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지각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8 나머지 부분

의식이 자기가 하는 지각행위란게 뭔지 경험한 것이다. 지각행위의 결과로 훤하게 드러난 것이[1]{시시포스의 애씀을 다 무효로 만든 것처럼} 지각행위를 해체하는[2]것, 달리 표현하면 의식이 {점진적으로} 훤하게 드러난 대상에서 떨어져 나와 마침내 자기 안으로 꺾여 들어가 자기자신을 마주하는 반성이란[3]것을 경험한 것이다. 이것은 의식이 자기가 말하는 지각행위란게 어떻게 생겨먹은 것인지[4]스스로 알아차리고 거기에 알맞게 행동하게 된다는 말이다. {의식은 처음에} 지각행위란 아무런 {접힘/굽힘/주름이 없는 대상을 일대일로 받아들이는} 단순하고 순수한 받아들임이라고 생각했고 또 그렇게 행동했다. 근데 그게 아니란게 결과에서 드러났다. 지각행위란 뭔가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이런 받아들임의 결과로} 훤하게 드러나는 것으로 인해서[5]자기 안에서 자기를 마주하는 반성이란 것을 알게된 것이다. {meinen/사념을 넘어서 오로지 밖으로 향한 눈길이 되었던 지각행위로서의} 의식이 {다시} 자기 안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결과로] 훤히드러난 것을[6]그대로 가만 두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젠 의식이 자기 안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지각행위에 있어서 본질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이런 되돌아감/반성이 순수한 받아들임에 뗄 수 없게 찰싹 붙어있는 것으로[7]순수한 받아들임에 개입해 있기 때문이다. 의식은 지각행위의 이 다른 면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자기 것으로 인식하고 자기 탓으로 돌리고 이렇게 {내죄 올시다} 함으로써 {지각행위에 개입되어 있는 의식의 자기반성행위로 대상을 더럽히지 않고 순수하고  참다운 것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 이렇게 되면 일이 감각적 확신에서 그랬던 것처럼 {지각하는} 의식의 {눈길이 밖으로 쭉 뻗어나가지 못하고 뒤로 밀려} 자기 안으로 꺾여 들어가는 면이 지각행위에서도 드러나게 된다. {이렇게 지각행위에서도 의식과 대상간의 구별이 발생하는데} 근데  [이 구별의] 첫단계에서는[8] 감각적 확신과 좀 다른 점이 있다. 의식과 대상간의 구별로 {감각적 확신에서는 진리가 의식[안]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지각행위에서는 그렇지 않다. [지각행위의 양면을 인식한] 의식은 [진리가 자기 안에 있다고 하지 않고] 지각행위에서 발견되는 [9]비진리란 자기 안으로 {잘못 반사되어??} 떨어진 것이라고[10]인식한다. {지각행위에서 발견되는 비진리가 이렇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의식은 동시에 그 비진리를 파기할 수있는 능력을 갖게된다. 의식은 자신의 지각행위의 비진리[성]에서 참다운 대상을 받아들이는 것을 구별해 내어 그 비진리를 정정한다. 이렇게 비진리가 의식의 몫이 되지만, 의식이 이런 수정을 스스로 수행하는 한에서, 지각행위의 참모습이 뭔가라는 진리로서의 진리는 의식 안에서 벌어지는일이 된다. 그래서 우리가/헤겔이 이제 살펴볼 의식의 태도는 어떻게 생겨먹었는가 하면 더 이상 [밖으로 향하는 눈길만 되는] 몰아지경의[11]지각행위만이 아니라 자기 안에서 자기를 마주하는 반성으로도 의식하고 이런 반성을 [접힘/구김없는] 단순한 받아들임 그자체에서 떼어 갈라낸 태도가 된다.



[1]원문<das Wahre>

[2]원문<seine Auflösung>. <해체>된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아래 <aus>란 전치사에 스며있는<Ablösung/떼어 냄>이 이루어 진다.   

[3]원문<die Reflexion in sich selbst aus dem Wahren>. 전치사 <in>과  <aus>의 의미가 어렵다. <in>과 <aus>가 한 쌍으로 사용된 것을 보면 분명 방향을 나타내는 공간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예컨대 이렇다. <Ich fuhr aus dem Bett hoch./나는 침대에서 벌떡 일어났다> <Ich fiel ins Bett./나는 침대로 몸을 떨어 뜨렸다.> 근데 지각행위가 총체적인 과정을 이룬다는 것을 놓고 보면 여기서 <aus>는 < Aus der häßlichen Raupe ist ein hübscher Schmetterling geworden./징그러운 애벌레가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마침내 [애벌레가 아닌] 어여쁜 나비가 되었다.>란 문장에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 것 같다. [Harald Weinrich, Textgrammatik der deutschen Sprache, 4. Auflage, Hildesheim 2007, S. 648 f. 참조]

[4]원문<beschaffen>

[5]원문<aus dem Wahren>

[6]원문<das Wahre>

[7]원문<unmittelbar>

[8]원문<zunächst>

[9]원문<vorhanden>

[10]원문<in es fällt>

[11]원문<bloß>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7 하부

그런데 이렇게 절단되어 있는 일개에서 지각하는 의식은 다수의 Eingenschaft들을 발견한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간섭하기 보다는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것도 발견한다. 그래서 지각하는 의식은 대상을  {Eigenschaft를 독립체라고 하면서 그것을} 배타적인 것으로 파악한 것은 잘못 지각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대상은 {다시} 오히려 앞에서 이야기된 두루뭉실한 연속성과[1]같은 것이 된다. 단지 대상이 이젠 다수의 Eigenschaft들이 Gemeinschaft를 이루는 보편적인 매체가[2]된다. {배타적인 Moment는 이런 {울타리} 안에 병존하는 다수의 Eigenschaft들에게 있게 된다.} 이런 울타리 안에 병존하는 다수의 Eigenschaft들은 감각적인 보편성으로서 각자 홀로 있고, 이렇게 {대자적으로} 규정된 것으로서 배타적인 것이 된다. 그러나 내가 {실로} 지각하는 것은 {무슨 보이지 않는 귀신과 같은 Gemeinschaft/공동체가 아니라} 단순하고 {훤하게} 드러나 있는 것으로서[3]  보편적인 매체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따로따로 있는[4]하나하나의[5] Eigenschaft일 뿐이다. 그러나 이런 Eigenschaft는 {속성으로서의??} Eigenschaft가 아닐 뿐만 아니라 규정된 존재도 아니다. 왜냐하면, {내가 지각하는 따로따로 있는 하나하나로서의} Eigenschaft는 이제 어떤 일개에서 드러나는 것이[6]아닐 뿐만 아니라 타자와의 관계 안에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속성으로서의??} Eigenschaft란 오로지 일개에서만 드러나는 것이고 오로지 타자와의 관계 안에서만 규정되는[7]것이다. {내가 지각하는 따로따로 있는 하나하나로서의} Eigenschaft에는 이제 더 이상 부정[운동]이란 성격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오로지 순전히 자기자신과만 관계하는[8]것으로 머무르는 어떤 감각적 존재일 뿐이다. 그래서 의식은 {결국} 감각적 존재를 대하고 되고 단지 meinen할 뿐이다. 다시 말해서 의식은 결국 지각행위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기 안으로 되돌아 간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일이 따 끝나지 않고} {한 쌍을 이루는} 감각적 존재와  Meinen이 스스로 다시 지각행위에 들어간다는데 있다. 자아는 이렇게 {시시포스가 애써 정상에 굴려 올려다 놓은 돌이 원점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과 같이} {애써 지각한 것이 결국 감각적 존재가 되어 다시 지각의 원점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과 함께} 원점으로 굴러 떨어져 다시 처음부터 똑 같은 운동을 반복해야 하는 걷잡을 수 없는 되풀이에[9]휘말려 들어가 {시시포스가 다음에 돌을 굴려 올라갈 때에 처음의 경험을 되살려 여기서는 이렇게 하면 되고 저기서는 저렇게 하면 되고 전체적으로는 이렇게 하면 된다는 것을 알고 좀 쉽게 할 수 없듯이} 매 순간마다의 애씀과 모든 애씀이 아무런 흔적과 결과를 허용하지 않는 파기에 의해 남김없이 사라지는 것을 맛보게 된다. 



[1]원문<die Kontinuitaet ueberhaupt>

[2]원문<ein allgemeines gemeinschaftliches Medium>

[3]원문<das Einfache und das Wahre>. 데카르트의 제3성찰에 나오는 <clara et distincta>란 표현이 연상된다. <wahr>를 하이데거의<aletheia/진리>해석에 기대어 번역해 보았다. <wahr>에 어원적으로<aletheia>란 의미가 스며있는지는 모르겠다. 

[4]원문<fuer sich>

[5]원문<einzelne>

[6]원문<an einem Eins>

[7]Strawson이 말하는 “Sortal”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인가?

[8]원문<dies reine Sichaufsichselbstbeziehen>

[9]원문<Kreislauf>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6

(§6) {무수한 <이것>들이 언어라는 포승에 결박된 채  끌려와} 이렇게 지각의 사물이 된다.[1] 그리고 이와 같은 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의식에 한해서 의식은 지각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때 의식이 취하는 태도는 대상이 다가오는 대로 단지 받아들이기만 하는 순수한 파악[2]이다. 이런 순수한 파악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참다운 것이다. 순수한 파악으로서의 의식이 대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뭔가를 [자의적으로] 행한다면, 이런 행위는 [대상에] 뭔가를 더하거나 삭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진리를 변경시켜 놓을 것이다. 그래서 대상이 진리이며 보편적인 것이고 자기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이[3] 된다. 반면 의식은 가변적이고 비본질적인 것이 된다. 이것은 우리가/헤겔이 그렇게 파악하고있는 것이 아니라 지각하는 의식이 스스로 자기자신을 그렇게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4]. 그렇기 때문에 의식은 자기가 대상을 잘못 파악하고 착각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 한마디로 지각하는 의식은 착각의 가능성을 품고 또 그것을 의식하고 있다. {의식이 왜 자기가 착각할 수 있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는가?} 그 이유는 보편성이란 꼰대의 지배를[5] 받고 {온통 보편성으로 도배되어 있는} 지각이 그런 보편성 안에서 {감각적 확신이 보편성에 대항하려고 기대고 있는 <바로 이것>이라는 직접적인} 타자존재의 {질} 조차[6], {감각적 확신의 망각에는 [아직]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지만} 자기에겐{지각하는 의식에겐} 곧바로 {쓸데없는 하루살이 존재로} 소멸되고 파기된다는 것을[7]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각하는 의식이 갖는 진리의 기준은 자기동일성이며[8], 그가 취하는 태도도 역시 [사물/대상의 자기동일성에 견주어] 자신을 동일한 것으로 유지하고 파악하는 일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것이 동시에 지각하는 의식에 대하여 있으므로 지각하는 의식이 취하는 태도는 결국 그의 갖가지 파악이 갖는 다양한 계기들을 서로 견주어 보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비교에서 불일치가 발생하면, 비진리는 자기동일성을 유지하는 대상에 있을 수 없고 지각행위에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지각하는 의식은 받아들인다.}



[1]원문<So ist nun das Ding der Wahrnehmung beschaffen.> <beschaffen>을<성상(性狀) 혹은 성질로 번역하지 않고(헤겔사전, 197-198쪽 참조) <가져오다, 조달하다>란 동사의 의미를 살려<어디 앞에 놓여있다>란 의미로 번역하였다.

[2]원문<reines Verhalten>

[3]원문<das sich selbst Gleiche>

[4]원문<sich>. <das Bewusstsein [ist] sich das Veränderlicher und Unwesentliche.>에서<sich>를 이렇게 좀 장황하게 번역하였다.

[5]원문<das Prinzip>

[6]원문<das Anderssein selbst>

[7]원문<als das Nichtige, Aufgehobene>. 아도르노의<부정변증법/stw113, 19쪽 이하>에 기대어 번역해 보았다.

[8]원문<Sichselbstgleichheit>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4

(§4) [감각적 확신의 결과에 나타난 관계를 놓고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이 보편성의 모습을 다 드러낸 것은 아니다.] 이 단계에선 오로지 {주체의 계기가 전혀 없는 실정성으로서의} 그저 있는[1]보편성의 성격만이 겨우 관찰되고 전개되었다. 그러나 보편성의 성격에는 {보편성의 [논리적인] 서술에} 포함해야 하는 다른 면도 드러나 있다. 이를 살펴보자.[2]다수의 {즉자적으로만} 규정된 성질들이 정말 그렇게 단순한 관계에서 서로 아무런 구애를 받지 않고, 전적으로 자신과의 관계 안에만 침몰되어 있다면, 그 성질들은 <규정된> 성질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규정된> 성질이란 다른 성질과 대립관계를 이루는 가운데 서로 구별되는 {대타적으로 규정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 대립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는 {<또한>이라는} 매체 안에 있는 다수의 성질들이 단순한 통일을 이룰 수가 없다. {즉자적으로 규정된 성질들에게는 <또한>이라는 추상적인 매체가 순수한 본질이었다.} 그런데 이젠 부정[운동]이라는 대립도 똑같이 성질들에게 본질적인 것이 된다. {일이 이렇게 되면 다수의 성질이 서로 대립하는 가운데 함께 있는 것은 단순한 통일이 아니라} 이와 구별되는, 즉 다수가 너나 할 것 없이 아무렇게나 모여있는[3]그런 통일이 아니라, 배타적인, 다른 것을 부정하는 통일이다. 그래서 이 통일은 [<또한>이라는] 단순한 매체 밖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래서 단순한 매체란 단지 <또한>이라는 아무런 구애와 속박이 없는 통일일 뿐만 아니라, 둘을 허용하지 않는 배타적인 하나로서의 통일이기도 하다. — 하나, 이것은 부정의 힘으로서[4]자기와 단순하게[5]관계하는 가운데 다른 것을 배척하는 하나가 될 때 작용하는 힘이다. 이런 작용을 통해서 물성이 일개 사물로 규정된다. {An der Eigenschaft ist die Negation als Bestimmtheit, die unmittelbar eins ist mit der Unmittelbarkeit des Seins, welche durch diese Einheit mit der Negation Allgemeines ist; als Eins aber ist sie, wie sie von dieser Einheit mit dem Gegenteil befreit und an und für sich ist.}[6]{문제는 부정 인데} 성질Eigenschaft에서는 부정이 존재의 직접성과 직접적으로 하나를 이루는{즉자적인} 규정성으로 있다. 존재의 이런 직접성은 부정과의 이런 통일에 의해서 {모두가 자기 것만으로 꽉 채우는 대자적인} 보편적인 것이 된다. 그러나 하나로서의 성질은 이런 [자기와만 관계하는 자위행위로서의] 통일에서 벗어나 대립하는 대상과 짝이 지어진[7]즉자대자적인 존재다.



[1]원문<positiv>. 어원<ponere>을 살려 번역하였다. 청년헤겔의 사상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실정성/Positivität>에 관해서는<헤겔철학사전, 실정성, 240쪽 참조>.

[2]원문<nämlich>

[3]원문<gleichgültig>

[4]원문<das Moment der Negation>

[5]원문<auf eine einfache Weise>. 빈켈만이 말하는<edle Einfalt>가 이런 것인가?

[6]원문을 올려 보았다.

[7]원문<von dieser Einheit mit dem Gegenteil befreit>. 재미있는 표현이다. <befreien/해방시키다>에는 두 가지 요소가 있다. 즉 무엇으로부터(von) 무엇으로(zu) 해방하는 것이다. 근데 헤겔은 여기서<von>과<zu> 대신<von>과<mit>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mit>는 지금까지 이야기된 내용에 비춰보아 수단이나 도구의 의미일 수 없다. 그럼 여기서<mit>는 어떤 의미인가. 헤겔이 사용한<befreien/해방하다>에는<freien/짝을 찾다, 아내를 구하려 다니다>라는 의미가 스며있는 것 같다. 참고로<frei/자유로운>는<보호하다>란 의미에서<사랑하다>란 의미까지 있는<prāi>라는 인도게르만 낱말에 그 어원을 두고있다. <Liebe>에는 순수한 사랑뿐만 아니라 몸으로 성행위/성관계를 맺는 의미가 있는바, <von dieser Einheit mit dem Gegenteil befreit>은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성적쾌감을 자위행위에서 알게 되지만 짝과의 성관계에서 정말 알게 되는 것과 비교될 수 있겠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3하부

— 이런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매체를 하여간 물성[1] 혹은 {감각적인 것이 말하고/지시하는 <이것>에 보편성이란 가상으로 항상 따르는?} 순수한 존재라고[2] 할 수 있겠다. 이 매체는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앞에서 {감각적 확신이 말하고자/지시하고자 했던 것에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난 <여기>와 <지금>이다. 즉, {감각적 확신이 말하는/지시하는} 다수의 <여기> 혹은 <지금>이 [서로 무관하게] 단순히 [한데] 모여있는[3] 것이다. 근데 문제는[4] 이런 다수가 스스로 {즉자적으로만 규정된} 규정성에 머물기 때문에  {감각적 확신이 구체적인 것이라고 하는 여기 <이것>도  역시} 제각기 그저 {가상에 불과한??} 보편적인 것이란 데 있다[5]. {이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여기 손끝에 있는 소금을 예로 하여 설명해 보자.} 여기 이 소금은 아무런 접힘이 없는 단순한 <여기>이면서 동시에 수많은 접힘을 갖는 다층.다각적인 것이다.[6] 그것은 하얗고 또한 찌르듯이 짜고, 또한 입방체이며, 또한 일정한 무게를 갖는 등 이렇게 계속 <또한>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이런 다수의 성질들은Eigenschaften 모두 단순한 <여기>라는 하나의 [테두리] 안에[7] 있는데, 이때 각 성질은 그런 하나의 일부만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온통 두루 속속들이 스며들어 있다. {그래서 소금이 일정 부분만 짜지 않고 온통 짜다.} 어떤 성질도 이 <여기>외 다른 <여기>를 갖지 않고, 모두가 이 <여기>안 어디에나 있고, 이 성질이 있는 곳에 다른 성질 또한 있다. 그런데 이들이 이렇게 서로 다른 <여기>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각 성질이 하나의 <여기>에 온통 꽉 차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일이 없다. 흰색이 입방체에 영향을 주거나 변형을 가하는 일이 없다. 또 흰색과 입방체가 짠맛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이렇게 어떤 성질도 다른 성질에 영향을 주는 법이 없고, 저마다 {아무런 구김 없이 순진하게 자기만을 드러내는, 그러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단순한 자기와의 관계 속에 침몰되어 있기[8] 때문에, 다른 성질을 가만히 놔두고, 관계한다 하더라도 아무런 구애가 없는 <또한>에[9] 의해서 일뿐이다. {이렇게 쭉 살펴보니 물성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이 <또한>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그래서 이 <또한>이 바로 순수한 보편적인 것, 달리 표현하면 매체이며 갖가지 성질을 앞에서 이야기한데로 총괄하는 물성이다.



[1]원문<Dingheit>

[2]원문<das reine Wesen>. „헤겔이 말하는 본질이란 변화하는 유한한 사물을 통해서 자기와 관계하는 존재이며,최종적으로는 절대자의 부정적인 운동이다. 그때 절대자는 가상으로서의 직접적인 존재로부터 내면적인 자기로서의 개념으로 귀환하고자 하는 것이다. [...] 다양한 존재의 구별은 그 다양성 때문에 진리의 통일성을 갖추고 있지 않는 것으로서 부정되며, 동시에 그것들을 매개로 함으로써... 본질이 다양한 구별을 총괄하는 내면적인 것으로서 분명하게 한다.“(헤겔사전, 본질(156쪽) 참조.)

[3]원문<ein einfaches Zusammen von vielen>. <Zusammen(함께)>이란 부사를 명사로 사용하고 있다.

[4]원문<aber>

[5]원문<aber die vielen sind in ihrer Bestimmtheit selbst einfach Allgemeine.>

[6]원문<vielfach>

[7]원문<in Einem einachen Hier>

[8]원문<einfaches Sichaufsichselbstbeziehen>

[9]언문<das gleichgültige Auch>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3 중중부

이와 같은 일개의 독립체(Eigenschaft)가 정립됨과 동시에 {중세 독일 땅에 수많은 “Eigenschaft”가 널려있었던 것과 같이} 다수의 이런 독립체들이 정립된다. 이때 이들은 {부정 운동을 하는 감각적 확신이 meinen하는} 서로 부정하는 관계에 있다. {그러나 감각적 확신의 언사/지시행위의 결과를 보면} 이 모든 독립체들이 [아무런 접힘/주름이 없는] 보편이라는 단순성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엄밀하게 따지자면[1] {대타존재적인} 규정이[2] 하나 더 추가되어야만 {단일체를 넘어서 진정한} 독립체가 되는, {그런데 아직 즉자존재적인 규정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타자와 관계하지 않는 단일체일 뿐이지 다른 단일체와 경계를 이루는 독립체가 아닌} 이런 규정성들은[3] 각기 자기와만 관계하고[4] 서로 무관하고[5], 홀로[6] 다른 이로부터 자유롭게[7]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아무런 접힘이 없이 자기동일을 유지하는 보편성도 역시 그 안에 포함된 {즉자존재적으로만 규정된 단일체란} 규정성들과도 구별되고 그들에 얽매어 있지 않다[8]. 이 보편성은 순수한 자기자신과[만]의 관계함[9], 달리 표현하면 이와 같은 [즉자존재적으로만 규정된] 규정성들이 모두 함께 널려있는 매체다. 그래서 이런 규정성들은 아무런 접힘이 없는/단순한 통일체인 보편성 안에서 {자기한계를 모르기 때문에 오직 자기만을 이 보편성 안에서 두루 펼쳐 몽땅 자기 것으로 찬탈하는 식으로} 제각기 두루 속속들이 꽉 차있지만[10] 서로 접촉하는 법이 없다. 왜냐하면, 그들이 참여하는 보편성이란 순수한 자기자신과의 관계함일 뿐이기 때문에 그 안에 서로 무관하게 각기 홀로 있기 때문이다.



[1] 원문 <eigentlich>

[2]원문<Bestimmung>. 헤겔사전, 이신철 역, 49쪽 참조

[3]원문<Bestimmtheiten>. 같은 책 같은 곳 참조

[4]원문<auf sich selbst>

[5]원문<gleichgültig gegeneinander>

[6]원문<für sich>

[7]원문<frei von der andern>

[8]원문<unterschieden und frei>

[9]원문<das reine Sichaufsichbeziehen>

[10]원문<durchdringen>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3 중부

— {그럼 이제 이 보편적인 직접성이[1]뭔지 논리적인 필연성에 따라 전개해 보자.}[2]존재란 매개를 거쳐서, 달리 표현하면 [언사/지시행위가 meinen하는 <이것>을] 부정하는 가운데 [<이것>의 흔적을 담고 또 그 흔적이 밖으로 드러나는[3]일개의 보편적인 것이 된다. {존재의 직접적인 면을 보면} 존재는 그가 말하는 직접성에 나타나는[4]이런 매개 혹은 부정의 운동을 표현하기 때문에 {<이것>과 어우러진 상태에 있고, 그럼으로써 다른 <이것>과} 구별되는 [자기 규정으로] 규정된 일개의 [독립] 체가[5] 된다.



[1]원문 <eine allgemeine Unmittelbarkeit>

[2]원문 <aber>

[3]원문 <an ihm>

[4]원문 <an seiner Unmittelbarkeit>

[5]원문<eine unterschiedene, bestimmte Eingenschaft>. 여기서 <Eigenschaft>를 <성질>로 번역하지 않았다. 역자는 „Eigenschaft“를 페터 블리클레(Peter Blickle)에 기대에 번역하였다. 그는 <Von der Leibeigenschaft zu den Menschenrechten: eine Geschichte der Freiheit in Deutschland/농도제도에서 인권들로: 자유의 유래에 대한 독일역사를 달리 보는 시각>이란 책에서 중세의 체제를 „한정된 지역“(„Eigen“)의 „독립체제“(„Eigenschaft“)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이 „Eigen“이란 전근대적인 개념이 아직 학문적으로 철저히 연구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이어 법학과 역사학이 사용하는 <Grundherrschaft/장원제도>란 개념은 단지 학문적인 상위개념일 뿐 중세가 스스로 사용하지 않은 개념이며, 중세 문건에서 볼 수 있는 „Eigenschaft“란 개념을 다 담아내지 못하는 개념이라고 지적한다. 페터 블리클레는 „Eigen“이란 것이 무엇인지, 관련 자세한 연구의 대상이 된 바이에른과 슈바벤의 근접지역의 과거현실을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특히 로텐부흐(Rottenbuch)에 있는 „Chorherrenstift“(대성당 참사회가 관리하는 재단)에 딸린 „Eigen“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이 „Eigen“은 수백 년 동안 존속하였는데 1400년 이후의 기록에 따르면 약 200내지 250개의 농경지+농가(Hof)가 속해 있었다. „Eigen“에 딸린 농경지를 일구는 농민들에게는 대성당 수석신부(Propst, 보통 참사회 최고 대표자)와 재단에 농경지 사용의 대가로 일정량의 수확물과 현금을 납부할 의무 및 „Scharwerke“이란 부역(Frondienst)을 해야 하는 의무가 부과되었다. „Eigen“에 딸린 농부들은 „Eigenleute“라고 불렸다. 그들은 그 „Eigen“내에서 [대성당 수석신부의 허락아래] 결혼했어야 했었고 그들의 자녀들에게도 일정한 의무가 부과되었다. 중세에 살았던 독일 농부들은 이렇게 농경지+농가와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 있었다. 이런 관계의 총체가 중세에 사용되었던 개념인 "독립체제"로서의 „Eigenschaft“란 것이다. 참사회 혹은 대성당 수석신부가 수장이었다는 면에서 „Eigenschaft“는 지배와 관련하고 있지만, 여기서 지배란 „Eigenschaft“를 보충하는 요소일 뿐이다. 구체적인 „지배행위“는 매년 추수가 끝난 다음 소집되는 „Bauding“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날 „Eigenleute“들은 납부할 곡물과 세금을 갖다  바쳤다. 그리고 이듬해 일굴 농경지의 규모를 당년 실적을  감안하여 새로 책정하였다. 병, 사망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즉 이듬해 누가 농경지를 일굴 것인가 등의 문제도 다루어졌다. 그 외 „Bauding“에서는 실정법을 낭독하여 그것을 공포하거나, 혹은 그것이 불분명한 경우 대성당 수석신부가 모인 „Eigenleute“들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물어 확인하는 절차를 밟았다. 이렇게 실정법을 확인한 후 „Dinggericht“가 열렸다. „Eigenschaft“는 이렇게 일정한 사람과 일정한 땅과 함께 거기에 속한 물건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총체적으로 관철되는 동일한 법현실의 공간이 도려져 구별되었다는(markieren) 것을 의미한다. (같은 책19쪽 이하 참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3 상부

(§3) {그럼, 이제 그 필연성에 따라 대상을 전개해 보겠는데, 먼저 감각적 확신이 하는 행위의 결과를 보자.}[1] [감각적 확신이 말하고 지시하는] <이것>은 항상 <이것이 아닌 것>, 달리 표현하면 <이것>을 지양한 것으로[2] 정립된다. 이렇게 지양되기 때문에 이 부정의 결과는 [아무런 둘레 없이 그냥 흩어지는]  무(無)가 아니라, [어디엔가 속했다는 흔적으로 한정되어 자기 정체성을 갖는] 규정된 무[3], 달리 표현하면 한가지 내용, 즉 [지시된] <이것>의 무인[4] 것이다. 이 무(無)는 이렇게 감각적인 <이것>을 지양한 것이기 때문에 이 무에는 감각적인 것이 아직 남아 있다. 다만, [목전에 있는 것에 찰싹 붙어있는] 직접적인 확신이 손가락으로 찍어올리려고 하는[5] 개별적인 것으로 남아있지 않고 보편적인 것으로 남아있게 된다. [나중에 보겠지만] 이런 보편적인 것이 바로 성질로 규정되는 것이다.<거두다/das Aufheben>는 우리가 보았듯이 부정적인 것에서 드러나는 부정행위가 갖는[6] 이중의 의미를 충실하게 담아내는 표현이다. <거두다>는 <거두어치워 없애버리다>라는 부정임과 동시에 <거두어치워 두다>라는 간직이다.[7] <이것이 아니다>라는 부정행위의 결과로 나타난 무는 <이것>의 직접성을 {소홀히 하지 않고 소중히} 간직하는 것으로서 스스로 감각적인 것이다. 다만, 이 무(無)가 간직하는 직접성은 {모든 <이것>을 품는} 보편적인 직접성일 뿐이다.



[1]원문 <also>

[2]<aufheben>이 갖는 <거두어치워 [없애]버리다, 거두어치워 [선반에] 올려 두다/간직하다, 한단계 업그레이드하다>란  세가지 의미로서의 지양.

[3]원문 <ein bestimmtes Nichts>. 부정관사 <ein>을 한가지/하나라는 <자기정체성>으로 받았다.

[4]원문 <ein Nichts von einem Inhalte, nämlich dem Diesen>

[5]원문 <meinen>

[6]원문 <an dem Negativen>

[7]원문 <aufbewahren>. 그냥 <보관하다, 보존하다/konservieren>란 의미가 아니다. 남이 보기야 보잘 것 없는 엄마의 사진을 가려 소중히 간직한다는 의미다. <aufbewahren>란 낱말은 지금은 사라진 <Wahr>라는 명사에서 파생된 낱말인데, <Wahr>는 양치기가 수백의 양을 세세히 구분하는 주의력(Aufmerksamkeit)으로 그들을 품어 보호하는(Obhut) 것과 비교되는 의미를 갖고 있다. <wahrnehmen/지각하다>의 <Wahr>도 이와 마찬가진데 <in Wahr nehmen/뭔가를 비호하다>란 말이 줄어든 것이다. 이 <비호/보호>란 의미는 <verwahrlosen>이란 낱말에서 잘 드러난다. 예를 들어 <Wahr>가 없어서 몸과 마음이 황폐해진 어린이들을 <verwahrloste Kinder>라고 한다. 그래서 <bewahren>에서 <wahren>은 사실 <in Wahr nehmen>과 같은 의미다. <wahren/비호하다>와 <wahrnehmen/지각하다>는 한속이다. <Wahr>는 또한 영어 <aware>, <to warn>등의 어원이기도 하다. 적이 오는지 구원병이 오는지 경각심을 갖고 망을 보기 위해 세운 <Warte/망루>란 낱말과 친족관계를 이루고, 이들은 다시 <wehren>과 함께 인도게르만어 <uer >에 어원을 두고 있다. <werden/되다>란 조동사에서 살펴보았듯이 <uer>는 <지렁이/Wurm>의 어원이기도 하다. <꼬다, 엮다>란 기본의미에서 <보호하다>란 의미까지 갖는다. 그래서 <bewehren>은 <나뭇가지 등을 꼬아 엮어서 울타리를 쳐서 보호하다>란 의미다. 독어 <Bürger/시민>에는 <citoyen>과 <bourgeois>가 혼탁하게 스며있는데, <Bürger>는 <Burg/성, Ville>를 <보호하는/방어하는/uer)> 사람을 가리키는 낱말이다. (Duden, Das Herkunftswoerterbuch, 1989 참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2

(§2) 이제 이 대상을 좀더 자세히 규정해야 할 차례다. 이 규정은 {감각적 확신에서와 같이 등장하는 것을 그대로 수용하는 규정이 아니라} [감각적 확신에서 얻은] 결과에서 {필연성에 따라} 간단하게나마 전개해야 하는 것이다. 보다 완벽한 전개는 이 자리에서 해야 할 일이 아니다. 대상을 지배하는 보편성이란 원리는 {[보편적인] [교환]가치를 창조하는 단순노동이 다양한 사용가치를 지니는 상품체를 생산하는 구체노동으로 매개된 것과 같이} 단순성이란 터전에서 {꼰대를 세우고 있지만} 그 단순성이란 [<이것, 저것>하는 구체적인 언사행위와 지시행위로] 매개된 것이므로, 대상은 이런 관계를 자신의 속성으로 하고 이 속성을 {밖의 다른 것과 교환관계에 들어가는 상황에서와 같이} 밖으로 드러내지[1]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대상은 다양한 성질을 지닌 사물로 자기 모습을 드러낸다. 이렇게 [우리가] 감각적인 지에서 보았던 풍부함은 지각에 속하는 것이지 마주하는 것에 찰싹 붙어있는 확신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후자에 있어서는 그 풍부함이 자기도 모르게 밖으로 드러나는 들러리에 불과한 것이었다. 지각이 [사물이 지니는 다양한 성질로서의] 풍부성을 갖는 까닭은 오직 지각만이 그의 꼰대가 되는 [ein vermitteltes Einfaches란] 대상에서 드러나는[2] 부정 혹은 차이, 달리 표현하면 다양성을 [알아보고] 갖기 때문이다.



[1]원문 <an ihm>

[2]원문 <an ihrem Wesen>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불량거래-§1

 

(§1)1 대상에 찰싹 붙어있는[1] 확신은 뭔가를 취하는데 있어서 그것을 참으로 취하지 못한다.[2] 왜냐하면, 그가 {망태에} 담게 되는 것은 항상[3] 보편적인 것인데도 불구하고 그는 언제나 {장대 끝에 달린} <이것>을 포기하지 않고 취하려 하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지각은 자기에 대해서 존재하는 것을 보편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감각적 확신/마음과 달리} 지각은 [이렇게] 온통[4] 보편성의 지배를[5] 받기 때문에 지각 안에서 바로 {논리적으로??}[6] 구별되는 두 갈래의 축도[7] 역시 항상 보편적인 것이다. 즉 <나>라는 것은 항상 보편자로서의 자아이며 <나>가 마주하는 대상은 항상 보편자로서의 대상인 것이다. 지각이란 보편성의 지배를 받는다라는 원리는 {헤겔/우리가 감각적 확신을 관조하는 가운데} {스스로??} 생성되어 헤겔/우리 앞에 나타난 것이다. 그래서 지각에 대한 헤겔/우리의 태도는 더 이상 갓 등장하는 감각적 확신에서와 다르다. 거기서 우리는 {애 달래듯} 감각적 확신의 태도를 취하고 그가 말하는 것을 곧이곧데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젠 그런 수용이[8] 아니라 [지각을 관통하는 엄연한] [자기]필연에 따른 수용이[9] 되었다. 이런 [지배로서의] 원리의 발생과 동시에 양대 축이, 감각적 확신의 등장에서는 단지 {우리가 감각적 확신을 쿡쿡 찔러서} 드러나게[10] 한 것이지만, 지각에 와서는 생성된 것으로서 {논리적으로 필연적이고 직접적인 것이 되었다}. 이 양대 축의 하나는 뭔가를 들어올려 보여주는 운동이고, 다른 하나도 역시 동일한 운동인데, 여기서는 운동이 단지[11] {아무리 들여올려 보여주고 보여주어도 아무런 접힘/굽힘/주름이 생기지 않는} 단순한 것으로서의 운동일 뿐이다. 전자가 지각함이고[12] 후자가 지각함이 마주하는[13] 것이다. 대상의 본질을 이루는 것을 염두에 두고 보면 대상은 지각함의 운동과 동일한 것이다.[14] 지각함의 운동은 [지각의 양대] 축을 전개하고 구별하는 것이고 대상은 이 [양대] 축이 하나로 묶여있는 것이다. [지각함은 모르고] 우리만 알고 있지만 본디[15] 지배하는 원리로서의 보편성이 지각에서 꼰대를 세우고 있는 것이고[16], 이 추상에 견주어 보면 지각 안에 구별되는 양대 축, 즉 지각하는 것과 지각되는 것은 들러리에 지나지 않는다.[17] 그러나 양쪽 다 {그들은 모르고 있지만 사실 보편성을 집행하는 것으로서}[18] 실제로는 보편성, 즉 {맑스가 말한 가치와 비교되는} 본질을 지니고 있으므로 둘 다 꼰대를[19] 세우는 본질이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을 모르는 지각 안에서는 양대 축이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관계하기 때문에 이런 대립관계 안에서는 둘 중 하나만이 꼰대일 수밖에 없고, 꼰대와 들러리라는[20] 차이가 이쪽 저쪽으로 나뉘어 질 수밖에 없다. 이중 {변함 없는} 단일한 것으로 규정되는 쪽, 즉 대상이 꼰대가[21] 되고, 이 대상은 지각되든 안되든 이것과 무관하게 임재해 있는[22] 꼰대가 된다. 반면, 지각함은 운동으로서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내구성이 없는] 들러리가 되는 것이다.



[1]원문 <unmittelbar/직접적인>

[2]이 번역은 <정신현상학>을 구원의 역사로 이해하고자 싶어 하는 마음이 밑바닥에 깔려 있는 번역이다. 역자는 사실 <감각적 확신>을 넘기기 힘들었고 아직도 힘들다. 그래서 읽다가 내팽개쳐 버리곤 했는데. 헤겔에게 야단맞는 <감각적 확신>의 편이였기 때문에 그랬고, 26살 배기 헤겔이 횔덜린에게 헌사한 시 <엘로이시스>를 버릴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헤겔한테 개기고 개겨보았고 아직 개기고 있다. 근데 이렇게 개기는 가운데 와 닿는 것이 하나 생겼다. 정신현상학이 단지 의식이 진보하는 역사를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 확신>이 손을 뻗어 잡으려고 했던 것을 정말 갖다 주겠다고 약속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 것이다. 불을 못 켜서 밤이면 바느질을 못하는 순이네 엄마의 방에 갖다 주려고 장대(!) 들고 망태(!) 메고 뒷동산에 올라 달을 딴 아이들의 망태에 달이 들어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번엔 정말 달이 들어있나 끝까지 가서 확인할 작정이다. 그리고 그 아이들의 얼굴이 어떤 얼굴일지 궁금하다. 빈자리 없이 주름으로 가득 채워진 사무엘 베케트의 얼굴이겠지만 회의보다 동심이 살아있는 얼굴이었으면 한다. 구원으로서의 역사에 관해서는 진보넷 블로거 김강님의(blog.jinbonet.minjung) 글을 참조하면 좋겠다.

[3]원문 <ihre Wahrheit>

[4]원문 <überhaupt>

[5]원문 <Prinzip/원리>. <Arche>에 기대어 <지배>라고 번역했다. 

[6]원문 <unmittelbar>

[7]원문 <Moment>

[8]원문 <ein erscheinendes Aufnehmen>

[9]원문 <ein notwendiges [Aufnehmen]>

[10]원문 <an ihrer Erscheinung nur herausfallen>

[11]원문 <aber>. 제한의 <그러나>

[12]원문 <das Wahrnehmen>

[13]원문 <Gegenstand>. 기울림체의 의미를 이렇게 번역해 보았다.

[14]<Reflektion des Gegenstandes in sich>?

[15]원문 <für uns oder an sich>

[16]원문 <das Wesen>

[17]맑스의 자본론이 연상된다. 가치(Wert) 차원에서 보면 이쪽 저쪽이 교환하는 동기가 되는 사용가치와 함께 이쪽 저쪽이 비본질적인 것이다.

[18]또다시 맑스가 자본론에서 말한 교환을 참조하면 좋겠다.

[19]원문 <Wesen>

[20]원문 <des Unwesentlichen>

[21]원문 <Wesen>

[22]원문 <Wesen>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 소제목 <사물과 불량거래>에서 <불량거래>의 원문은 <Täuschung/사기, 기만>이다. 어원이 <tauschen/교환하다>와 같다. 그래서 <tauschen/교환하다>에는 <거짓말로 속여서 받아들이게 만들다>라는 의미가 스며있다. 그래서 <불량거래>라고 번역해 보았다. 이 번역이 <지각>에서 이야기되는 것과 맞아 떨어지는지 두고 봐야겠다.텍스트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