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시/정희성] 나도내가 많이 망가졌다는 것을 안다.

  • 등록일
    2010/02/26 14:48
  • 수정일
    2010/02/26 14:48

자유인님의 [단식3일차 ] 에 관련된 글.

 

 

나도 내가 많이 망가졌다는 것을 안다
           이진명시인의 시를 읽으며

                                                    정 희 성

나는 내가 왜 이렇게 모래처럼
외로운지를 알았다
나의 불온성에 비추어
나도 내가 많이 망가졌음을 안다
그리고 모든 망가지는 것들이 한때는
새것이었음을

하지만 나에게 무슨 영광이 있었던가
두 눈을 똑바로 뜨고
세상을 바라보았으나
사람들은 내가 한쪽 눈으로만 본다고
그래서 세상을 너무 단순하게 생각한다고
세상은 그렇게 일목요연한 게 아니라고

네 자신이 다른 사람들의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의 다른 무엇일 거라고
결코 상상해서는 안된다고
환상에서 깨어나라고 이념을 내려놓으라고
그런데도 내 눈에 흙이 들어가지 전에는
버릴 수 없는 꿈이 있기에

나는 내가 많이 망가졌음을 알면서도
아직 망가지지 않았다고 우기면서
내가 더 망가지기 전에
세상이 바뀔 것이라는
희망을 버리지 않아서 그래서
나는 더 외로운 것임을 모르지 않는다
          ---정희성 시집 『돌아다보면 문득』(창비, 2008년)

* “나도 내가 많이 망가졌다는 것을 안다” 고백처럼 이렇게 말하게 될 때의 심정은 어떨까요. 시대에 대해 또는 세상에 대해 고분고분하지 않고 불온하게 대들곤 하던 그때와 비교하면 정신도 몸도 많이 망가졌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때가 누구에게나 있지요. 이 시속에서 말하는 이는 자신이 모래알처럼 외롭게 느껴지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고 합니다.

다른 이들의 편견과 질책과 비난 그런 것들과 맞서는 동안 자신도 모르게 망가지기도 했을 테고, 타협하거나 비겁하게 뒷걸음질 치다가 망가지기도 했을 겁니다. 모든 새 것이 서서히 망가져 온 과정이 그랬던 것처럼 가만히 있어도 어쩔 수 없는 세월의 힘 때문에 망가졌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내 속에 있는 또 다른 자아는 아직 망가지지 않았다고 우깁니다. 내 속에는 “내가 더 망가지기 전에 / 세상이 바뀔 것이라는 / 희망을 버리지 않”는 내가 있습니다. 그런 생각을 하며 살고 있어서 더 외로운 것이라고 말하며 스스로를 위로하기도 합니다. 살아오면서 많이 망가진 것도 사실이겠지만 이 정도라면 좀 망가졌다 해도 아직은 괜찮습니다.  

* 정희성은 1945년에 태어나 197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답청』,『저문 강에 삽을 씻고』,『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등이 있으며 김수영문학상,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의 축제 올림픽

  • 등록일
    2010/02/26 14:40
  • 수정일
    2010/02/26 14:40

연일 금메달 획득에 환호하는 광기 어린 한국사회를 보면서.... 작년 용산, 쌍차 그리고 무수히 뭍혀져 가는 투쟁들을 생각해 보게된다.

 

스포츠와 사회 분야의 색션화를 통한 자본의 지배이데올로기는 한층 더 강고한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나 자본의 심연을 드려다보면 자본은 스스로 과잉축척에 따른 위기를 포장하기 위한 장치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그 자본의 장치에 놀아나는 우리들의 단면은 동계올림픽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올림픽 초국적 자본들의 각축장으로 전락한지 이미 오래되었다. 스포츠 기업들의 각양각색 마크를 자랑하며, 금메달 딴 선수가 광고에서 나오는 모습은 어제 일이 아니다. 또한 올림픽 스폰서와 중계권을 따기 위한 자본의 각축 또한 여과없이 보여준다.

 

 한국의 경우 삼성 이건희가 올림픽 위원인 IOC 위원으로 참석하여 평창동계올림핌 유치를 위한 각축을 벌이고 있다. 그리고 금메달 행진을 한 선수들에 대한 언론의 찬사 또한 가관이 아니다. 국가간의 경쟁과 자본간의 경쟁의 단면을 올림픽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찬사보다 메달 빛에 드리워진 자본의 단면은 우리는 벤쿠버 올림픽을 보면서 세뇌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국에서 스포츠가 국민의 스포츠로 자리잡은 지는 오래되었지만 권력의 수단으로 작용된 것은 1982년 프로야구의 출범이고, 문화권력의 형성 또한 1984년 국풍을 하면서 군부쿠테타로 이룬 전두환정권 기만책으로 문화체육부가 형성되었다.

 

 1980년대 민주화와 민주주의를 외쳐부르던 지식인 노동자들의 자유에 대한 의지를 문화, 체육으로 돌리기 위한 권력의 속성이다. 이 때부터 또한 올림픽에 대한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이 이루어졌다. 태릉선수촌의 등장과 엘리트 스포츠의 발달 또한 전두환 정권이 이루어낸 아이러니한 업적이다.

 

 전두환 군부정권에 의해 만들어진 스포츠엘리트 교육은 현실교육에 그대로 반영된다. 일등만이 존재하고 나머지 선수들은 들러리에 지나지 않는다. 스포츠 선수들의 각축에 대한 찬사는 메달 빛에 금방 사그러들고.... 귀국행 아쉽다는 이야기로 일관되는 현실.....

 

 모두가 축제의 장이라는 자본의 허구성은 올림픽에서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자본의 축제의 장에 들러리이며..... 현실을 현혹하는 올림픽이라는 경기에서 진정한 스포츠정신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광기의 열기가 아닌 스포츠를 보면 좋은 것이다. 꼴지 그리고 아프리카 스키 선수, 자메이카 봅슬레이 선수들이 더욱더 찬사를 받아야 하지만..... 메달 빛은 그/녀들에 대한 스포츠 정신을 자본의 상술로서 상쇄하고 있는 것이 씁슬하다.

 

 어제 대우조선에서 임금삭각으로 열사가 나왔다는데.... 이러한 소식은 금빛 향현에 금새 뭍혀져 버린다.

 그래서 의지로운자.... 투쟁하는 자의 길이 외롭게 느껴진다. 온통 인터넷은 김연아 금으로 도배된 것과 노동자의 죽음과 대조해 보면서.... 한숨이 밀려온다.

 

 간장 오타맨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