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단편과 테제(2009/7/29-8/3)

  • 등록일
    2009/08/05 00:36
  • 수정일
    2009/08/05 00:36

-쌍차 투쟁이 진지전 양상으로 가면서 불분명했던 계급 관계가 점점 투명해지고 있다. 경찰과 사측의 진압공모사실이 언론에 폭로되면서 사측 논리의 정당성이 일정부분 훼손되고 있다. 여기저기서 연대의 손길도 일어 나고 있다. 쌍차 노동자들에게 '물을 갖다 주자'라는 캐치프레이즈는 매우 호소력 있어 보인다. 반면 금속노조 집행부는 여전히 무급순환휴직 카드를 들고 현장 투쟁력을 까먹고 있다. 7월 22일의 지리멸렬한 투쟁은 상당부분 금속노조 집행부의 기회주의적 전술에 책임이 있어 보인다. 

노동자대회는 피해만 안은채 끝났다. 폭력을 무릅쓰고 고생한 노동자-학생-시민들의 희생만큼 성과가 없었다. 난 화면을 통해 펼쳐지는 개들의 진압과 거기 속수무책으로 쓰러지는 노동자-시민들을 보면서 가슴이 아팠다. 언제까지 우리는 이 희생의 스펙타클의 주인공으로 살아야 하는 것일까? 스펙타클을 깨고 실재의 현장에서 승리를 구가할 날을 과연 가까이 온 것일까?

현재로서는 희망이 조금씩 보인다. 무엇보다 쌍차 도장공장 내부에 남은 노동자들의 패기가 아직 시퍼렇다. 그거면 되지 않겠는가?

 

- 대상에 대한 열정, 개념에 대한 냉정. 이를테면 철학자들의 격언이 이래야 되지 않겠는가? 물론 열정에는 사랑도 있겠지만, '분노'도 있을 것이다. 냉정에는 분석도 있겠지만 통찰과 직관도 있겠다. 내가 보기에 전자로 과도하게 기울면 논변의 백치가 될 것이고, 후자로 치우치면 설익은 객관주의의 함정에 걸려들 것이다. 이 두 벡터를 모두 고려하는 것, 그것은 순전히 '사건' 다시 말해, 개념과 대상이 조우하고 교전하는 그 사건을 예견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야만 글쓰기도 제대로 된다. 논쟁도 제대로 된다.

 

-물음과 대답의 적분과정은 신학의 근방역일까? 아니다. 이 과정은 일종의 반신학, 안티크라이스트의 과정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덧셈이 아니라 뺄셈이며 규정이 아니라 미규정이며 코스모스가 아니라 카오스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적분은 완결된 아폴론이 아니라 언제나 미심쩍은 형태인 디오니소스를 불러내기 때문이다.

 

-유물론은 관념론의 대당이 아니다. 심층의 유물론은 이 대당 자체를 내재적으로 포월(Jaspers)한다. 이 유물론(내재-포월 유물론?)은 따라서 관계성과 비물질성조차 심층의 표면으로 이해한다. 심층은 오직 들끓을  뿐이다. 

 

- 호모폴리티쿠스는 그저 나온 규정이 아닐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유적 본질인 기억과 관련있다. 즉 인간의 기억 자체가 매우 정치적이라는 게다. 프로이트는 이를 어렴풋이 깨닫고 있었으며 라이히는 이를 분명히 했다. 따라서 기억의 정치라는 말은 동어반복이다. 문제는 이 동어반복의 사태를 해석하는 것이고 이 해석 안에서 계급투쟁을 복원하면서 승리하는 것이리라. 계급투쟁 속에 해석을 전유하는 것 말이다. 그러므로 리꾀르가 열정적으로 말한 '해석의 갈등'은 '해석의 계급투쟁'의 완곡어법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미래이익에 대한 과장과 손실에 대한 과소 평가. 이를 경영학에서는 투자유치를 위한 포트폴리오, 즉 홍보라고 일컫는다. MB의 일관된 거짓말은 이 천박한 마키아벨리즘에 근거한다. 이때 소통은 기만술 이상이 될 수 없지만 그 기만술의 행위주체 쪽에서 보자면 너무나 당연하고 확고한 전략인 셈이다. 이러니 MB는 죽었다 깨어나도 반성의 무능력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오히려 다중의 저항이 MB에게는 이해불가능할 뿐이다. 따라서 "초는 누가 대주는 거야?!"라는 짜증 섞인 질문은 영원히 해결되지 않고 그의 횡한 대뇌 어딘가에서 배회할 것이다. 이 대뇌 이상 증후군을 바로. 'candlephobia"라고 하는 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