die aus  i h r e m  Auch entfernt sind>. 뭔 말인지 아직 확실히 모르겠다. <aus ihrem Auch>에서 소유대명사<ihr>가 강조되었는데, 여기서<ihr>는<제각기>란 의미인 것 같다.

[3]원문<unmittelbar>

[4]원문<die reinen wesentlichen Momente>

[5]이 문단 정말 헷갈린다. 이런저런 성질이 있는 사물의 구성, 즉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존재론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아니면 지각의 현상학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헷갈린다. 소금을 예로 든 것을 보면 이런저런 성질을 지닌 사물의 구성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근데 짠맛과 흰색이 대립되고 서로 배제한다는 말은 무슨 말인가? 이런 짠맛과 저런 짠맛이 대립된다면 좀 이해가 가는데. 짠맛과 흰색이 대립된다는 것은 논리학 초보만 떼어도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걸 헤겔이 모를 리가 없고. 여기서 헤겔이 말하는 Eigenschaft는 „뭔가 하얀 것“이란 표현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는 것 같다. 헷갈리는 것은 „뭔가“도 Eigenschaft라고 하고 „하얀 것“도 Eigenschaft라고 한데 있는 것 같다. 지각의 대상이 되는 것은 „뭔가“도 아니고 „하얀 것“도 아니고 „뭔가 하얀 것“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 달리 표현하면 지각의 대상은 "산"이 아니라 "mont blanc"이고, 절대정신의 유토피아는 모든 산이 "몽블랑"과 같이 자기이름을 가지고 존재하는 그런 보편성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이런 "보편성"에 연대가 가능한 것인가? 말못하는 자연과의 연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ebaek Sanmaek, Buch 1: An-Feuerung des "Han"

Gewöhnlich schritt der Herbst unmerklich fort. Kaum fing das Schilfrohrfeld an, sich in einem Meer aus schneeweißen Blüten zu wiegen und Wildgänse und andere Zugvögel darin zu rasten, schon war es Spätherbst. Dann war es üblich, dass die weiträumigen Felder entlang dem Deich, ihres goldenen Kleides beraubt, wüst und leer waren.

 

Chung Ha-Sup stieg leichtfüssig den leicht ansteigenden, verschlungenen Weg hinauf. Es war ein einsamer Pfad, der sich schlängernd bis zum Bergrücken hinaufführte. Auf dem Bergrücken angekommen, hielt er inne und holte tief Atem ein. Die Beine schwankten kurz noch im Rhythmus des Gehens, um sogleich das Gleichgewicht wiederzufinden. Es ging auf Ende Oktober zu und die Morgenluft war schneidend kalt. Aber er hatte schon die 3 oberen Knöpfe seiner Jacke geöffnet und die Jacke sah zerknittert aus. Die Stirn, die hell und ebenmäßig war und rein anmutete, war bedeckt mit öligem Schweiß. Er atmete schwer durch den Mund und bei jedem Ausatmen hatte er den süßlichen Geruch in der Nase, dem noch die Körperwärme nachzuspüren war.  Chung Ha-Sup tastete seine Jackentasche ab und fand die zerknüllte Zigarretenschachtel, in der offenbar nur noch einige Zigaretten übrig geblieben waren. In dem Moment aber, in dem er sie in die Hand nahm, wußte er auch sofort, wie aus einem schlechten Traum hochfahrend, dass er nicht rauchen durfte. Der Griff nach der Zigarette hatte sich, nachdem er im Schutz der Dunkelheit aufgebrochen war, wohl mehr als dutzend Male wiederholt. Es war aber eine vergebliche, körperliche Regung. „Genosse Chung, geben Sie mir die Streichhölzer. Ein einziges Streichholz kann zur lebensgefährlichen Waffe werden, die Ihnen am Ende doch noch das Leben nimmt.“ Die letzten 60 Ri[1] war er durchgelaufen. Dabei durfte er sich keinen einzigen Rast erlauben. Genau so wenig konnte er sich einen Zug an der Zigarette gönnen, wonach der Körper so sehr verlangte. Vielleicht hatte der Ausschußvorsitzende aber und abermals recht mit seiner Vorkehrung. Wer weiß, was wohl geschehen wäre, wenn er ihm die Streichhölzer nicht abgenommen hätte. Hätte er dann den unwillkürlichen Griff nach der Zigarette, jenes unbezähmbare Verlangen nach einem Zug an der Zigarette bis zum Schluß überwinden können? Die ersten paar Male mochte er wohl dazu in der Lage gewesen sein. Was aber, wenn die Wiederholung sich angehäuft hätte ...  Die Gewißheit, dass er dennoch bis zum Schluss das Streichholz nicht angerührt hätte, diese Gewißheit konnte er aber nicht unmittelbar und ohne Zögern aus seinem Bewußtsein heben. Warum habe ich keinen festen Willen, dessen ich und andere sicher sind? Wie um eine Antwort auf diese Frage zu geben, ging ihm plötzlich auf, wie hart und ohne Ausdruck, wie die Oberfläche eines Steins, das Gesicht des Ausschussvorsitzenden gewesen war, als er ihm die Streichhölzer abnahm. Heißt das, dass der Vorsitzende mich längst durchschaut hat und mich besser kennt als ich selbst und deshalb die Streichhölzer abgenommen hat? Diesem unheilvollen Sinnieren folgte unvermittelt ein Schock, der sich, scharf wie das Stechen eines spitzen Nadels, vom Scheitel entlang des Rückgrates bis hin zum Gesaß fortsetzte. Es war die Furcht davor, dass seine Parteilichkeit, wenn er denn für einen so willensschwachen Menschen gehalten worden war, wohl auch in Frage stand. Plötzlich übermannte ihn eine bedrückende Angst, die den ganzen Körper ergriff und das Herz drohte zu zerspringen. Der Zweifel an der Parteilichkeit bedeutete das sichere Ende. Das war so. Mit beiden Händen hielt er das Gesicht fest umklammert und stieß einen langen Seufzer aus, der eher einem schmerzvollen Aufstöhen glich. Dabei sagte er sich, dass er doch durchgehalten hatte und die ganze Nacht hindurch gelaufen war und versuchte so, sich aufzurütteln. Und in diesem Hin und Her des Zweifels wurde er dann der Stimme gewahr, die ihm Rettung verhieß. „Die Parole ist Baekdusan-Hanlasan. Wiederholen Sie sie.“ „Baedusan-Hanlasan“. Die Parole, die er letzte Nacht vom Ausschussvorsitzenden mitgeteilt bekommen hatte, verbreitete ein wohliges Gefühl der Sicherheit in seiner Brust. Die Parole war gleich Leben. Der Verrat der Parole war gleich Durchtrennen des Hauptschlagaders der Organisation. Die Tatsache, dass er selbständig durchzuführende Agitationen erteilt bekommen hattte und in die Parole eingeweiht worden war, war ein guter Gegenbeweis dafür, wie groß das Vertrauen war, das in seine Parteilichkeit gesetzt, anstatt dass sie in Zweifel gezogen wurde.

 

„Meine Nerven sind wohl überspannt.“

 

Chung Ha-Sup sprach deutlich hörbar vor sich hin, wohl in der Absicht, um sich selbst zu beruhigen und strich sich dabei die Haare aus dem Gesicht. Der Ausschussvorsitzende wollte sicher vorbeugend dafür sorgen, dass ein schweres Unglück durch eine kleine alltägliche Unachtsamkeit verursacht wird. Es war wohl eine umsichtige und punktgenaue Maßnahme, wie man sie von dem Ausschussvorsitzenden stets gewohnt war. Er lachte selten, geriet nie in Wallung, und war immer geistesgegenwärtig. Als er aber ihn zu sich rief, war ihm doch eine gewisse Aufgeregtheit anzumerken, die er nicht verheimlichen konnte. „Die Situation entwickelt sich leicht zu unseren Ungunsten. Hören Sie genau zu, was ich nun sage. Es ist ein Befehl der Partei.“ Diese Ankündigung ließ ihn reflexartig eine starre und gespannte Haltung annehmen. Der Befehl der Partei entsprach aber keineswegs der Situation, die mit der Umschreibung „leicht zu unseren Ungunsten entwickelt“ beschrieben worden war. Was den Parteigenossen befohlen wurde, war die Flucht nach einer entscheidenden Wende. Er verharrte aber in der steifen Haltung und nahm den Befehl schweigend entgegen. Das war dem ungeschriebenen Gesetz geschuldet, dass der Parteibefehl keine dissidierende Meinung, keine zweifelnde Frage duldet. Intuitiv war aber zu spüren, dass die Lage, in der sie sich steckten, eine so kritische war, dass kein Aufschlub geduldet werden konnte. „Vor dem Tagesanbruch müssen Sie am Zielort sein. Und während der Durchführung der aufgetragenen Aktionen darf Ihre Person niemals bekannt werden.“ Dass die Hauptstraßen zu meiden und stattdessen Bergpfade zu nehmen waren und dennoch nicht geraucht werden durfte, dies war ein Zeichen dafür, dass sie von allen Seiten vom Feind umzingelt und vor dessen Augen nirgends sicher waren. Und die Nerven waren, nachdem er, gepeitscht vom Bewußtsein der Gefahr, 60 Ri ohne Pause gelaufen war, bis zum Zerreißen gespannt. Nun loderten sie auf und sprühten Funken wie ein Stück Eisen am Schweißbrenner.



[1]10 Ri sind etwa 4 Km.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5 상부

(§5) 지각의 대상이 되는 사물은, 현단계에서 요구되는 범위까지만 전개해 보면, 이상의 두 가지  계기[1] 그 어는 한쪽에만 있지 않고 양쪽 안에 있을 때 비로서 지각의 진리로서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사물의 진리는 α) 아무런 구애를 주지않고 그냥 쭉 늘어져 있는[2] {온통 하얀 보와 같은} 보편성[3], 즉 다수의 Eigenschaft들이[4] 병존하는 <또한>이라는 테두리로서, 여기서 Eigenschaft란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야기한 휠레(Hyle)와 같은} 물질 그 자체를 의미하고, β) 부정이지만 그 역시 아무런 접힘을 주지 않는 부정에 의한 통일[5], 달리 표현하면 대립적인 Eigenschaft들을 배제하는 {대자적인} 하나이며,[6] 그리고 γ) [마침내] 다수의 {개별성이 뚜렷한} 특별한 성질들Eingenschaften[7] 자체, 즉 α)와 β)로 갈라지는 두 가지 보편성의[8] 서로 관계함, 다시 말해서 <또한>이라는 무심한[9] 터전에서 그 안에 {마치 옛날에 우리 어머니들이 버리지 않고 간직한 헝겊 조각들을 호롱불 아래서 바늘로 손수 하나(!) 하나(1) 꿰매어 조각보를 만들었듯이} 서로 구별되는 [개별적인] 것들을 엮어내는 부정의 운동이다.[10]



[1]원문<Momente>

[2]원문<passive/수동적인>

[3]언어철학에서 이야기하는<외연>으로 이해하는 것이 이 부분의 이해를 돕는 것 같다. 그리고 언어철학적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헤겔과 감각적 확신간의 대결이 이루어지는 터전은 언어다.  왜냐하면 감각적 확신이 표현(Ausdruck)하는 것은 그것이 말이든 손가락으로 지시되든 표현으로서 언어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이것을 간과하면 존재적인 차원에서 사물이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이야기하게 되는데, 이때 철학은 영 희한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를 하게 된다. 생물학이 해야 할 일에 나서는 것이다.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지각에서 이야기되는 것은 세상에 있는 물건을 지시하는<명사>와 그런 명사를 포함하는 문장/명제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물론 헤겔과 감각적 확신간의 진검대결 및 승부는 언어라는 터전이 아니라<생명>이라는 터전에서 비로서 이루어지게 될 것이지만.

[4]여기서Eigenschaft를 어떻게 번역해야 좋을지 모르겠다. 헤겔이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사물의 구성되어감은 언어철학이 분석하는<표현>사용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가 있겠다. 예를 들어<고구마>라는 표현은 그 안에 아무런 구별을 두지 않고 고구마<휠레>를 갖는 모든 고구마를 포함한다(외연). 이때 고구마의 성질은 오로지<휠레>일 뿐이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의 성질이라고 할 수가 없다. 아무튼 번역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헤겔도<Eigenschaft>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부분적으로만 설명하기 때문에 독자가, 아니면 역자가 알아서 그것이 어떻게 사용되는가 분석해야 하고, 번역시 적당한 말을 찾아야 하는데 이 일이 쉽지 않다.

[5]원문<die Negation ebenso einfach>

[6]이것은<내포>와 관련해서 이해하면 도움이 되겠다. 한 개의 고구마가 내포하는 것으로서의 성질이 이야기되고 있다. 그러나<내포>가 이야기하는 성질도 독특한 성질이 아니라 모든 감자가 내포하는[보편적인] 성질이다. 외연과 내연에서 이야기 되는 성질이 독특한 성질, 즉 해남 고구마이지만 그것도 현산면 미세마을에서 무주님이 재배한 고구마 맛이 되려면 규정이 하나 더 추가되어야 한다. 

[7]헤겔은 이것이야말로 진정한<성질>이라는 한다. 배가 다 배가 아니라<나주 배>가 있듯이, 그리고 이런 식으로 <해남 무주님의 고구마>, <대구 사과> 등이 있듯이 헤겔은 여기서 개별성으로서의 성질을 이야기하고 있다.

[8]원문<Momente>

[9]원문<gleichgültig>

[10]여기서 들뢰즈가 헤겔을 제대로 이해했나 물어볼 수 있겠다.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자면, 헤겔이 지향하는 조각보와 같은 보편성을 제대로 읽었는가라는 문제와 이런 조각보를 만드는 부정이 이중 부정, 즉 부정에 대한 부정이라는 것을 제대로 이해했는가라는 문제다. 들뢰즈는 단순한 부정만 읽은 것 같다. 그러나 헤겔이 지향하는 것과 들뢰즈가 지향하는 것이 똑같이 조각보와 같은 보편성인 것 같다. 차이가 있다면 헤겔은 이중부정을 통해서 이런 조각보가 만들어진다는 것이고 들뢰즈는 "차이와 반복"을 통해서라고 하는 것 같다. 이것의 진위를 따지는 것은 역자의 능력부족으로 우선 내비둬야 겠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4

(§4) [감각적 확신의 결과에 나타난 관계를 놓고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이 보편성의 모습을 다 드러낸 것은 아니다.] 이 단계에선 오로지 {주체의 계기가 전혀 없는 실정성으로서의} 그저 있는[1]보편성의 성격만이 겨우 관찰되고 전개되었다. 그러나 보편성의 성격에는 {보편성의 [논리적인] 서술에} 포함해야 하는 다른 면도 드러나 있다. 이를 살펴보자.[2]다수의 {즉자적으로만} 규정된 성질들이 정말 그렇게 단순한 관계에서 서로 아무런 구애를 받지 않고, 전적으로 자신과의 관계 안에만 침몰되어 있다면, 그 성질들은 <규정된> 성질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규정된> 성질이란 다른 성질과 대립관계를 이루는 가운데 서로 구별되는 {대타적으로 규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 대립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는 {<또한>이라는} 매체 안에 있는 다수의 성질들이 단순한 통일을 이룰 수가 없다. {즉자적으로 규정된 성질들에게는 <또한>이라는 추상적인 매체가 순수한 본질이었다.} 그런데 이젠 부정[운동]이라는 대립도 똑같이 성질들에게 본질적인 것이 된다. {일이 이렇게 되면 다수의 성질이 서로 대립하는 가운데 함께 있는 것은 단순한 통일이 아니라} 이와 구별되는, 즉 다수가 너나 할 것 없이 아무렇게나 모여있는[3]그런 통일이 아니라, 배타적인, 다른 것을 부정하는 통일이다. 그래서 이 통일은 [<또한>이라는] 단순한 매체 밖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래서 단순한 매체란 단지 <또한>이라는 아무런 구애와 속박이 없는 통일일 뿐만 아니라, 둘을 허용하지 않는 배타적인 하나로서의 통일이기도 하다. — 하나, 이것은 부정의 힘으로서[4]자기와 단순하게[5]관계하는 가운데 다른 것을 배척하는 하나가 될 때 작용하는 힘이다. 이런 작용을 통해서 물성이 일개 사물로 규정된다. {An der Eigenschaft ist die Negation als Bestimmtheit, die unmittelbar eins ist mit der Unmittelbarkeit des Seins, welche durch diese Einheit mit der Negation Allgemeines ist; als Eins aber ist sie, wie sie von dieser Einheit mit dem Gegenteil befreit und an und für sich ist.}[6]{문제는 부정 인데} 성질Eigenschaft에서는 부정이 존재의 직접성과 직접적으로 하나를 이루는{즉자적인} 규정성으로 있다. 존재의 이런 직접성은 부정과의 이런 통일에 의해서 {모두가 자기 것만으로 꽉 채우는 대자적인} 보편적인 것이 된다. 그러나 하나로서의 성질은 이런 [자기와만 관계하는 자위행위로서의] 통일에서 벗어나 대립하는 대상과 짝이 지어진[7]즉자대자적인 존재다.



[1]원문<positiv>. 어원<ponere>을 살려 번역하였다. 청년헤겔의 사상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실정성/Positivität>에 관해서는<헤겔철학사전, 실정성, 240쪽 참조>.

[2]원문<nämlich>

[3]원문<gleichgültig>

[4]원문<das Moment der Negation>

[5]원문<auf eine einfache Weise>. 빈켈만이 말하는<edle Einfalt>가 이런 것인가?

[6]원문을 올려 보았다.

[7]원문<von dieser Einheit mit dem Gegenteil befreit>. 재미있는 표현이다. <befreien/해방시키다>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 즉 무엇으로부터(von) 무엇으로(zu) 해방하는 것이다. 근데 헤겔은 여기서<von>과<zu> 대신<von>과<mit>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mit>는 지금까지 이야기된 내용에 비춰보아 수단이나 도구의 의미일 수 없다. 그럼 여기서<mit>는 어떤 의미인가. 헤겔이 사용한<befreien/해방하다>에는<freien/짝을 찾다, 아내를 구하려 다니다>라는 의미가 스며있는 것 같다. 참고로<frei/자유로운>는<보호하다>란 의미에서<사랑하다>란 의미까지 있는<prāi>라는 인도게르만 낱말에 그 어원을 두고있다. <Liebe>에는 순수한 사랑뿐만 아니라 몸으로 성행위/성관계를 맺는 의미가 있는바, <von dieser Einheit mit dem Gegenteil befreit>은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성적쾌감을 자위행위에서 알게 되지만 짝과의 성관계에서 정말 알게 되는 것과 비교될 수 있겠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ebaek Sanmaek, Buch 1: An-Feuerung des "Han"

1. Tagesanbruch ohne Sonnenaufgang

 

Der abnehmende Mond hing – wann ist er denn aufgegangen? - windschief am östlichen Himmel. Sein Licht war, da er nun, schwindsüchtig, Nacht für Nacht ein bißchen mehr von sich abschabte, glanzlos und verlor sich im Nirgendswo, dass es einem unheimlich zumute war. Weder war das Mondlicht recht in der Lage, die Dunkelheit ganz durchzudringen, noch vermochte diese jenes souverän von sich zu weisen. Von beiden zur gleichen Hälfte durchdrungen, graute der Morgen und es war, als ob ein wässriger Nebel sich über die ganze Erde gelegt hätte. In dieser aschgrauen Fahlheit lag die Flußmündung, in die nun das Meerwasser eingedrungen war, sowie das Schilffeld, das, wie Baumwollpflanzen, die ihre Kapseln geöffnet haben, ein Meer aus weißen Blüten bildete, in einer unerreichbaren Ferne. Und der Weg auf dem langen Deich entlang der Küste setzte sich fort wie eine grau in grau gelegte Spur, an deren Ende die Kreisstadt, noch schlafend, lag. Die Felder und Dörfer jenseits der Stadt waren aber, vom mehrfachen Schleier des Halbdunkels eingehüllt, spurlos verschwunden.

 

Ki-ruk, Ki-ruk, Ki-ruk...

 

Plötzlich Rufe fortziehender Wildgänse. Sie brachen in die reglose Stille hinein und ließen die Luft vibrieren. Ein Zug von Wildgänsen flog in einer Formation, die einem seitlich und mit der Spitze nach vorn gelegten V glich, gegen Osten davon. Sie hatten noch nicht ihre Flughöhe erreicht. Anscheinend waren sie erst etwa vom Schilfrohrfeld nahe der Eisenbahnbrücke aufgestiegen. Vielleicht waren sie von einem Jäger aus dem Morgenschlaf aufgeschreckt worden und hatten sich gleich, sich dem Schlaf entreißend, auf die Flucht begeben, um dem Jäger und seinen gefährlichen Fängen zuvorzukommen. Sie hielten sich auf das offene Meer zu, das sich weitete. Da war das Schilfrohrfeld auch weiträumiger und tiefer. Sie flogen in Reih und Glied, was weise anmutete, und streuten dabei ohne Unterlass Rufe aus, deren Klang wie Glasperlen klar und durchsichtig in der luftigen Leere hallte.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Vor dem Beginn der Übersetzung von "Taebaek Sanmaek"

Heute fange ich an mit der Übersetzung von „Taebaek Sanmaek“, einem groß angelegten mehrbändigen Roman von Cho Jung Rae. Taebaek Sanmaek ist der Name eines Gebirgszugs in Korea, der wie der Rückgrat eines menschlichen Körpers die Koreanische Halbinsel stützt. Er verläuft die östliche Küste entlang; zum Westen und zum Süden hin fällt er, in vielen Nebengebirgszügen sich verlierend, hi und da für den Reisanbau geeignete, oft über weite Strecken zusammenhängende Ebenen bildend, allmählich ab und fliesst ins Meer, während er zum Osten hin steil abfällt und in die Ostsee hinab stürzt.

 

In eins mit diesem Gebirgszug ist der Roman tief in die Geschichte Koreas eingelassen. Der Zeitrahmen des Romans ist zwar das 20. Jahrhundert, genauer die Zeitspanne zwischen der Befreiung Koreas von der japanischen Okkupation im Jahr 1945 und dem Koreakrieg, der im Jahr 1950 ausbrach und bis 1953 dauerte. Aber die im Roman erzählte Geschichte schöpft von einer Ferne der Zeit, die, der geologischen Formation gleich, vieles in sich birgt und bergt und bis in die Gegenwart hinein wirkt. Der Roman spaltet und zerreißt immer noch uns Koreaner, die wir angesichts der Geschichte Zeugnis ablegen wollen.

 

Nun fange ich mit der Übersetzung des Romans an, ohne etwaige Vorkehrungen besorgt zu haben, etwa Fragen des Copyrights. Den Plan diesen Roman zu übersetzen, habe ich eigentlich schon in meiner Jugendzeit gefasst und trage seitdem mit mir herum. Die Spanne eines Menschenlebens zum Maßstab genommen, ist seitdem wirklich viel Zeit verflossen, ohne dass die Übersetzung in Angriff genommen worden wäre. Der Impetus, der einen Plan zu seiner Verwirklichung verhilft, kam von einem koreanischen Blogger-Portal, namens „Jinbo.net“, einem Portal von und für Progressive.

 

Der Roman besteht aus 10 Bänden. Ich werde dennoch langsam vorgehen müssen. Erstens bin ich nicht in der Lage, schnell zu arbeiten und zweitens besteht der Zweck der Übersetzung nicht in deren Vollendung. Im Schneckengang möchte ich als erstes Koreanisch, das meine Muttersprache ist die Sprache, die als Klang der Stimme meiner Mutter und eines bestimmten Ortes samt den Menschen, die dort von der Erde lebten, mich trägt, wieder für mich aneignen und zulgeich mir des Deutschen, das meine väterliche Sprachheimat geworden ist, versichern.

 

Ich gehe an die Arbeit wie ein Gold- oder Diamantenschlürfer sowie wie ein Bergmann. Ich mag viel an die Tage fördern. Prüfen aber müssen die anderen. Schleifen sowieso.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