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수동 변증법 (4)

최근 본 국제시장에서 가장 심금을 울렸던 장면은 이산가족찾기 자료화면에 겹친 패티김의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이 노래에 알렉산더 미타의 영화 "떠돌이의 동화" 주제곡 "사랑의 맹세"(알프레드 슈니트케)가 겹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수동 변증법 (3)

앞에서 한국 진보.좌파의 퇴행을 “체계들의 차례”(Serie der Ordnungen, 자본론 제2판 후기)를 단절1로 대신한 좌파의 망각의 정치에 있다고 진단했다.

 

어제오늘의 생각이다. 새누리당의 약진, 홍준표 경남지사가 야기한 무상급식을 둘러싼 논쟁, 인성교육진흥법 등 최근의 일을 보며 떠오른 생각이다. 이곳 블로거 예술인생님이 늘 지적하는 점이긴 하지만.

 

참세상 김용욱 기자의 보고서 “계급정당 이번엔 건설할 수 있을까”란 제목의 글을 읽어내려가면서 더 정확하게 애기할 수 있게 되었다.

 

[노힘은] 민주노동당과 한국진보연대 등 민족-통일 운동진영과는 선을 그었다.” 이 한마디에 속이 쓰리다. 이 말이 함축하는 내용을 완미하진 못하지만 모종의 단절을 감지하고, 이 느낌의 근거를 제시해 보려고 한다.

 

‘변혁적 현장실천 노동자 계급정당 추진위원회(추진위)’는 제도권 내 진보세력=정의당를 비판하는 가운데, “노동조합과 현장조직, 대중운동 조직에 사회주의 정치를 드러낼 공간[] 확보”를 제시하지만, 양자 모두 단절이란 범주안에서의 정치세력화의 노력으로 분석될 수 있다. 잘될리가 없다.

 

진보.좌파는 자의 반 타의 반 종북몰이에 걸려 목욕통의 꾸정물과 함께 아이를 내버리듯이 (독일 속담: das Kind mit dem Bade ausschütten) ‘민족’을 내버렸다. 내버리면 될 줄 알았다. 그러나 의식의 장에 출현한 의식 내재적 사건은 밖으로 쫓겨나지 않는다. 의식의 장에서 축출된 것(: Verdrängtes)은 결코 축출되지 않고 음영의 삶을 살면서 필연적으로 회귀하게 되어 있다. 병적인 모습으로. ‘민족’을 ‘더러운 꾸정물’로 취급하고 그것을 ‘북한’과 연계시켜 잘라냈다. ‘민족’을 추방할 수 있는 외국인으로 취급했다. 북한 삼대세습 독재하의 인권유린을 두고 어찌 그리하지 않을 수 없었겠지만. 그리하여 모순을 담아내는 능동 변증법이 아닌 배후에서 작동하는 수동 변증법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 결과 아이는 내버려지고 꾸정물만 남게되었다.

 

이 꾸정물 ‘민족’이 새누리당의 서식지다. 이 서식지 생성에 ‘민족’을 발견적인, 인식을 돕는 개념으로 발전시키지 못한 진보.좌파의 결함이 결정적이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1. 여기서 단절은 역사의 단절로서 “성찰적 문제의식[의] 부재”(참조: 예술인생, http://blog.jinbo.net/alternativeasia/search/%EB%8B%A8%EC%A0%88)를 거쳐서 “심화되면 망각”의 지경까지 이르는 망각의 정치란 의미로 사용한다. 텍스트로 돌아가기

수동 변증법 (2)

혁명적인 것에 마치 그의 그림자가 그러듯 “모든 것을 파괴하는 無의 반동하는 정적(靜的)”이 따라 붙어 있을 경우, 그리고 이 둘 간의 결전(決戰)이 많이 회자되는 나비의 날개짓과 같은 우연적인 요소들에 달려있는 경우, 그는 [에른스트 블로흐는] 원리상의 전략보다 전술적인 가동성을 우선하여 “반동적인 전환의 우연에 우연으로” 맞서라고 권고한다 (출처: 볼프강 하우크, 실천 변증법을 위하여)

 

 

 

영국 더럼대 국제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의 최근 발표에 의하면 빨강색은 “우세와 공격성”(dominance and agression)의 상징으로 인지된다. 이에 앞서 러셀 힐은 “스포츠에서 빨강이 우세다’란 연구조사를 발표한 적이 있다. 결전의 상황에서 빨간 스포츠 티를 입은 팀이 훨씬 더 자주 승리한다는 게 연구의 결과였다.
 

 

새누리당이 빨강을 선택하고 이겼다. 그리고 계속 이기고 있다. 보수가 진보.좌파의 상징인 빨강을 선택한 정당이 한국말고 다른 국가에 있을까? 레드콤플렉스에 걸려서 아니면 우려해서 진보.좌파조차 꺼리거나 조심스럽게 사용했던 색깔을 과감하게 선택한 것이다. 2002년 붉은 악마의 인파에서 불구하고 진보.좌파는 빨강을 꺼렸다. 그리고 마침내 빨강을 빼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누리당은 변증법을 능동적으로 활용하여 이렇게 뒤집어 놓았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수동 변증법 (1)

변증법은 실천이성에 속할 것이다 (참조: 볼프강 하우크, 실천 변증법을 위하여(für praktische Dialektik). 그러나 실천을 현실개입으로 국한시킬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이성의 대상인 “관념적인 것(das Ideelle)이 그저 인간의 머릿속에서 전치(轉置).전환되고(umgesetzt) 번역된(übersetzt) 물질적인 것(das Materielle)”(MEW 23, 2판 후기)이라면, 실천이성은 먼저 물질세계의 “모든 생성된 형식을 운동의 흐름 안에서”(“jede gewordne Form im Flusse der Bewegung”, 같은 곳) 파악하는 가운데, 단절과 연속으로 이어지는 “체계들의 차례”(“Serie der Ordnungen”, 같은 곳)를 연구하고, 영원불변하는 한 형식의 법칙이 아니라 “현상들의 변화와 발전의 법칙, 즉 한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의 이행, [상이한 혹은 모순되는 사실들을 한줄로 묶어두는] 하나의 결속체계(Ordnung des Zusammenhangs)에서 다른 결속체계로의 이행에 관한 법칙”(같은 곳)을 서술하는 이성일 것이다. 그래서 변증법을 두고 굳이 실천이성과 이론이성을 분리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죽은 개”(“tote[r] Hund”, 같은 곳)의 전도된 형식의 변증법도 “현실에 부합하는 형태”(“in ihrer rationellen Gestalt”, 같은 곳)를 살리면 “[제도, 체계, 질서 등] 자리를 잡은 것에(des Bestehenden) 대한 긍정적인 이해 속에 그것의 부정과 그것의 필연적인 몰락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포함하고, 생성된 모든 형식을 운동의 흐름 속에서, 다시 말해서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영원할 거라는] 형식을 또한 흘러지나가 과거로 떨어지는 그의 [한시적인 면에] 주목하면서 파악”(같은 곳)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증법은 “본질상 비판적이고 혁명적”(같은 곳)이다. 그래서 부르주아와 그 교리의 앞장에 서있는 글쟁이들은 변증법을 혐오하고 ‘질서’를 모독하는 이성으로 치부할 것이다. 마치 성육신한 하나님의 죽음을 영원불멸의 신성 모독(Ärgernis)으로 여긴 유대인이 그랬던 것처럼(고린도전서 1.23).

 

근데 이상하다최근 들어 좌파가 오히려 변증법을 더 멀리 하는 조짐이다. 부르주아는 그걸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는데그 이유는 "체계들의 차례"(Serie der Ordnungen)를 단절로 대신한 좌파의 망각의 정치에 있다고 진단한다. 변증법 포기는 궁극적으로 혁명포기이며, 부르주아 주도 아래 이루어지는 변증법을 수동적으로 당하는 상황을 초래한다. 관련 일련의 현상들을 연재해 보려고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5.18

5.18 35주년 기념행사에 “민주화” 혹은 “민주시민”이란 말밖에 없다. 허전하다. (Gesicht)을 상실한 건가 아니면 얼굴(Gesicht)이 훼손된 건가. 알아볼 수가 없다. 청각을 상실한 건가 아니면 소리가 훼손된 건가? 기억할 수가 없다.

민중”은? “민족”은? 이곳 예술인생님의 글 2.28, 5.18, 그리고 6.4: 冷戰과 失語”를 재독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동독체제=불법국가(Unrechtsstaat)? - 4 (뵈켄푀르데)

ou_topia님의 [동독체제=불법국가(Unrechtsstaat)? - 4 (구스다프 라드부르흐)] 에 관련된 글.

 

[번역]

원문 (FAZ)

 

개념해석

법치국가 아니면 불법국가?

 

25년전 독일 통일이 이룩되었다. 동서 간의 참호들은 여전히 봉해지지 않은 상태로 잔존하고 있다. 여기에 구동독(DDR-독일민주공화국)을 싸잡아서 불법국가라고 지나치게 단죄하는 것이 한몫한다.

 

기고: [“자유주의 세속 국가는 스스로 보증할 수 없는 전제조건들을 자양분으로 하여 존재한다”(“Der freiheitliche, säkularisierte Staat lebt von Voraussetzungen, die er selbst nicht garantieren kann.”)란 유명한 격언을 남긴, 독일 법계 대가] 에른스트 볼프강 뵈켄푀르데(ERNST-WOLFGANG BÖCKENFÖRDE)

 

 

통독 이후 사반세기가 지난 지금 구동독이 불법국가였다는 견해가 만연하다. 그와 동시에 구동독은 개념적으로, 그리고 음향적으로 법치국가와 대립되는 자리에 놓여있다. 그럼으로써 구동독은 간명하게 표시되고 전반적으로 탈정당화된다. 법치국가라는 표시가 한 국가를 간명하게 특징지우면서 정당화하는 것과 대조된다. 근데 이런 간명성의 외관이 맞는가? 법치국가의 명료한 대응물이 되는 불법국가 동독이 과연 있었는가?

 

법치국가는 국가 효능이 [실현되는] 통로들과 [] 한계들을, 그리고 국민의 자유권(自由圈)을 법의 양식으로 규정하고 보호하는 국가다.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슈탈의 [법치국가에 대한] 고전적인 정의는 19세기 중반 이래 내용적으로 보충되어왔다. 오늘날의 이해의 따르면 법치국가를 [알아볼 수 있는] 특징들은(Merkmale) 특히 기본권 보장, 권력분립 보장, 행정과 재판의 법률과 법으로의 구속, 그리고 법관의 독립성이다. 하지만 법치국가의 출발점과 핵심은 여전히 모든 국가 행위가 법의 양식으로 이루어어져야 한다는 데에 있다.

 

 

선 자유, 후 정의

 

그 때문에 법치국가는 정의국가가 아니다. 통독후 [동독]사회주의통일당 레짐을 무너뜨린 사람들을 대신하여 말했던 인권운동가 배르벨 볼라이(Bärbel Bohley)의 “우리는 정의를 원했지만 법칙국가를 얻었다”란 유명한 발언은 이런 진리에 대한 실망의 표현이다. ? 법치국가가 국가의 행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정한 한계들은 일차적으로 자유보호를 목적하고, 이런 틀안에서 비로서 정의의 실현을 목적한다. 법치국가에서는 정의가 종종 뒷편으로 물러난다. [예측가능성으로서의] 법안정성이 미래 조성의 토대로 더 중요하게 작용(erscheinen)하기 때문이다. 법치국가는 정의를 포괄적으로는 보증할 수 없다. 하지만 그 목적을 향해 매진한다. 법치국가와는 달리 자유보호와 정의로의 매진이 국가의 의무임을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은 국가들이 있다. 기본권, 권력분립, 그리고 독립적인 법관이 없는 동독에서 법과 정의는 애당초부터 입지가 빈약했다. 불법과 불의가 거듭되었다. 내독 경계선에서, 법 기관에서,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억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진학의 차단에서 , 사생활의 감시와 파괴에서. 무수한 사례가 있다. 이런 다수의 불법, 자유권 침해와 불의를 가볍게 여기지 않고 진정하게 (in ihrem ganzen Gewicht) 인정하지 않고서는 구동독을 제대로 보지 못할 것이다.

 

 

현실 왜곡

 

렇다고 해서 구동독를 불법국가로 치부할 수 있을까? 모든 국가 행위를 법의 양식으로 집행하지 않고, 거꾸러 불법의 양식으로 집행한, 심지어 불법을 목적으로 삼아 매진한 국가였을까? 구동독이 그랬어야만 법치국가에 개념적, 음향적으로 대립되는 자리에 서게 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해야 할 일은 구별이다. 구동독 역시 많은 영역에서 법의 양식으로 행위하고 자국민을 위한 정의를 목적으로 삼아 매진하는 걸 포기하지 않았다. 이에 상응하게 구동독 주민들 [역시] 많은 영역에서 법적-윤리적 규범성(Normalität)이란 틀안에서 살았다. 실정법 존중과 준수, 그리고 이를 보증하는 몸가짐/마음가짐(Ethos)에 기반하여. 이것 역시 다수의 불법, 다수의 불의와 마찬가지로 구동독의 현실에 속한다.

 

구동독을 전반적인 불법국가로 표시하는 건 그래서 구동독에 다수 있었던 불법과 자유권침해의 인정을 한참 벗어나는 총질이다. 이것은 구동독을 포괄적으로 탈정당화하고 공개적으로 모욕하려는 의도다. 이것은 다수 있었던 [규범적인] 정상생활(Normalität)의 자주적인 존립(Eigenstand)용하지 않는다. 이것은 정치적인 의도하에 이루어진 현실 왜곡이다. 어쩜 좋은 의도일 수도 있다. 불법국가라는 일그러진 상(Zerrbild)이 구동독 향수의 또다른 일그러진 상에 맞설 수 있겠다. 그러나 냉전 이데올로기적인 난타전을 유지함으로써 구동독 향수를 저지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그걸 자극하고 강화한다. 전반적인 불법국가로의 구동독 표시는 옳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동독 주민들의 마음을 상하게 한다. 25년전 통독 이래 하나일 수 밖에 없는 것이 하나가 되어 가고 있다. 이런 하나되기 [과정에는] 신중하고, 분별력 있고, 비이데올로기적인 타자 지각, 즉 타자의 과거와 특수한 [경로](Prägung)의 지각이 속한다. 구동독의 불법국가로의 전반적인 폄하는 하나되기 과정에서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현실과 번역

시인 송경동님의 참세상 기고글 “시인과 죄수 사이에서 – 어떤 위대한 시보다 더 큰 죄 짖기를 마다하지 않기를” 번역하게 되었다. 시인의 허락없이 시작했다. 사후적으로나마 양해와 허락을 구해야겠다. 시 “여섯 통의 소환을 받고”를 번역시도하면서 더욱 시인의 동의를 얻었어야만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언어의 흐름을 끊는 단절, 우뚝 서 있는 지(指示), 스스럼없는 지시의 손끝에 번뜩이는(), 하지만 거기서 또한 느낄 수 있는 한없는 지긋한 애정 등 번역의 영역을 넘어서는 현실을 추상적으로나마 감지하면서 더욱 시인의 동의를 얻었어야만 했다는 생각이 든다.

 

현실이 아무렇게나 전달가능한 팩트가 아니라 살아움직이는 것의 발현, 사회적 실천의 결과라는 걸 시인죄수의 시를 통해서 배운다. 사회적 실천과 단절된 번역이 어찌 이런 현실을 번역할 수 있겠는가 자학(自虐)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실천의 결과로서의 현실이야말로 개인의 소유가 아니라 만인의 소유가 되어야 한다는 이상(理想)으로 빈 속을 달래면서 번역을 계속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Übersetzung] zwischen Dichter-Sein und Straftäter-Sein (3)

Nachts, zu später Stunde heimkehrendem

legt die Frau ein Bündel Post vor.

Von 5 Polizeidirektionen und vom Amtgericht Seoul-Mitte abgeschickt,

6 Vorladungen von verschiedenen Stellen, aber in schöner Eintracht,

zugestellt am selben Tag zur selben Stunde. Wenigstens etwas fürs Guinness Book?


 

Die erste für den Tag, da ich mit den Irregulären von Kiryong zusammentat und mit der Staatsmacht   aneinander geriet,

die zweite für den Tag, da ich mit den Entlassenen von Ssangryong zusammentat und mit der Staatsmacht aneinander geriet,

die dritte für den Tag, da ich mit den befreundeten Irregulären von LG Uplus und SK Broadband zusammentat und der Staatsmacht eine Schlacht lieferte,

die vierte für den Verdacht, bei der Besetzung eines Reklameturms wäre ich der ursächliche Aufwiegler gewesen,

die fünfte dafür, dass wir dann alle gewagt haben, gegen das Blaue Haus anzurücken,

die letzte, vom Amtsgericht Seoul-Mitte, eine Vorladung vors Gericht für die letztjährige Sewol-Gedenk-Kundgebung.


 

Nach meinem Maßhalten:
sie waren entweder eine Pressekonferenz oder eine Gedenkstunde

oder eine Kulturveranstaltung oder teilnehmendes Mitgefühl

oder das Gewissen, das es nicht übers Herz bringt wegzuschauen,

oder Solidarität für eine nachhaltige Gesellschaft, samt und sonders nicht anmeldepflichtig.

 

Nach deren Maßhalten dagegen:

Veranstaltung unangemeldeter Versammlungen, Vergehen gegen das Versammlungsgesetz
Ungehorsam gegen den Auflösungsbefehl, Skandieren von Parolen, Streikposten stehen, Überschreitung von Lärmgrenzen, Hausfriedensbruch
Vergehen gegen das Gesetz zur Bestrafung von Gewalttat
Widerstand gegen  Sondervollstreckungen, Störung des öffentlichen Verkehrs.

 

Habe ich noch Zeit, die Marinade einziehen zu lassen?
Um bei meinem Kind besser dazustehen

um Rindfleisch-Jangjorim zu kochen – wie lang ist es her –
einen Haufen Wachteleier gekauft, an diesem Tag.


 

Nun sind die, die mich noch

gestern gesehen haben wollen,
nur noch die Polizei und die Staatsanwaltschaft der Republik Korea.
Seit neuestem gilt “Schicksalsfügung” von Lee Sunhee als mein absoluter Favorit.
Vor kurzem, als Hauptbeschuldigter der Aktion “Bus der Hoffnung”

erstinstanzlich zu 2 Jahren Freiheitsstrafe verurteilt und

gegen Kaution mit Mühe und Not gerade noch ins Leben freigelassen, geschah es.
Der Text gefiel mir, passte zu mir wie gegossen.

Zwei Jahre ( Schicksalsfügung) [auf Koreanisch gleiche Aussprache] soll es sein. Nichts zu machen dagegen”.
Nächster Passus ist noch besser.
“Werde ich all mein Lebtag lang einen so schönen Tag noch einmal erleben”
Und was soll man sagen zu diesem Passus.
“Auf dem mühevollen Lebesweg warst du doch das Geschenk”.


 

Was ändert das aber an den Tatsachen,
dass diese Tage mein Kind sich von mir entfernt hat,
ob mein Kind zu mir zurückkehrt.
Gut gewüzt.
Was?

Jangjorim?
Mein Leben?


 

- eine Bagatelle Nach Zustellung von 6 Vorladungen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Übersetzung] zwischen Dichter-Sein und Straftäter-Sein (2)

So war es auch über den Jahreswechsel 2014/2014, als ich mit den entlassenen Arbeiterinnen und Arbeitern von Kiryung Electronics, SsangYong Motor Company, LG Uplus, SK Broadband und Star Chemical zusammentat und an einer Kampane für die Abschaffung von Gesetzen, die atypische Beschäftigungen erst möglich gemacht haben, teilnahm. Es war ein Marsch der Art der orthodox-buddhistischen Prostration.

[Hierbei werden fünf Körperteile, nämlich beide Knien, beide Hände und zum Schluss die Stirn, nacheinander auf den Boden “niedergeworfen”, bis man schliesslich flach darauf liegt. Danach richtet man sich – in der umgekehrten Reihenfolge – wieder auf und geht einige Schritte. Dann wird der ganze Vorgang wiederholt. So bewegt man sich fort.] Es ist eigentlich die langsamste und friedlichste Art zu demonstrieren auf der ganzen Welt. Doch die Verantwortlichen bei der Polizei weigerten sich, die Anmeldung des Aufzugs überhaupt anzunehmen und zu bearbeiten, unter dem Vorwand, die gewählte Form des Aufzugs würde einen “Volksaufstand” symbolisieren. Sie taten alles, um ihn gesetzwidrig zu machen. Und bei jedem einzelnen wurde das Anlegen der traditionellen Bekleidung einfacher Koreanerinnen und Koreaner nach Kräften behindert. Sogar das Überqueren eines Fussgängerübergangs ließen sie nicht in Ruhe geschehen. Nach Kräften wurde es auch hier versucht, bei jedem Überqueren Hindernisse aufzubauen. Das Überqueren der Fussgängerübergänge an der Kreuzung Eugiro/Kwanghwamoon, vor dem Sejong Arts Academy, vor dem Obersten Gerichtshof sowie vor dem Parlament und vor dem Blauen Haus dauerte, wenn es gut ging, eine Stunde bis hin zu sieben Stunden. Um einen Schritt vorwärts zu tun, musste man, beispielsweise auf dem Platz vor dem Kwanghwamoon, 6 Stunden ausharren, bei minus 7 Grad auf dem Boden liegend. Und vor dem Regierungsgebäude-Komplex haben wir sogar, uns hinkauernd, die ganze Nacht verbracht. Einige mussten ins Krankenhaus eingeliefert werden, einige wurden abgeführt. Es waren ungezählte Stunden, in denen wir, angsteinflößende Polizeiansage in Hörweite, die von Verhaftungen auf frischer Tat schwadronierte, kämpfen mussten, um das Mindestmaß an freier Meinungsäußerung zu verteidigen, nicht wissend, wie lange es noch dauern würde.

 

Bis zur Vollendung des 3. Prostrationsmarsches blieb ich dabei. Danach kehrte ich heim. Es erwartete mich aber eine bizzare Szenerie. 6 verschiedene Vorladungen waren gleichzeitig zugestellt worden und warteten auf mich.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Vorladungsschreiben)

 

Einerseits war ich stolz auf mich selbst.  In diesen Stolz mischte sich indessen aber auch ein Gefühl der Niedergedrücktheit – ein Gefühl, dass die Pforte des Kerkers sich allmählich näher und näher kam – eine Vorahnung, dass ich wohl wieder eine Zeitlang allein sein würde. Just an jenem Tag hatte ich finanziell über die Stränge geschlagen und ein Stück marmoriertes Rindfleisch und Wachteleier gekauft. Ich hatte vor, für meinen Sohn Jangjorim [in Sojasauce eingekochtes Rindfleisch] zu kochen, um bei ihm besser dazustehen. Vielleicht deshalb fühlte ich mich noch niedergedrückter als sonst. In dieser Niedergedrücktheit ohne Möglichkeit, sich irgendwie auszulassen, sprach ich mich selbst an, ob ich doch nicht zumindest ein Gedicht hinterlassen müsse, zum Andenken an diese niedergedrückte, leidvolle und verdrießliche Lebenssituation. Daraus ist, nach langer Zeit wieder, versuchsweise ein Gedicht entstanden.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Übersetzung] zwischen Dichter-Sein und Straftäter-Sein (1)

[Ich weiss nicht, ob sich einer aus dem deutschen Sprachraum bis hierher verliert, um diesen Artikel zu lesen. Wie dem auch sei, diese Übersetzung gleicht einer Flaschenpost, die im Vertrauen auf einen möglichen Empfänger in den Fluss geworfen worden ist. Sie möge auf einen Künstler wie Joachim Römer stoßen, der Flaschenposten aus dem Rhein gefischt und daraus eine Ausstellung gemacht hat.


사용자 삽입 이미지

 

Dieser Artikel ist ein Beitrag des Dichters und Aktivisten Song Kyung Dong für das alternative linke Forum “Chamsesang”[Lebenswerte Welt] in Südkorea. Er berichtet aus den aktuellen Kämpfen von Arbeiterinnen und Arbeitern in Südkorea.  - ou_topia]

 

[Übersetzung]

 

Dass ich keine Mühe scheuen möge, an Strafttaten zu arbeiten, die größer sind als alle   erhabenen Gedichte …

- zwischen Dichter-Sein und Straftäter-Sein   

von Song Kyung Dong

 


Durch die Nacht hindurch die Stunden gezählt und wachgeblieben. Heute muss ich wieder vor Gericht erscheinen. Eine Angelegenheit, die inzwischen zu meinem Alltag gehört. Doch bin ich ein wenig gespannt, denn heute wird erstinstanzlich das Urteil über die Gedenkaktion [der Schiffskatastophe] Sewol gefällt. Vor solchen Unwägbarkeiten versuche ich gewöhnlich mein Umfeld und meine häuslichen Angelegenheiten zu ordnen. Inzwischen, das ist auch lästig geworden, und von mir hat eine gewisse Indifferenz Besitz genommen.


Seit 2011, nach der Verhaftung wegen der Solidarakktion “Bus der Hoffnung” und der Freilassung gegen Bürgschaft, hat sich diese Situation durch die Jahre hindurch mehrmals wiederholt. So habe ich mich angewöhnt, an Tagen, wo auch nur ein weinig Zusammenstoß zu erwarten ist, meine persönlichen Angelegenheiten –  wenn auch nur grob – zu ordnen, bevor ich das Haus verlasse. Unmittelbar nach der Freilassung gegen Bürgschaft und während der Teilnahme an der Gedenkaktion für die Opfer der Niederschlagung  des Arbeiterstreiks bei SsangYong Automobile, die mit der Besetzung des Daehan-Schlosstors verbunden war, habe ich wie immer vorsorglich außer Haus gelebt. So war es bei der Teilnahme an der Solidaraktion “Bus der Hoffnung” für den Streik bei dem Automobilzulieferbetrieb YooSung, [der durch Polizeieinsatz niedergeschlagen wurde]. Jedes Mal, wenn es geboten war, da präsent zu sein, wo Übergriffe staatlicher Macht in Gange waren, musste ich vorher, wenn auch nur kurz, in Erwartung aller Unwägbarkeiten versuchen, mich darauf einzustimmen. Vor allem im letzten Jahr war es so, als ich im Rahmen des Gedenkens der Sewol-Katastrophe an der Protestaktion gegen das Blaue Haus [Sitz des Präsidentenamtes] teilnahm. Da hat sich dieses Prozedere jede Woche wiederholt. Meinen  Schreibtisch aufräumen, Schrifstücke in die Aktenordner heften, einige Worte der Mitteilung und Bitte niederschreiben und an meine Frau richten, und dann mit nichts weiter als mit etwas Bargeld in der Hosentasche, etwa 30 Euro, das Haus verlassen.

(Fortsetzung folgt)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