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기독교는부활의 종교라고 한다. 부활이 없다면 기독교는 헛 될 것이라고 사도바울은 말한다(고전15장14절).
무슨 말일까?
우선, 기독교는 죽음을 믿는 종교라는 것에서 시작해 보자. 시작이 있는 것은 반드시 끝이 있다는 건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전혀 새삼스럽지 않다. 그런데 종교는 죽음을 믿지 않는다. 어떻게든 저승이 있어서 계속 살게 된다고들 한다. 최소한 죽지 않는 뭔가가 있다고들 한다. 근데 기독교는 여지없이 통째로 죽는다고 한다. 그리고 부활을 믿는다.
근데 이렇게 통째로 죽는데 뭐가 어떻게 다시 살아난다는 말인가?
부활을 믿지 않는사두개파 사람들이 예수를 시험하는 질문에서 부활에 대한 상상을 일면 접할 수있다. 일곱형제가 차례로 같은 여자를 아내를 두고 죽으면 그들이 부활할 때 그 여자는 그들 가운데 누구의 아내가 되겠냐는 질문에서 부활은 생의 일부가 아니라 생전체의 부활이라는 상상을 엿볼 수 있다. 질문의 요는 서로 모순을 빗는 성질이 어떻게 한 몸에 있을 수 있냐는 말이다(마가12장18절이하).
비슷한 문제가 고린도 교회에서도 거론된 모양이다(고전15장). 몸의 부활(carnis resurrectio/살의 부활)이 어떻게 가능한가가 문제가 된 모양이다. 사도바울은 자연을 본보기로 들어, 씨의 예를 들어 몸의 부활을 설명한다.
핵심구절은 고전 15장 38절인 것 같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원하시는 대로, 그 씨앗에 몸을 주시되, 그 하나 하나의 씨앗에 각기 고유한 몸을 주십니다.” (ὁ δὲ θεὸς δίδωσιν αὐτῷ σῶμα καθὼς ἠθέλησεν, καὶ ἑκάστῳ τῶν σπερμάτων ἴδιον σῶμα.)
부활한 몸은 다 다르다는 말인가? 거기엔 종과 유의 구별이 없다는 말인가? 헤겔이 말한 각 내용이 고유의 자기형태를 취하게 된다는 말과 같은 것인가? 부활한 몸은 한 개인의 삶을 완벽하게 담아내는 문학과 같은 것인가? 부활한 몸은 살아있는 문학과 같은 것?
2021/05/15 |
2021/03/10 |
2021/03/09 |
2021/03/08 |
2021/02/06 |
정신현상학을 번역한답시고 불로그를 만들어 놓고 한참 동안 딴 짓(?)만 했다. 뭔가 콱 막히면 더 파고 들어가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다. ‘계속해야/해서 끝을 봐야 하는데’라고 생각만 할 뿐 한던 일을 방치해 둔다.
다시 시작해야겠다. 근데 하두 오래동안 방치해 두어서 다시 시작하기가 쉽지 않다. 어디서 부터 다시 시작하지?
먼저 왜 정신현상학이지라는 질문을 지침삼아 지금까지 이해한 것을 한번 정리해 보자. 어쩌면 정신현상학 입문 같은 것이 되겠다. 철학에는 ‘어쩌구저쩌구 입문’이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인 사태에 직접 도전하여 사태의 운동을 따라 잡는 것이 철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번역도 마찬가지로 문장 하나 하나를 놓고 씨름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런 몸싸움 후 어렴풋하게 총체적으로 잡히는 것이 있는데 이런 걸 정리해 놓은 것이 입문이 아닌가 한다. 그래서 입문은 나중에 읽어보는 것이 더 좋겠다. 물론 ‘close reading’과 ‘입문’ 간에는 다시 변증법적인 긴장이 있겠지만.
정신현상학 서론 일부에 따라 정신현상학을 최소한 인식론 비판이라고 하자. 헤겔은 당시 인식론 밑바닥에 깔려있는 전제를 인식(das Erkennen)과 대상(헤겔의 용어로는das Absolute)간에 이 둘을 어떤 경우에도(schlechthin) 따로 갈라놓는(scheidend) 분단선(Grenze)이 있다고 보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이런 회의주의적인 인식론을 비판하는 헤겔의 근본 입장은 이와 상반되게 대상(das Absolute)이 ‘완전 무결하게’(an und für sich)이미 우리 곁에 와 있고 또 와 있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이런 구도하 헤겔은 인식과 대상이 분리되지 않는 현상을 사례로 들면서 회의주의적 인식론을 비판하고 ‘안 그래’ 혹은 ‘그게 다가 아니야’ 했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헤겔은 이 길을 택하지 않고 이른바 ‘내재적 비판’이라는 길을 택했다.
정신현상학은 회의주의적 인식론과 함께 인식과 대상간의 분리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이른바 ‘직접적 확신’이라는 현상에서 인식과 대상간의 분단이 엄연히 존재함을 보여준다. 서로 뭉크러져 있는 ‘Dieses’와 ‘Dieser’의 이면에는 이미 보편적인 ‘나’와 보편적인 ‘그것’간의 분단이 존재하고 그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은 동물적인 상태로 떨어지려고 하는 것이라고 야유한다.
근데 문제는 이런 분단을 유지할 수 있는가에 있다. 이런 분단하에서는 인식이 끝이 안보이는 자기모순에 빠져서 뒤죽박죽 상태에서 헤어나오지 못한다는 것을 지각의 발버둥에서 보여준다. 이 발버둥을 완전히 소화하고 매끈하게 번역하는게 어렵다.
‘지각’ 번역에 다시 착수하기 전에 ‘직접적 확신’과 관련해서 몇마디 하고 넘어가겠다.
헤겔이 이야기하는 ‘직접적 확신’은 ‘직접적 확신’ 자신이 이야기하는 것을 따라 잡지 못한다는 느낌을, 즉 규정미달(under-determined)이라는 느낌을 준다. 최소한 그 동기를 간과하는 것처럼 보인다. 욕망의 구조에서, 특히 병적인 욕망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직접적 확신’에 관하여 아무 것도 모르는 것 같다. ‘그녀’를 향하는 내 성적 욕구의 구조는 헤겔이 말하는 것과 반대인 것 같다. 건강하지 못한(?) 병적인 성욕은, 혹은 사랑은 ‘그녀’를 취하려고 하지만 ‘그녀’를 취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저런 ‘그녀’를 취하면서 무의식으로 혹은 기억속으로 침강한 그때 ‘그녀’를 취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헤겔이 서론에서 말하는 의식의 ‘기억’은 의식과 대상이 돌이킬 수 없게 분단되었다는 것이지만 욕망의 기억은 그 반대인 것 같다. 나와 ‘그녀’가 한때 하나였으며 그때 내가 정말 내 자신이었다는 확신이 아닌가 한다. 이런 확신이 현실화되어야 치유가 가능하지 않을까?
정신현상학 마지막 장 ‘절대지’에서 헤겔은 이렇게 말한다. “진리는 [전개되지 않은 내용의 첫 상태에서 이미] (an sich) 확신과 완전히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전개된 현상을 보더라도] 자기자신에 대한 확신의 형태를 띤다. … 이런 일치는 내용이 자기형태를 부여받았다는 데 있다.” (Die Wahrheit ist nicht nur an sich vollkommen der Gewißheit gleich, sondern hat auch die Gestalt der Gewißheit seiner selbst … Diese Gleichheit aber ist darin, daß der Inhalt die Gestalt des Selbsts erhalten.“)
2021/05/15 |
2021/03/10 |
2021/03/09 |
2021/03/08 |
2021/02/06 |
댓글 목록
일몽
관리 메뉴
본문
축하드려요. 축하하는 의미로 정신현상학 마지막 부분을 멋대로 바꿨어요. 비웃지 마세요. ^.^Das Ziel, das absolute Wissen, oder der sich als Geist wissende Geist hat zu seinem Wege die Erinnerung der Geister, wie sie an ihnen selbst sind und die Organisation ihres Reichs vollbringen.
목적지인 절대적 앎, 또는 자신이 정신임을 알고 있는 정신은 길을 걸으며 자신을 회상한다. 자신들이 자신들 스스로에게 어떠했는지, 그리고 자신들의 왕국을 어떻게 만들어왔는지.
Ihre Aufbewahrung nach der Seite ihres freien, in der Form der Zufälligkeit erscheinenden Daseins ist die Geschichte, nach der Seite ihrer begriffenen Organisation aber die Wissenschaft des erscheinenden Wissens; beide zusammen, die begriffene Geschichte, bilden die Erinnerung und die Schädelstätte des absoluten Geistes, die Wirklichkeit, Wahrheit und Gewißheit seines Throns, ohne den er das leblose Einsame wäre; nur –
우연성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는 존재의 자유로운 측면에서 보면 자신들의 보존은 역사이지만, 자신들을 개념적으로구성한 측면에서 보면 앎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앎의 총체다. 이 둘을 결합하면 개념적으로 구성한 역사가 되는데, 절대적 자기의 회상과 골고다 언덕이며, 그 언덕의 왕좌에는 현실, 진리, 그리고 확신이 있다. 그 정상에 도달하지 못하는 한 정신은 생명 없는 고독 속에 있을 뿐이다. 오직
aus dem Kelche dieses Geisterreiches
schäumt ihm seine Unendlichkeit.
이 정신의 왕국의 술잔에서
끝없는 길이 펼쳐진다.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감사. 술이 기다리고 있다고 하니 끝까지 가야겠네?! 술값은 일몽님 몫이고 ^^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내용적으로 다 맞는 말을 하는 사람을 싫어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흔히 톤(Tonlage)이 문제가 된다. 헤겔의 톤도 종종 역겨운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 그래서 그를 가까이 하기가 싫을 때가 있다. 이게 그냥 역겨운 감정의 문제라면 내 자신만의 문제이겠지만 이런 감정의 이면에는 참답지 않은 것이 참다운 형태를 뒤집어 쓰고 의기양양하지 않나하는 의혹이 있다.정신현상학의 마지막 구절도 이런 문제를 안고 있지 않나 한다. 특히 쉴러의 시 “우정”의 마지막 두줄을 약간 변형해서 인용한 부분에서 헤겔의 비진리, 혹은 우리가, 헤겔 이후에 일어나 역사를 알고 있는 우리가 받아들이기 힘든 것을 인지한다. 헤겔이 이 부분에서 역사하면 철학사를 말하고 있다고 하지만, 기억과 ‘두개골이 흐트러져 있는 장’에서 우리가 상상하는 것은 철학사가 아니라 19세기 20세기의 피비린내 나는 야만의 역사이며, 우리는 이런 역사의식에 기반하여 벤야민과 같이 인류의 역사를 기억한다.
헤겔은 쉴러의
„aus dem Kelch des ganzen Seelenreiches
schäumt ihm - die Unendlichkeit.“ 를
„aus dem Kelch des ganzen Geisterreiches
schäumt ihm seine Unendlichkeit.” 로
변형하여 인용하였다.
“Seelenreich”(영혼들의 제국)을 “Geistereich”(정신들의 제국)으로 대체하고, “die Unendlichkeit”(무한성)을 “seine Unendlichkeit”(그의 무한성)으로 의미 변화했으며, 특히 줄표 – 를 생략했다.
쉴러의 시에서는 줄표때문에 절대정신(ihm)과 무한성(Unendlichkeit)간에 골이 깊다. 무한성이 절대정신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헤겔은 무한성을 절대정신의 것으로 (seine Unendlichkeit)만든다. 또한 헤겔의 변형된 인용에서는 “seine”(그의)에 액센트가 온다.
헤겔의 정신현상학이 오늘날에도 거론되는 이유는 아마 대체적으로 ‘상호인정’(Anerkennung)문제를 다루려면 반드시 정신현상학을 거쳐야하기 때문일거다. ‘상호인정’이 헤겔 진리의 핵심이라면, 그리고 헤겔이 그것에 충실했다면 “그의 무한성”이 아니라 “너의 무한성”이라 했어야 하지 않을까?
이 부분 생각나는 걸 정리해 봤어요.
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