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홀로코스트 생존자를 반유대주의자라 부르는가

사회 정의를 위한 유대인의 투쟁 자체가 반유대주의적인 것으로 취급 된다는 것은 참으로 고통스러운 아이러니다.

주디스 버틀러, 『지상에서 함께 산다는 것』

작년에 홀로코스트 생존자로 팔레스타인에 연대하는 에스더님 인터뷰 읽고 영상을 만들어야지 생각하다가 홀로코스트 추모의 날(1/27)을 맞아 만들었다.

자료를 찾으면서 나치 수용소에 연합군이 들어가 찍은 영상들을 봤는데.. 화면에도 갖다 썼고.. 근데 화면에 넣을 수 없었던 시체들의 산을 보며 홀로코스트가 인류에 대한, 인간성에 대한 범죄란 걸 새삼 실감했다. 영상을 보는 게 너무 고통스러웠다. 이 끔찍한 사건을 누군가는 자기 개인에, 혹은 자기가 속한 소수집단에 고유한 문제로 인식하고, 누군가는 자기 개인이나 소속집단을 넘는 문제임을 통찰하고 더 넓은 연대로 나아가는데, 그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어떤 다른 경험들이 더 작용해야 하는 걸까... 생각해 봤는데 모르겠다.

에스더 베야라노 님이 진짜 대단하시단 건 알겠다 ㅠㅠㅠㅠ

국경에서 쫓겨난 언니 얘기를 읽을 때 펑펑 울었는데 만들 때도 다 만들고 다시 볼 때도 그 부분에서 눈물이 난다. 그래서 지중해 건너오는 난민들 지지하는 활동도 하신다는데, 내가 스토리를 잘 못 짜서 다 뺐다. 나중에 다시 만들 일이 있을 것이다.. 다른 생존자 분들의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도 넣고 싶었는데 역시 능력 부족으로 뺐다. 누가 작가 역할을 해 줘서 홀로코스트 생존자분들 운동 전반적으로 다룰 수 있는 날이여 오라 내게

이스라엘은 자국의 점령 정책을 비판하는 사람 아무에게나 반유대주의자라고 딱지를 붙인다. 심지어 유대인 홀로코스트 생존자에게마저.

 

+ 2차 대전 하에 인간성을 말살당하는 끔찍한 일을 겪고도 인간애를 잃지 않고 침묵하지 않고 다른 이들의 고통에 연대한다는 공통점 때문에 영상 만들면서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분들을 많이 떠올려서 그런 건지, 김복동 할머니를 언론으로 많이 접해서 그런 건지, 전에 없이 더 슬프다. 죽으면 끝이라고 생각하는데도 살아서도 외롭지 않으셨지만 가시는 걸음이 외롭지 않으셨으면 하고 장례위원에 참여했다. 그냥 너무 슬퍼서 남겨봄


평화·인권운동가 김복동 할머니께서 영면에 드셨습니다.

김복동 할머니는 시카고 방문 시 팔레스타인 활동가 '라스미아 오데'를 만나 나비기금을 전달하시기도 했습니다. (오데에 대한 기사: "48년째 '자백'을 강요 받고 있습니다") 참고로 라스미아 오데는 결국 미국에서 추방당해 요르단에 체류 중입니다.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로, 전시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운동가로, 평화운동에 귀감이 된 김복동 할머니의 평화 여정을 잊지 않겠습니다.

추모 페이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