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떠나는 그대를 위하여....

  • 등록일
    2008/11/16 01:22
  • 수정일
    2008/11/16 01:22

會者定離 去者必反 (회자정리 거자필반)이라는 님의 침묵의 시를 배웠을때 국어선생님이 해주신 이야기를 되새겨 봅니다.

 

그러나 저와 같이 있는 이주노동자 그/녀들과는 떠남은 있으나 만남은 어려운 현실입니다.

 

저녁 이주노동자 친구들과 함께하는 시간에서 떠나야 하는 이주노동자 그/녀들의 사연을 너무 많이 접합니다. 저의 마음과 가슴으로 담아내기에는 벅찹니다.

 

그래서 하염없이 한숨만을 쉽니다.

 

화성과 용인 남사 어느지역에서 단속반이 들어와서 연행되었다는 소식만을 듣는 것만으로 가슴을 쓸어내립니다.

 

오늘에 충실하여야 하는 저의 활동..... 만남은 지속되지 않습니다.

 

친했던 친구들의 짐을 챙겨주는 것도 이제는 힘에 겨웁니다.

언제까지 친구들의 짐을 챙기고 화성보호소와 수원출입국관리소에 전화를 걸어 친구들이 있는지 물어야 하는 것이 힘들게 다가옵니다.

 

오늘 친구들이 이야기 합니다.

우리가 죄를 많이 진겁니까? 돈을 벌어 한국경제를 발전시키는 우리가 죄를 짖고 있습니까?

사장님은 우리에게 고맙다고 회식때마다 이야기하는데 우리 죄가 무엇이길때 우리는 잡혀가고, 친구들이 떠나야 하는지 저에게 따지듯이 이야기합니다.

 

저는 이야기 할게 없어 고개만 숙였습니다.

정작 떠나야 할 것들은 따로 있는데.... 현장에서 열심히 일한 것이 죄가 되어 떠나는 친구들을 보면서 내가 살고 있는 한국의 일그러진 자화상을 발견합니다.

 

이주노동자를 잡는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정책이 과연 올바른 것이나요..... 그/녀들과 한번 진솔하게 이야기하고 삶을 나눠보시고 이야기해 보시라고.... 직업의식이 투철하지만 그래도 이주노동자 그/녀들의 눈가에 늘 고인 물고름을 한번 제대로 보시라고... 왜 그/녀들이 무섭고도 공포스러운 단속을 피해 일을 하는지 생각해 보시라고.... 숫한 질문을 던지고 싶습니다.

 

왜 떠나보내야 하는지요......

가족과 자신의 삻을 위해 남는 것이 그렇게 큰 죄인가요.

가난한 나라에서 태어나 이주노동자자 된 것이 큰 죄인가요.

 

그/녀들도 고국으로 돌아가고 싶고, 그리운 가족의 품에서 안위와 안식을 취하고 싶어합니다.

개인의 욕심이 과하다고..... 가족과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것이 죄가 되나요.

 

왜 우리는 해보지도 않고 가정만을 합니까?

이주노동자 그/녀들에게 체류자격을 부여하면 많은 수의 이주노동자들이 체류할 것이라고요.

해보지도 않고 미리 짐작하여 인원수를 제한선을 두고 단속하는 것은 결코 올바르지 않습니다.

 

우수에 젖은 그/녀들의 눈을 제대로 한번 보십시요.

이주노동자 그/녀들의 눈가를요.

한국땅에 태어나지 못하고 가난한 동남아시아에 태어나 자신의 미래를 건설하기 위해 법을 어긴것이 잘못인가요.

 

우리는 레미제라블에서의 장발장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커왔습니다.

한국 정부는 레미제발블의 장발장을 죽이는 사회입니다.

가난하기에 범죄자로 매도하는 것... 그것이 현재 법무부에서 벌이고 있는 단속추방 정책입니다.

 

무수한 구호단체들이 가난한 나라에 지급하는 지원금 보다... 이주노동자 그/녀들이 직접 자립하여 경제적 발전을 나라에 사회에 환원하는 이주노동자 생활이 그 무수한 구호활동보다 더 유의미한 활동입니다.

 

이제 그 여린 이주노동자 그/녀들의 바램인 합법화를 통한 한국사회 구성원으로 이주노동자들을 수용해 주었으면 합니다.

 

우수에 젖은 눈가를 보는 것이 괜시리 미안해 눈가 마주치는게 무서워 회피만 합니다.

우리 친구들인 아시아 이주노동자들을 위해 우리가 더 다가가지 못하지만 우리사회가 이제는 수용하기 위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해 주었으면 합니다.

 

이주노동자 그/녀들은 한국사회를 지탱하는 버팀몫입니다. 이제 우리 진지하게 정부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이주노동자 수용을 위한 고민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