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에서 찾기씨네필을 향한 정열의 폭주열차 * 비고 : 시끄럼

437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6/03/21
    신의 동네Cidade De Deus, 2002
    뎡야핑
  2. 2006/03/20
    버블BUBBLE, 2005
    뎡야핑
  3. 2006/03/12
    피와 뼈血と骨, 2004(7)
    뎡야핑
  4. 2006/03/10
    당산대형唐山大兄, 1971(3)
    뎡야핑

신의 동네Cidade De Deus, 2002

네이버 뚜들기면 제작노트에 자세한 영화의 뒷얘기가 있다. 그래서 그 놀라운 얘기는 생략.

 

예전에 인권영화제에서 아르헨티나의 삐께떼로스 운동을 찍은 50분이 안 되는 다큐를 보았는데, 몇 년 되어서 제목은 까먹었고.. 그 영화의 문화적 쇼크는 실로 대단했다. 한 편의 뮤직비디오를 보는 듯한 리듬감! 뭐든 리듬감을 제일 중시하는 나이기 때문에..;; 음악도 랩이었는데, 지금은 그게 대단한 게 아니지만 당시엔 그런 걸 처음 봐서, 때깔나는 화면은 아니었지만 그 해의 인권영화제에서 최고라고 생각했다. 근데 나중에 보니까 남미 영화 다 그렇더라-_-;;;; 암튼 그런 걸 처음 봤었지러..

 

이 영화의 과감한 리듬감에 빠져서 졸려 기절할 것 같은 그 와중에 그 긴 시간을 봐내고 말았다. 살인, 총질, 마약같은 건 너무나 익숙한 소재인데 이 영화의 현실감은 이질적이다. 그렇다고 무섭기만한 건 아니고 웃겼지만. 이 영화는 내가 좋아라하는 갱영화와 맞닿은 구석이 하나도 없다. 왜 이걸 갱영화라고 극찬하는 거야... 니네 동네 갱은 그러고 사냐-_-

 

서양갱(양갱?)을 말하자면 걔네들은 어른이다. 브라질 신의 동네의 갱들은 애들이다, 생물학적으로 애다. 열 살도 안 된 애들도 총을 든다. 그게 사실 너무너무 다르다. 서양영화는 어떤 영화든지 어린애만큼은 격리시키고 보호한다. 어른들끼리의 더럽고 계산적인 음울한 자본주의에 대한 비유로 점철되어 있다. 하지만 이 영화의 그 총천연색! 그 반짝거림! 무개념으로 방아쇠를 당기는 어린이들이 어디가 갱영화랑 비슷하냐? 자본주의에 대한 은유라기보다는 동물적인 근원적인 그런 느낌이었다, 죽음이 난무하는데도 생명력이 넘치는 활기찬 느낌. 물론 에둘러 따지면 자본주의랑 다 관계 있겠지만.

 

 

 

신의 동네는 진짜 그 마을 이름이다. 누가 이름을 저렇게 지었대. 빈민가 이름을.

 

이 동네는 평균수명이 20대가 아닐까. 옛날처럼. 아 오랜만에 진짜 쇼킹했어.

다다네 집에서 보았다. 한국제목 "시티 오브 갓"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

버블BUBBLE, 2005


 소더버그 감독










 

imdb 가서 십 점 주고 왔음 십 점 만세~~

영화 끝나고 나오는 기괴한 인형들 만세~~

 

영화 본지 오래됐는데 아무 생각이 없어, 적을 말이 없어, 그냥 무척 재미있었어, 아마추어 배우들이 너무 예뻤어, 섬뜩한 씬들도 좋았어 기타 등등 중요한 말은 아무 할 말이 없노라.. 디게 재밌는데 왜 이러지.

 

그..그냥 접때 imdb 유저들의 견해를 쪼금 읽었는데 다 전혀 동의 안 되고 그냥 아무 생각도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