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학문은 도둑질을 잘해야 한다.

문득, 학문은 도둑질이라는 생각이 든다. 말이 <문득>이지 사실 그렇지 않다. 잡다한 생각을 글로 옮기려다 보면 그런 잡다한 것을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좋을지 모르는 난제에 빠지게 되는데, 그때마다 구세주처럼 등장하는 말이 <문득>이라는 낱말이다.

 

진보넷에 블로그를 만들면서 아무런 생각 없이 라이선스 선택에서 를 골랐다. 그러다가 뭔가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것을 <정보공유라이선스 4>로 고쳤다. 그런데도 <뭔가 아닌데>라는 생각이 떨어지지 않고 집요하게 따라 다닌다. 그리고 <정신현상학>을 번역하면서 문득(!) 내가 도둑질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리고 학문을 제대로 하려면 도둑질을 잘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몇 자 적어본다.

 

Karl Krauss가 그랬던가 책 도둑은 도둑이 아니라고. 지적인 것은 <남의 것이 될 수 없는 내 것>(Eigentum)이 아니라 <누구 것이든 하여간 내가 소유>(Besitz)하면 된다는 이야기다. 70년대 말부터 90년대 말까지 간행되었던 라는 잡지가 있는데 는 국가의 허락을 받고 이적국가의 선박을 약탈하는 해적을 일컫는 말이다. 학문은 학문의 허락아래 Freibeuter처럼 도둑질을 해도 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런데 문제는 도둑질을 잘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번역하면서 내가 도둑질해서 쌓아놓은 <지의 창고>에 들어가 뭐 쓸만한 것이 없나 하고 들여다보니 쓸만한 것이 별로 없다. 마치, 미술박물관에서 들어가서 진품은 가만히 나두고 그림아래 붙어있는 딱지만 열심히 모아 논 것 같다. 진품을 들고 왔어야 했는데. 그래서 학문의 박물관에 잠입하여 도둑질을 다시 해야 하는 판이다. 짜증난다. 왜 그런 멍청한 좀도둑이 되어서 진품은 그대로 나두고 그런 쓸데없는 것만 잔뜩 모아놓았는지.

 

그러다 보니 학문의 전통은, 학문의 대행진은 큰도둑들의 대행진으로 보인다. 좀도둑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 큰도둑들은 도둑질하는 기술을 닦고 또 닦아서 진품을 귀신같이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가 된 것이 아닌가 한다. 학문 박물관의 경비가 심해졌고 또 전시품을 이리저리 나눠나 도둑질을 하기가 어렵게 되었다고 짜증만 내지 말고 어디에나 거침없이 들어가는 큰도둑이 되는 것도 한번 생각해 볼 문제다.

 

물론 도둑질해온 진품에 딱지를 붙이는 일은, 즉 출처를 밝히는 일은, 도둑놈이지만 신사적인 차원에서 해야겠지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현상학 서론 §9

(§9) 지가 이렇게 앞으로 끌려 나아가는 양식과 그 필연성에 관하여 예비적이고 일반적인 차원에서 할말을 다한 마당에, 서술의 전개방법에 관해서도 미리 몇 가지 사항을 상기시키는 것이 쓸모 있을 것 같다.

학문이 지와 다투는 일은 보류하고 무대에 등장해서 운동하는 지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취지아래 이루어지는 이 서술은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지에 대한 학문이 취하는 일정한 태도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 때 학문이 취하는 태도는 인식의 실재성을 조사하고 그의 진위를 가르는 것이라고 한다면, 뭔가를 전제하고 이를 진리의 기준으로 삼는 척도를 마련하지 않고서는 이와 같은 서술이 이루어질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진위를 가르는 조사는 척도로 삼은 잣대를 조사 대상에 갖다 대어 재보는 것으로서 조사 대상과 잣대가 서로 맞아떨어지는지 그렇지 않는지에 따라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척도라는 것은 본질 또는 불변하는 그 무엇으로[1] 여겨지기 때문에 학문이 척도가 된다면 학문이 또한 그런 본질 또는 불변하는 그 무엇이 되겠다. 그러나 학문이 갓 등장하는 이 마당에선 학문이든 그 무엇이든지 간에 아무것도 본질이나 불변하는 그 무엇으로 정당화될 수가 없다. 사태가 이렇게 본질 또는 불변하는 그 무엇을 기준으로 택할 수가 없다면 허실을 가르는 조사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겠는가. 그럴듯한 질문이다.



[1] 본문 . <본질>이라고만 하지 않고 머리 아프게 라는 말을 삽입했는가? 살펴보자. Wesen(본질)은 우선 고대 그리스어 ousia의 번역이다. Ousia의 번역 역사를 보면 라틴어로 substantia 또는 essentia 번역되었는데 이것은 ousia가 갖는 바탕에 깔린 것(hypokeimenon,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 참조.)이라는 의미와 우리가 무엇을 무엇으로 알아보는데 그 무엇을 그 무엇으로 알아보는 속성으로서의 근거 (to ti en einai: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7(Z)에서 토론됨.)라는 의미가 전자는 substantia, 후자는 essentia로 옮겨진 것이다. 독일에서는 라틴어 substantia essentia의 변형인 Substanz Essenz라는 낱말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지금은 지배적으로 이라는 낱말이 ousia의 번역으로 사용된다. 이라는 동사의 어원인 인도게르만 낱말 <머무르다> (Verweilen), <어디에 입주해 있다, 살다>(wohnen)라는 의미가 있다. 은 이런 의미로 18세기까지 사용되어 오다가 이라는 동사로 대치되고 이 지녔던 뜻은 이라는 동사가 물려받게 된다. 그래서 은 그리스어 ousia 또는 라틴어 substantia essentia보다 훨씬 더 동사적인 의미, 즉 능동적인 의미를 갖고 있고 이라는 동사의 명사형 이라는 동사가 갖는 의미를 물려받아 <한때 존재하다> <한때 어디에 입주하여 존재하다>라는 의미가 강하고 <영원히 그렇고 또 지금 그렇다>라는 의미는 뒷편으로 물러나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그리고 의 개념은 바탕에 깔려있는 것 이라는 의미와 함께 자연이 부여한 속성이라는 의미로 동시에 사용된다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 12, 622쪽 참조). 본문의 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것처럼  를 형식적으로 (peri autou/수박겉핥기와 같이 사물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사물 주변을 맴돌면서) 보면 본래적인 속성이라는 혹은 자연이 부여한 속성이라는 의미의 auto>와 같은 의미다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7 4 1029b11 이하 참조). 그리고 잣대는 변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불변하는 그 무엇>으로 옮겨보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