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빈곤화의 이주여성을 읽고...

  • 등록일
    2005/04/25 09:42
  • 수정일
    2005/04/25 09:42
* 이 글은 schua님의 [빈곤화와 이주여성] 에 관련된 글입니다.

그냥 몇자를 끌적여 본다. 아시아에서의 노동시장의 축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을 제외한 동남아 국가의 경우 노동시장이 부재하거나 노동시장에서 몇 %노동자가 작업장에 들어가 일에 종사한다. 그/녀들(얼마전 이주노동자 찌라시에서 발견한 그/녀들... 무심코 썼던 그들이라는 지칭이 일방주의적 사고 였음을 그/녀들이라는 글을 읽고 발견하였다. 인식한다고 하지만 늘 부족한 나를 발견한다.)의 노동시장에서 활동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나마 동남아시아 노동시장에서 이주여성 빈곤화는 문제의 화두이다. 그렇지만 필리핀의 경우 여성의 빈곤화보다는 여성노동자의 종사하는 사업에 대한 문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내가 인접하고 있는 송탄의 경우 필리핀 여성 이주노동자들이 연애비자를 갖고 많이 나와 있다. 그리고 홍콩과 싱가포르 이주하는 필리핀 여성 이주노동자의 경우 가정도우미(가정부라고 우리는 지칭하지 않았던지)로 간다. 필리핀이주노동자들에게 있어 홍콩, 싱가포르, 일본, 한국은 그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산업에 이주노동자가 분포(건설,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에 분포)하고 있지만, 여성의 경우 단순생산직과 식당 이외엔 전적으로 유흥업소로 많은 여성노동자들이 진출하고 있다. 송탄에 있어서는 거의 필리핀 이주노동자들이 미군기지(오산비행장-송탄 위치)로 인하여 많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다. 이렇듯 여성노동자들의 경우 빈곤화 또한 문제이지만 서비스 직종에서 복무하는 문제 또한 간과하여서는 안될것 같다는 생각을 가져본다. 그나마 필리핀의 경우 좌/우 활동이 존재하고, 정치사상의 자유가 존재하여 개인의 정치적 의식(민족적 사고보다는 전지구적 사고와 노동에 대해 인식이 한국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으로 인하여 이주노동자를 지원하는 필리핀내 조직이 있다. KMU가 있고 각 나라별 KASAMACO(카사마코)라는 각 나라별 이주노동자 공동체가 있어 그 나라별 상황을 코디네터하고 같이 어려운 상황을 공유한다. 그나마 여성의 빈곤화보다는 산업진출에 있어서 여성에 있어서 노동시장의 문제가 화두로 필리핀의 경우 내재하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을 가져본다. 그러나 문제는 여성의 빈곤화... 그/녀들의 빈곤화에 있어서 상당히 문제의 심각성을 낳고 있는 지역이 서남아시아이다. 얼마전 말지에서 보았던 스리랑카 노동자들의 삶... 놀라울 따름이다. 자유무역지대에 노동자들이 한달에 벌어들이는 수입이 45달러라고 하고, 그외 다른사람들의 경우 산업기반이 없어 1달러 수입을 밑돌고 있다는 이야기... 그.녀들의 고통이 고스라니 남아 있다. 산업기반이 생기면 그들은 득세하고 그녀들의 빈곤화로 이어지겠지만... 그리고 네팔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이다. 생산기반 시설이 없고, 지폰 조합원의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는 분들... 아니면 한국에 이주한 노동자들이라는 사실은 네팔의 산업시설.. 노동시장보다는 봉건제 시대로 있음을 직시할 수 있다. 자본주의가 아닌 봉건제 사회로 있음을 사회적 현상을 보면 직시할 수 있다. 아직도 카스트제도의 위용이 남아 있고, 지역분립으로 내전을 벌이고 있는 스리랑카 서남아시아의 경우 근대화보다는 전근대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그나마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쉬의 경우 인도와의 종교분쟁으로 독립을 쟁취한 국가로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고 있지만, 생산시설 대부분을 균형있게 분배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여성의 빈곤화는 자본주의 시스템이 안착화 시기가 구축되고 있는 중국, 한국,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의 아젠다가 아닐까 생각을 가져본다. 그렇다고 서남아시아의 경우 그녀들의 고통이 없지는 않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빈곤화의 문제를 넘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부여되고 있지 못한 사회임이 개탄스러울 따름이다. 개인적으로 여성에게 있어 사회적 역할 부여에 있어 선후가 있을 수 없지만 산업화라는 명제아래 다양한 산업에 분포하고 있지 못한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 또한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을 가져보게 하는 글이라 판단되어 끄적여 봄. 그냥 생각을 끄적여 보았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