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Out 2012

from 영화+독립영화 2012/07/19 03:5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관련

[Inside Out 2010]

[Review-Edie and Thea]

[Inside Out 2011]

 

 

홈페이지: http://www.insideout.ca/torontofestival

 

5월 17일부터 27일까지 열렸다. 올해는 영화를 한 편도 못봤고 자원활동만 이틀 하고 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새 시장이 당선된 뒤로 문화예술 관련 예산과 지원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모든 영화제의 정부 지원금이 줄었고 이에 관해 거리시위도 하고 연대서명도 했지만 전망이 밝지 않다. 이 영화제도 상황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자원활동을 지원, 등록, 배치하는 과정은 간단하다. Police Reference Check, 이런 거 안한다. 위급할 때 연락가능한 지인, 혹은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지인 두 사람의 연락처를 적어 낸다. 온라인으로 신청해서 이메일로 연락하다가 딱 하루, 한 시간 정도 오리엔테이션을 받으면 참여할 수 있다.

 

하루에 적어도 4시간 30분 이상 일하는 조건. 물과 간단한 간식, 일하고 나서 영화 한 편을 볼 수 있는 바우처 제공. 방친구, 교회친구, 나 셋이서 같이 신청해서 같은 날 일했고 내 바우처는 다른 분에게 드렸다. 상영시간표와 내 시간표가 맞지 않아서 그랬는데, 매표소에서 바우처를 내는 사람들에게 일일이 '저 정말 자원활동했니?'하고 물어보지는 않는다.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혹은 전공분야에서 요구하는 자원활동 시간을 채우기 위해 온 학생들, LGBTQ 커뮤니티 안에서 반드시 자원활동을 해야하는 이유를 가진 분들, 그리고 이 영화제에 대한 사전 지식이 전혀 없는 분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어서 분위기가 썩 화기애애하거나 적극적이지는 않다. 늦게 와서 대충 시간만 때우다가 가는 이들도 여럿 보였다.

 

아직 영어가 서툰 이민자들이나 아시안에 대한 몇 가지 편견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극히 주관적인 생각이므로 자세히 적지 않는다. 혹시 궁금하시면 이메일 보내주세요.

 

내년에는 자원활동을 하더라도 조금 더 따뜻한 분위기에서, 그리고 영화도 보고 후원금도 낼 수 있는 형편이 되면 더 좋겠다는 바람.

 

 

 

 

 

2012/07/19 03:50 2012/07/19 03:50

Pride 2012

from 토론토 2012/07/17 07:4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Pride 2011]

[Pride 2010-1]

[Pride 2010-2]

관련

 

사용자 삽입 이미지

                                                                                                                 photo by Naru

 

행진으로 시작한 7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hoto by The 519 centre

 

작년과 마찬가지로 Green Space on Church 에서 금요일과 토요일 이틀 연속으로 일하고

일요일은 깃발을 들고 걸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hoto by Naru

 

출발하기 전에 만난 분

올해도  팥죽 땀을 흘리며 걷느라 사진은 거의 못찍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hoto by Taras

 

일년 반 동안 한달에 한번 만나던 Refugee 모임 친구들, 올해는 각자 국기를 들고 참여했다. 낯이 익을만 하면 이사하거나 연락이 끊어지고 올 봄부터는 모임에 나가지 못해서 낯선 얼굴이 더 많았다. 출발할 때는 긴장한 탓인지 대부분 표정이 그리 밝지 않았다. 마칠 즈음에 돌아보니 눈물이 번진 얼굴로 다들 웃고 있었다.

 

내년에 또 만나자, 더 씩씩하게.

 

 

2012/07/17 07:43 2012/07/17 07:43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이대희 감독 인터뷰, 미디어 오늘, 2011

 

 

[영화인캠페인 7월의 정기상영회]

 

"영화/희망/나눔" 영화인캠페인 7월 문화나눔회 시사회 

 

2012년 7월 영화인캠페인 정기상영회는

고등어판 ‘쇼생크 탈출’, 애니메이션 <파닥파닥>의  문화나눔 시사회로 진행됩니다!

애니메이션 <파닥파닥>> >은

제13회 전주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한국 작품으로는 유일하게 공식 초청받아

‘CGV 무비꼴라쥬상’ 수상 및 2012년 영화진흥위원회의 애니메이션 개봉 지원작으로 선정된

올여름 ‘주목할 만한’ 애니메이션 작품입니다.

 

영화인캠페인의  7월 문화나눔 시사회를 통해서 

2011년 220만 관객을 동원한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시작,

11년의 제작기간을 거쳐 탄생한 <소중한 날의 꿈>,

제 65회 칸 국제영화제 감독주간에 공식 초청된 <돼지의 왕>으로 이어진

한국 장편애니메이션의 도약이 계속 될지 직접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7월 문화나눔 시사회 개요>

○ 주 최 : 영화인 캠페인(아름다운재단, 여성영화인모임, 영화인회의, 영화제작가협회,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한국독립영화협회, 씨네21)

■ 일 시 : 2012년 7월 17일 화요일, 오후 7시 30분
■ 장 소 :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종로2가 낙원악기상가 4층)
■ 상영작 : 애니메이션 <파닥파닥>

               (연출 이대희/목소리 출연: 김현지, 안영미, 현경수, 이호산, 시영준/78분)

 

○ 문의처 : (사)여성영화인모임 사무국 02-723-1087

 

※ 영화인캠페인 정기상영회는 1천원 이상의 기부입장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 기부금은 아름다운 재단을 통해 청소년 문화체험을 위한 활동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 영화상영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 시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영화정보 

   

 

 

시놉시스


2012년 7월, 고등어의 횟집 탈출이 시작된다!

 

자유롭게 바다 속을 가르던 바다 출신 고등어 '파닥파닥'.
어느 날, 그물에 잡혀 횟집 수족관에 들어가게 된다.
죽음이 예정된 극곳에서 가장 오래 사아 남은 '올드 넙치'.
그는 자신만의 생존비법(?)으로 양어장 출신의 다른 물고기들의 신망을 받는 권력자다.

바다로 돌아갈 꿈을 버리지 않고 탈출을 시도하는 '파닥파닥'으로 인해
수족관의 평화(?)는 깨지고, '올드 넙치'와의 갈등은 시간이 갈수록 커져만 가는데...

 

바다를 향한 고등어 '파닥파닥'의 꿈은

과연 이루어 질 수 있을까?

 

■ 신청

 

참석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의 내용 작성하셔서 답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

<영화인캠페인 7월 문화나눔 시사회 <파닥파닥> 신청>

 

■ 이     름  :

■ 연 락 처  :

■ 소     속  :

■ 신청매수 : 본인포함 (       ) 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영화인들의 나눔이, 풍성한 소통이 되어, 아름다운 영화로 찾아갑니다”

아름다운재단, 씨네21, 여성영화인모임, 영화인회의, 영화제작가협회,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한국독립영화협회는

함께 ‘영화·희망·나눔 영화인캠페인’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2/07/11 02:08 2012/07/11 02:08

오늘 졸업합니다

from 토론토 2012/06/14 01:3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만약 참석하게 되면 동생 식구들에게 주려고 초대장을 몇 장 미리 예약해뒀는데

결국 안가기로 했다

 

거기 서서 사진이라도 한 장 찍을라치면, 정말 울지도 몰라.

다 잊어버렸는데도 몇 가지, 여전히 가슴 한복판을 콕콕 찌르는 장면들이 있다

이 학교에 다니는 동안, 그래도 나를 아프게 한 사람보다 도움을 준 분들이 더 많았다

 

이토록 느리게 자라는

도대체 언제 사람이 될 지 알 수 없는 이런 나를

지금까지 잘 키워주셔서 고맙습니다

이 블로그에 가끔 방문하시는 당신께도 인사 전합니다

오늘 졸업해요

 

 

 

2012/06/14 01:32 2012/06/14 01:32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낙태에 관한 다큐멘터리, '자이제댄스타임'이 더 많은 분들의 후원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http://letsdance2012.tistory.com/

아래는 제작 블로그에서 (허락받지 않고) 가져온 글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후원요청의 변
손 내밀지 않으려고 했는데, 이거 참, 이런 시국에 후원이라니...아직은 밥 먹고 예술하려니, 뜻이 있는 분들의 도움이 필요하군요.

저희는 지금 '자,이제 댄스타임'이라는 극영화+다큐 형식의 장편 영화를 촬영하고 있습니다. 서로 품앗이 하는 제작시스템을 만들어보자며 '버라이어티 생존 토크쇼'의 조세영 감독이 연출, '모래' 연출한 가람이 구성과 극파트 제작피디, 그리고 '그 자식이 대통령 되던 날'을 연출한 손경화가 촬영과 피디로 공동제작중인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낙태'를 주제로 한 작품입니다. 많은 여성들이 경험했고 지금도 경험하고 있지만, 아무도 이야기하기 원하지 않는 주제이지요. 그래서 더 늦기 전에 반드시 이야기되어야 하는 주제이기도 합니다. 다큐멘터리로 시작을 했지만, 얼굴을 드러내고 이야기하는 것의 한계 때문에 극영화를 넣기로 했고, 3월 23일부터 4월 5일 사이에 7회차 극 촬영에 들어갑니다. 네! 극영화 제작비 때문에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빌릴 수 있는데까지 빌리고는 있는데, 20여명에 이르는 스탭들 인건비도 제대로 못주고 있습니다. 계약서가 민망해하는 소정의 금액이랄까요.

밥이라도 제대로 먹으면서 촬영하기 위해서 이렇게 부탁드립니다. 이제 줄일 수 있는 예산은 식비뿐이라...그것마저 줄일 수는 없어 급하게 페북을 찾았습니다. 삼각김밥 먹고 예술하자고 말해야하는 민망함을 좀 덜 수 있길 바라며, 아니 열심히 참여해주시는 스탭분들에게 맛있는 밥이라도 대접할 수 있길 바라며...자꾸 늘어나는 제작비 때문에 얼굴이 어두워져가는 가람의 얼굴이 밝아지기도 기대하며!

이 영화가 잘 만들어지길 바라는 개인, 단체들의 후원을 기다립니다. 그리고 마음 약한 지인들의 후원도 기다립니다. 미리 감사하고 죄송합니다.

후원방법
1. '자이제댄스타임' 극영화 촬영 현장의 밥값을 후원을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목표금액은 극영화 촬영스탭 약20명*3끼*6일*5,000원=1,800,000원입니다.

2. 후원금액은 1인 1끼 밥값인 5천원이상이면 무조건 오케이!

3. 계좌 1002-739-955520 (우리은행, 예금주 손경화)로 송금

4. 송금 후 페북 댓글로 이름, 연락처, 메일주소를 보내주시면 됩니다. 아니면 메일 suzubgirl@gmail.com 으로.

5. 4월 5일 극영화 촬영이 끝나는 날 후원을 마감하겠습니다.


후원해주시는 분들!
0. 영화제작과 밥후원의 취지에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후원금은 오로지 밥값으로 사용하겠습니다. 목표금액을 넘어서면 더 맛있는 밥을 먹는데 사용하겠습니다. 후원금 사용내용은 페북과 메일을 통해 공유하겠습니다.

1. 5천원이상-3만원미만의 금액을 후원해주신 분들께 엔딩크레딧에 [밥 후원]으로 이름을 넣어드리겠습니다.

2. 3만원이상-10만원미만의 금액을 후원해주시는 분들께 엔딩크레딧 [밥 후원]으로 이름 기재 + 시사회 초대를 하겠습니다.

3. 10만원 이상의 금액을 후원해주시는 분들께 위의 내용과 함께, 1회 무료 공동체 상영권을 드리겠습니다.

 

 

 

2012/05/11 00:42 2012/05/11 0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