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에서 찾기식민주의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3/01/22
    포스트식민주의와 나의 운동(2)
    뎡야핑

포스트식민주의와 나의 운동

하핫 며칠 전에 쓰던 글인데 이제 와서 완성하자니 낯부끄럽구만 *^^* 막 이럼<

 

 

다음주부터 5주간 씨네마테크 서울의 프로그램 디렉터 김성욱 씨의 영화와 혁명―60~70년대 정치영화의 유산이란 강의를 듣는다. 수업을 잘 듣기 위해 저항 운동의 역사를 공부하라고 무한한 연습님이 추천해 주신 로버트 영의 [포스트식민주의 또는 트리컨티넨탈리즘]을 읽기 시작했다.

 

책은 뭐 50페이지밖에 안 읽었는데, 꼭 책의 맥락과는 다르게, 사실 이거보다는 얼마 전 보낸 한 통의 메일로부터, 내 운동을 돌아보게 되었다.

 

아시아 지역의 활동가/지식인들이 모여 우경화하는 지구적 흐름에 대항하는 연대를 모색해 보자, 는 행사에 초청받기 일보 직전이었다가 행사가 취소됐다. 그러면서 알 수 없는 다음을 기약하며 정중히 사과하는 메일을 받았다. 그에 답장하기 위해 나도 내용 있게 내가 그 행사에서 기대했던 것들을 적어서 보냈는데, 적다보니 뭔가 안 해도 되는 말을 잔뜩 하고 있어서 다 줄이고.. 줄이다보니 뭔가 바보같은 글이 되었는데 일단 그냥 보냈다 (영어라서 더 고민하고 싶지가 않았어 -_-)

 

그 메일에 그런 내용을 썼다. 연대가 일방적인 게 아닌데, 한국 운동 사회에 팔레스타인에 연대해 달라는 호소하는 데에 내가 한계를 느낀다고. 팔레스타인에서도 한국 측에 연대할 사안이 분명히 있을텐데 둘을 연결하고 연대를 조직할 상상력이 내게는 부족하다고.

 

그리고 재작년에 아이누와 오키나와의 투쟁이 팔레스타인 투쟁을 자신들의 투쟁과 같은 맥락에서 사유하는 걸 읽고 흥미로웠는데, 그런 얘기를 못 듣게 되어서 아쉽다고.

 

그렇게 쓰면서 뭔가 모잘라서 더 덧붙이다가 다 지우고 그냥 이렇게 보냈다. 한 문장이라도 더 쓸 걸... 바보같애...ㅜㅜ 암튼<

 

문제는 내가 상상력이 부족했다,가 아니고 문제의식이, 타겟하는 것이 모호했으나, 모호한 줄 여태 몰랐다는 데에 있다는 것을 책을 읽다가, 책에서 그런 내용이 나온 것도 아닌데, 불현듯 깨달았다. 이것은 이미 재작년부터 서서히 깨달아 작년에 팔레스타인평화연대의 운동 방향을 바꾸는 계기가 되기도 했는데.. 말하자면 이전에는 마치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이 '특수 상태'이고 이에 대별되는 한국 사회가 '정상 상태'라는 듯이 가정하고 활동했다. 물론 적극적 생각이었던 게 아니라 지금 내가 평가하자면 그렇다는 거임. 그렇다고 나 혼자 운동한 것도 아닌데-_- 우리가 나이브했다고 평가하는 건 절대 아니다 -_- 오히려 한국이 이스라엘과 (주로 미국을 통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생각해 달라고 호소하고,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삶을 비극으로만 점칠해서 대상화하지 말자고 우리같은 평범한 일상을 사는 사람들이라고도 호소하고. 뭐 그랬음 잘 한 것도 많다고<

 

그러나 확실히 팔레스타인과 한국을 잇는 방식에 고민이 부족했다. -게다가 여전히 그렇다. 그래서 나는 한국과 팔레스타인의 연대를 어떻게 엮어낼지를 지금도 모르겠는 거다.

 

또한 팔레스타인을 대하는 나의 태도가 대단히- 서구적이었다(아시안 주제에 -_-). 한국에서 87 민주화 운동 후에 마치 '서구적이고 정상적인 시민 사회'를 획득했다는 듯이. 이것은, 마치 전쟁이라는 것이 한반도에서 불과 내가 태어나기 30년 전에 있었고 여전히 휴전 상태인데다가 세계 도처가 전쟁 중인데도, 나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만 같은 비현실적인 느낌인 것과 같이, 내가 너무 어려서 알지도 못 했고 참여할 수도 없었던 민주화 운동 이후의 시대만이 오직 내게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그런 느낌이라면 이해가 됩니까?<

 

이것은 주관적이기만 한 것은 아닐 것이다. 일단 한국 사회 운동 전체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접해본 바가 없어 잘 모르고, 내가 줏어들은 한 한국에서 국제 연대 운동이 활발해진 것은 -이전에 없었던 건 아니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라고 한다. 사실 내가 운동을 시작한 게 그 무렵이고, 당시까지는 초역사적인 인물인 것처럼 운동의 앞뒤나 전체 운동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오직 나 자신의 운동 말고는 전혀 몰랐다. -_- 아무튼< 이런 건 줏어들은 거고, 그 뒤로도 사실 한국에서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을 한다는 것이 뭔가 쟤네들 뭐야? -_- 이런 반응을 오랫동안 받았던 개인적인 경험에도 바탕하여 나는 한국 시민 사회가 '외부' - 그렇다 나는 내/외부를 확실하게 가르고 있었다! -의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일 수 있게 된 것이, 시민 사회가 서구화되고 성숙한 정도를 가늠하게끔 한다고 막연히 생각해왔던 것이다.

 

하지만 '식민'의 문제를 저 멀리 있는 팔레스타인, 줏어듣기만 한 파푸아뉴기니의 문제로 상정하고 있었던 것, 그래서 연대의 가능성을 상상해내지 못 했던 것, 그것이 나의 잘못이다.

 

일단 바쁘니까 여기까지 쓰자....... 챙피하기도 햄... -_-;; 책을 수업 끝나기 전에 다 읽어야 할텐데. 여기 나오는 말들을 영어로도 할 수 있어야 하니까 원서를 사보려고 했는데, 원서만 보면 힘드니까 번역서도 사야지. 라고 생각했지만 원서 4만원도 넘어 -ㅅ-;;;;; 살지말지 모르겠엄.. 돈이 아꾸운 건 아닌데 사놓고 안 볼까봐 미리 돈이 아꾸워... 나가 죽자 나자신 ㅇ<-<

 

참 이 책을 쓸 정도의 실력은 안 되더라도 여기 나오는 내용들을 단순한 언어로 참고문헌 없이 쓸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은 갖춰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으로 세미나를 해볼까 함. 책 앞부분 5갠가 6갠가만 같이 읽으면 될 듯.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