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2021/05/15
- ou_topia
- 2021
-
- 2021/03/10(1)
- ou_topia
- 2021
-
- 2021/03/09
- ou_topia
- 2021
-
- 2021/03/08
- ou_topia
- 2021
-
- 2021/02/06
- ou_topia
- 2021
2010년 6월 30일 [연방하원의원과 각주 정부가 파견한 의원을 50대 50 비율로 구성하여 소집되는] 14기 연방총회(Bundesversammlung)의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흑황연정이 반가우크 입장을 고수하는 것을 독일정통보수 일간 FAZ는 2010.6.7 다음과 같이 평했다. (관련기사 )
0 통독후 독일 정치인들의 공론공간에 대한 성찰(öffentliche Reflexion)과 자신에 대한 반성이 10대의 그것으로 퇴보한 반면, 요하힘 가우크는 그의 저서 „여름에 맞이하는 겨울 - 가을에 스며있는 봄“(Winter im Sommer – fruehling im Herbsrt)에서 볼 수 있듯이 베를린 공화국 정치계와 대조적으로 어른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이런 10대 아이의 성찰수준으로 떨어진 정계의 모습은 기능장애에 걸린 가정에서 메르켈이 엄마노릇을 하는 모습으로, 혹은 응급실 의사 노릇을 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지적.
0 이어 흑황연정을 소위 „시민[세력]연정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흑황연정이 말하는 시민은 뭐냐고 질문하면서, 소비자로 전락한 시민을 다시 내용 충만한 자유개념으로 살려야 한다고 지적.
0 이와 관련 앞에서 언급된 저서에서 가우크가 한 말, 즉 „어떤 사람을 향한 , 더더욱이 어린이를 향한, 어떤 가치를 향한, 신을 향한, 예술을 향한, 자연을 향한, 어떤 일을 향한, 어떤 마음/몸가짐(Stil)을 향한 사랑에서 나 밖에 있는 그 무엇을 항해 기울어지는/굽어지는 [인간사회의] 바탕이 되는 보살핌(fundamentale Geneigtheit)이 발생한다. 책임으로서의 자유를 사는 사람은 궁극적으로 인간이 갖고 태어난 가장 좋고 깊은 역량(Potenzen)을 맞이하게 된다.“란 말을 인용하면서 시토앵으로서의 삶을 소비자로서의 삶으로 대체하는 경향과 달리 가우크의 자유개념은 시민개념과 뗄 수 없는 관계로서 관조가 아니라 개입이라고 지적.
0 가우크의 민주주의 개념 관련 그는 브레히트가 한 말을 달리 표현하면서 민주주의를 복잡한 것이지만 아주 단순한 사람도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면서, 민주주의는 어떤 형식적인 합의가 아니라 회의와 과학 사이를 오가는 변증법적인 동요(Unruhe)를 수반하는 믿음과 유사하다는 것.
0 가우크는 기독교 정신에 기반한 정치, 자유주의, 그리고 시민주의의 관한 자기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originäres) 신바람나는 민주주의 이해를 개발한 지성인이라면서, 기독민주연합, 기독사회연합, 그리고 자유민주당 등 이런 세 가지 이념에 기초한 정당들이 가우크를 연방대통령으로 뽑지 않을 것을 앞두고 이건 이성/지성적으로 합리화 될 수 없는 짓이라고 평가.
2021/05/15 |
2021/03/10 |
2021/03/09 |
2021/03/08 |
2021/02/06 |
역시 메르켈답다.
정치가 다수를 조직하고 그 중심에 서는 거라면 정치공학 달인 메르켈을 따라 갈 사람이 [아직] 없는 것 같다.
위기의 국면을 항상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 유도하는 면에서 탁월하다. 이 탁월함은 어떠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유연성에 기초하는 것 같다.
크리스타안 불프 사임 후 메르켈은 사실 위기의 국면에 처했다. 흑황연정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었다. 흑황붕괴의 개연성 순간은 불과 30분, 아주 짧았지만 말이다.
2009년 총선에서 „감세, 감세, 감세“라는 순수 신자유주의 슬로건으로 14.6%라는 사상 최대득표를 이룩했던 자유민주당(FDP)이 금융위기가 심화됨에도 불구하고 고객관리정치를 일삼아온 결과 신뢰가 폭락하여 현재 연방의회 진출 컷트라인인 5%를 한참 밑도는 2-3%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자유민주당 수뇌부는 고육지책으로 [연정을 판돈으로 걸고] 메르켈 기민당이 받아들일 수 없는 가우크를 대통령후보로 결정하고 메르켈과 협상에 들어갔다. 의견은 좁혀지지 않았고 흑황붕괴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었다.
요아힘 가우크(Joachim Gauck)는 구동독 인권운동가 출신으로서 이미 2010년 6월 대선에서 야권 사회민주당과 녹색당의 대통령 후보로 추대된바 있다.
이건 물론 야권이 여권, 특히 자유민주당의 균열을 유도하려는 정치적 계산이었다. ‚책임 속에 있는 자유’(„Freiheit in Verantwortung“)라는 슬러건 아래 시민사회의 확장과 장려를 최대 안건으로 삼는 가우크를 대통령후보로 추대함으로써 자유민주당을 균열하려는 시도였다. 자유민주당으로 할 것 같으면 지금은 신자유주의 세력이 당권을 장악한 상황이지만 시민사회와 인권에 뿌리를 두는 세력이 시장주의 세력과 균형을 이루었던 정당이다. 야권은 자유민주당의 시민사회 세력을 흔들리게 할 계산이었다. (그리고 사실 흔들렸다. 가우크가 여권과 야권의 표차가 압도적이었음도 불구하고 3차 투표까지 갈 수 있었던 원인이 여기에 있다.)
자유민주당이 가우크를 대통령후보로 추대하게 된 경위를 보면 우선 자유민주당내 시민사회 세력이 (특히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주 자유민주당지역대표 쿠비키 등이) 가우크를 내걸고 나섰다. (여기서 자유민주당의 당권이 시민사회 세력권으로 넘어가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메르켈 기민당은 가우크 후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유 설명은 생략) 근데 범정당회의를 30분 연기하고, 그 30분만에 다시 한번 곡예사를 방불케하는 번복의 묘미를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관건은 „책임속에 있는 자유“(Freiheit in Verantwortung)가 얼마나 „사회연대“를 (헤겔적 의미로) 지양하고 금융위기로 폭락한 정치인에 대한 신뢰를 회복시킬 수 있는가에 있다.
2021/05/15 |
2021/03/10 |
2021/03/09 |
2021/03/08 |
2021/02/06 |
댓글 목록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한국의 정통보수라는 조중동의 성찰수준이 저 정도되었으면 좋겠다.부가 정보
ou_topia
관리 메뉴
본문
한국 진보진영의 어수선함이 조중동과 같은 찌지라 수구꼴통만 있어서 그런가?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