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활동가인가 직원인가 질문을 하던 시절이 있었다.

  • 등록일
    2014/03/06 00:50
  • 수정일
    2014/03/06 00:50

지금 우리내 조직노동운동의 활동가들은 스스로 활동가임을 자임하지만 직원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다.
해고노동자가 그 위치를 가름하던 시기는 있었지만 그 현장에 대한 고민을 함께하지만 그 계급적 한계를 노정한 그들은 직원으로서 계급운동을 각성시키지 못하고 계급적 노동운동의 주체로서 활동가로 서지 못하고 관료적 노동운동에 편승해 있다.

그 길도 인맥이 작용하는 노동현실... 아주 부끄러운 자화상이 우리내 노동이다. 그 현실적 바탕이 작금의 노동을 만드는데 일조하였다.

노동도 현장과 동일하게 선택적 활동가 조직의 우위를 점하고 있는 곳에서 활동가들이 점철하고 있다. 지금도 그렇다. 그것을 반대하기 위해 우리 민주노총 인천본부 사태에서 그 상근자 해고 투쟁도 하였지만 여전히 그 문제는 물타기하고 있고 자기 입맛에 맛는 이들이 조직적 발전을 고려하지 않고 그 길을 가고 있다.

난 어떠한 조직이던 투쟁을 조직을 그리고 민주노조 깃발 시켜 세워 노동해방 깃발을 세울수 있는 이가 그 자리에서 그 위치에서 현장과 소통하고 연대하고 단결하는 길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 보지만 우리는 그 경향성과 조직으로서 그 자리를 아니 직장을 마련하는 활동하고 있다.

그것이 작금의 노동의 단절과 분절 현장의 경향성 뿌리의 태초이지 않을까 생각되어진다. 그 출신에 따라 위치를 지워져야 한다, 민주노총을 위시한 조직은 노동자 조직으로 노동자들이 스스로 학습, 조직, 실천하고 그 경험들을 노동자를 둘러싼 단체들과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민주노총을 위시한 그 산별에 학출 그리고 노동자 출신이라 말한 이들이 들어가서는 안된다 생각한다, 작금 그러하지 않지만 앞으로 그 경향들을 바꾸어야 한다. 노동조합부터 노동부터 노동운동부터 노동자들이 스스로 자주적으로 단결연대투쟁을 이끌어가야 한다. 이것만이 이 분절된 노동을 바꿀 희망이다, 정치를 염두한 인간들과 정치적 무르익은 경향성과의 투쟁이다 할 수 있다.

민주노총 산별은 노동자 그리고 무르익지 않았지만 노동자계급의 노동자 주체가 세워내고 만들고 각성하고 투쟁하고 실천하고 실패하더라도 다시금 일어설 수 있는 공간으로 새롭게 각성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이전부터 햇지만 지금은 절실하다.

운동의 피폐와 정파의 전투장이된 현장을 보면서 아래로부터의 조합원운동 그리고 사유를 하지 못한 활동의 졸속함을 보면서... 더욱더 절감한다.

그 사유와 사고도 하지 못한는 저열함을 보고 있는 나로서는 그것이 누군가에겐 대의겠지만....나도 그 중의 하나이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