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14/04/22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4/04/22
    푸른영상 - 기차길 옆 공부방
    간장 오타맨...
  2. 2014/04/22
    세월호 참극은 국가의 총체적 부실과 규제완화가 낳은 비극이다.
    간장 오타맨...

푸른영상 - 기차길 옆 공부방

  • 등록일
    2014/04/22 23:41
  • 수정일
    2014/04/22 23:41

일상이 묶인 몸이라 여유가 있어 기간하지 못했던 것 보고 싶은 것을 즐기고 있다. 푸른영상의 기차길 옆 공부방을 어찌어찌 구해 보았다.
잔잔한 감동과 그 곳이 있어 마음이 놓인다는 생각을 가져보았다.
그 작은 감동과 이야기가 일상이 무미건조한 나에게 햇살을 비춰주고 있다.
투쟁도 그렇게 소소하게 그렇지만 우리 모두 마음속 깊이 투쟁의 감동에 감흥을 받고 힘받고 그 힘으로 밀고 나가기를 빌어본다.

그 잔잔한 감동 끌적여 본다.
이전 블로그에 쓴 글을 약간 손 봐서 올려본다.

푸른영상에서 만든 기차길 옆 공부방 영상을 보고서 인천에 살면서 그곳을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곳에 꼭 한번 가보고 싶다는 생각과 함께...

인천 만석동에 있는 오래된 공부방.....
"가차길 옆 공부방"

깊이 있는 공부방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때 대학가에 불기시작한 야학과 공부방 교사는 서울의 철거촌과 공단지역이 점차 사라지면서 서서히 그 명맥을 잃어가고 있느데.. 인천 만석동의 공부방은 약 12년간이나 지역민들의 애환을 가슴으로 간직하면서 함께 희노애락을 함께 한 공부방이라는 것을 영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성장한 공부방 어린이...
그리고 지속적으로 기차길 옆 공부방을 지켜온 교사 들... 그들이야 말로 이 시대를 부여않고 살아온 사람들인 것 같다. 계속 한 지역에서 자신의 사람의 터전을 마련하면서 초기의 생각을 가지고 살 아가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만석동 주민들의 애환이라 말로 표현하지만 그들의 삶을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막연히 공부방 교사의 삶이 낭만적 지식인으로서 비추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 들의 내면을 유심히 살펴보면 무언가 우리와 다른 이상이 있지 않은지 감히 생 각을 해보게 된다.

정말 만석동 아이들의 그늘진 얼굴... 삶의 그늘진 모습들.. 마음으로 가슴으로 느끼지 않고서는 말료 표현하기란 정말 힘들다.

인천 만석동이란 곳에 이런 곳이 있었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고..
전에 철거촌에서 잠시나마 공부방 선생님 역활을 했던 내가 부끄럽게 느껴진다...
인천 만석동이란 동네에 있는 기차길 옆 공부방이라는 곳을 방문하여 그들의 진한삶 의 단면을 같이 느끼고 싶다.

그 공부방이 있어 안심이든다는 생각이 머리속을 떠나질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세월호 참극은 국가의 총체적 부실과 규제완화가 낳은 비극이다.

  • 등록일
    2014/04/22 11:26
  • 수정일
    2014/04/22 11:26

촛불이 아랫녘에서부터 밝혀지고 있다.
무사생환 기원을 바랬던 이들의 그 마음들이 모이고 기도가 되었다.

그 울산 공장에서 폭설의 재난에도 실습으로 알바로 일해야 했던 젊음이...

부산외대 O.T장이었던 실내공연장 건물에서 입시지옥을 탈출한 젊음이 꽃 피우기도 전에 죽음을 맞이하였다.

교육과 경쟁만이 존재하는 교육전장터인 교육현장 공교육이 무너진 자리... 그래도 고등학교 그 즐거운 추억이 될 수학여행에서 그 국가의 총체적 부실이 재난을 인재로 만들었다.

국가의 규제완화 재난 시스템 부재가 재난을 인재로 키우고 그 인재를 신속히 대응하여 살아있을 그 생명들을 수장시켰다. 또한 언론은 이 그 현장에서 생명들의 외침을 정론직필하여야 하지만 그 현장 취재에서 언론으로서 존재치 않았다.

국가와 언론 이 자본주의 이윤과 욕망이 재난을 인재로 키우며 그 꽃다운 생명 피지 못한 생명과 그 여행의 길 돌아오지 못한 길을 걷게하였다.

그 죽음이 생명에게 진혼곡 올리는 구슬픔이 미안함이 하나둘이 아니라 울분으로 표출되고 촛불로 번지고 있다.

이 사회 그 규제와 시스템이 노동자 인민을 때려잡더니 이제는 그 생명들의 죽음에 내몰았다. 이제 울분 분노 촛불들이 모여 그 추모 진혼곡으로 국가의 책임 부실 아니 작금 그 안전불감증의 원흉... 자본의 규제완화 그 부실의 공공성 규제완화를 외쳤던 자본에 대한 특혜 민영(사유)화라는 총체적 국가의 부실을 바로 잡아야 한다.

이 사태에 대한 책임을 어물쩡 넘기면 안된다. 우리 올해만도 그 귀하디 귀한 생명이 국가의 규제완화 공공성을 경쟁으로 보고 있는 정권의 "창조 경제"가 낳은 참극이다.

공기업의 방만 운영 비정규직 양산, 국민의 안정성을 시장에 팔아넘기고 있는 자본과 정권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총체적 부실, 규제완화 민영화 논리를 앞세운 공공재의 시장화가 낳은 현상이다.

이 사태 그 촛불이 모이고 모여 추모를 넘어 우리의 생명을 국가로부터 되찾고 나설때이다.

이 길 민주노총이 메이데이 그 추모와 분노를 함께하여야 한다. 이 자본의 횡포 민영화 규제완화 개발독재에 맞서서 이 땅의 노동자 인민과 공분을 모아 총체적 부실 규제완화로 생명을 수장시킨 자본가 정권에 맞서 우리의 생명권을 그리고 자본으로 부터 피받받는 노동자 인민과 추모의 꽃에 진혼곡으로 넋 달래고 그 살인극 막기 위한 분노 저항의 횃불을 들때이다.

노동자의 날 세계 노동절 그 추모 울분 분노의 진혹곡으로 결의 다지고 저항의 횃불로 꺼져간 생명 위로하고 우리 생명권을 찾기 위한 길 나설때이다.

이 잔인한 4월 학살의 5월 맞이할 우리가... 나설때이다. 메이데이 기점으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