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옥 - [별빛 속에]

죽을 때까지 소장할 만화책은 전부 리뷰하려고 마음 먹고 책장 첫번째 순서인 한국작가-ㄱ-강경옥님의 불후의 명작 [별빛 속에]를 뽑아 메모해놓은 게 몇 달이 지났는데 아직도 안 했다... 이런 나자신 앞으로도 영원히 보강해서 완성된 글을 적는다는 것 따위 불가능함을 알기에 그냥 쓴다... 사진도 첨에는 열심히 찍다가 나중에 그냥 봄 리뷰고 나발이고 재밌어서 그냥 보는 거다 ㅇ<-<

글구 메모할 때는 스마트폰에 있는 음성인식 기능으로 대충 해놨는데 이제 보니 뭔 말인지 모르는 것도 많다. 그때 당장 쓸 생각이었기에...ㅜㅜㅜㅜ 집어쳠

 

나를 위한 거라서 딱히 줄거리 요약이라든가 그런 게 엄슴

 

사실은 이런 sf적인 스토리를 굳이 청소년기에서 성장하는 은유로 해석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지만 이번에 보니까 그런 생각이 많이 들었다. 성장해서 다른 세계로 가기 위해서는 한 세계가 파괴되어야 한다. 다른 세계로 가기 위해서도 이것은 작품에 대사로도 나오는 모양이다 (기억 안 남ㅜ). 이것이 개인사적으로 가혹하다기보다 성인이 된다는 것이 새로 태어나는 것과 마찬가지의 통증을 필요로 한다는 것. 근데 굳이 이렇게 읽을 실익이 뭔가 싶다. 아마 주된 타겟 연령층이 십대 소녀들이니까..

 

동네 한복판에 ufo가 떨어진다니 발상이 대범하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표류교실이 떠올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별빛 속에, 1987]에서. 다행히 우주선이 아무도 살지 않고 다치지 않는 공터에 뙇 떨어짐 ㅎ 뭔가 공터거 공사중이라는 것을, 그래서 아무도 죽지 않았다는 것을 표시해 주기 위해서 드럼통 2개 굴러다니고 목자재가 쌓여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표류 교실, 1972]에서. 학교가 통째로 파져서 미래로 날라감.

 

대범함으로 치자면 표류 교실이 역시 굉장하다, 어떻게 학교를 파버릴 수가... -ㅁ- 뭐 두 개가 비슷하다는 건 아니고. 강경옥 쌤은 최고 히트작(아마도?) [노말시티]에서도 그렇고 최근작 [설희]에서도 여전한데 항상 비일상적인 사건 속에서 일상적 행위가 계속되는 평범한 인물들의 어색하고 이질적인 느낌을 잘 표현해 주신다. "저런 것이 바로 주위에 떨어졌는데 학교에 가야 하다니... 그야 나와는 상관 없다 하지만..." 강경옥 쌤 만화에 익숙해서인지, 나는 아주 전혀 다른 세계를, 현실과 접점 없는 세계를 별 무리 없이 금세 향해나가는 다른 만화 주인공들 보면 이질감을 느낀다 -ㅅ-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디온 첫등장. 난 레디온보단 아르만파임 ㅜㅜㅜㅜ 아르만 ;ㅁ;ㅁ;ㅁ;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름다운 아르만... 지금 봐도 예쁘다 -ㅁ-

 

확실히 순정만화는 소녀 대상이라 눈요깃거리로 미남이 많이 나온다. 주인공 신혜이 등장하는 씬이 제일 많고 당연히 중요한 컷도 클로즈업도 가장 많이 할당되지만 남자 주인공들 첫 등장 때 전체 페이지에 걸쳐서 그 아름다움을 뽐내는데 여자 주인공보다 아름답다... -ㅁ- 여담으로 왜 한국 순정 만화는 어차피 백인을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삼으면서 (여자 주인공과 연애가 성사된다는 측면에서) 금발보다 흑발 머리를 압도적으로 선호하는가. 흑백의 예술에서 왠지 금발은 약해 보이는 이미지가 있는 것이다. 아름다운 걸 좋아해도, 지나치게 아름다우면 왠지 약해 보이는 그런 공식이 있는 것 같은데 이건 뭐 대충 지금 생각한 거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은 정신차린 신혜가 레디온과 처음 만난 거임. 그 감동이 한 페이지 반에 걸쳐 거대하게 묘사되고 있다 ㅋㅋㅋㅋ 혹시 처음 잘생긴 남자 만나서 이 남자를 그렇게 사랑하게 된 건 아닌지?! 도대체 왜 레디온이어야만 하는지?! 왜 이런 게 여자 마음을 더 후려갈기는 걸까? 왜 잘생기고 부족할 것 없이 곱게 자란 왕자님 따위보다 뒤틀리고 억압된 그래서 차가운 남자에게 소녀들이 더 끌리게 되는 걸까? 나 역시 아르만을 더 좋아하면서도 실은 이 연애 관계에선 자연스레 레디온을 응원하게 되는 것이다... -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왜 캡쳐했을까용... -ㅅ-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라가 외계인이라는 것을 처음 밝혔을 때 섬뜩해 하는 신혜의 반응은 아주 있을 법 하다. 하지만 신혜는 잠시 생각할 시간을 가진 뒤 곧바로 사과한다 캐릭터들이 기본적으로 순수하다. 뭔가 80년대 같다. 아니면 젊고 순수한 마음인 건가? 암튼 아니 근데 내가 귀신이라니 이보시오 의사 양반 (브루스 윌리스 빙의)

 

한 세계가 철저히 파괴되고 다음 세계로 가기까지 총 10권의 만화 중 두 권 반이 소요된다. 새로운 세계에서 뭔가를 하기 위해선 기존 세계에 그만큼의 시간을 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을 참 잘 그려주셨다고 좋아라 하면서 나도 거기까지만 열심히 읽고 그 뒤는 그냥 막 씬나게 읽었던 듯..... =ㅅ=;;;

 

하나 덧붙이고 싶은 것은 그렇게 구체적인 인물들의 삶이 그려지고 그게 파괴되는 게 그려져서 새로운 세계에서 주인공의 그 반응들을 독자들이 납득하도록 그리는 와중에 이쪽의 아직 신혜였을 적의 '이모'는 매우 평면적이고 전형적으로만 그려진다는 것이다. 포커스를 굳이 여성에게 맞출 필요도 없고 더군다나 주요 인물이 아닌 이상 스토리 집중을 위해 어느 정도의 평면화는 피할 수 없다지만 그래도 다른 인물들과 균형이 전혀 맞지 않게 너무 병풍으로 그려졌다. 생활감을 불어넣으려면 밥먹는 씬이 필요하고 밥먹으려면 밥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밥하는 사람이 필요하면 그냥 가정부를 두는 게 맞을 것 같은데 -80년대에 2층 집에 살고 아빠가 교수- 가정부를 쓴다는 건 또 너무 부자처럼 보이니까, 평범한 가정에서 자란 소녀임을 강조하고 싶어서 이렇게 하신 건가 의문이 든다. 여튼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뭔지 기억이 안 난다...ㅜ 나중에 만화 다시 보면 추가. 걍 공주님 안기라고 찍어놨던 건가 ㄱ-;

 

작년에 어떤 쇼핑몰에서 요코하마 미츠테루의 [바벨 2세]를 판매하면서, 이게 [별빛 속에]의 모티브가 됐다고 광고글을 쓴 데에 낚여서 [바벨 2세]를 샀다. 어딘가에도 적었었는데 원작의 아우라를 잘 느낄 수가 없는데 그렇다고 뭐 절대 이상하단 건 아니고 이건 뭐지 ㅜㅜ 싶었으나, 여튼 바벨 2세에서 영향을 받으셨을 것 같은데, 실제로 어떨지 궁금하다. 창작자들이 자신이 향유하는 엄청나게 많은 작품과 생활 기타 등등에서 영향을 받고 소재를 따오고 그럴 것은 자연스러운 일인데 그래도 그 중에서 강경옥 쌤이 특별히 이 작품을 염두에 두고 계셨을지 궁금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쪽 세계랑 이쪽 세계 이어지는 공간에 있는 바벨탑. 저 바탕의 쩜쩜쩜은 모래는 아니고.. 뭔지 모르겠다; 성역의 신비로운 대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벨 2세, 1971]에 맨처음 컬러 삽화로 나옴. 이 완전체는 이 만화에는 더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이렇게 생긴 바벨탑이 종니 무너지고 아래와 같이 모래바람 속에 숨긴 유적지처럼 윗부분은 폐허만 남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앗 안에 들어간 걸 찍어버렸네... -ㅁ-;;

 

바벨탑이 놓여 있는 공간의 만화적 기호들(모래 바람 표현으로 보이는 점점점)이나 바벨탑이 과학기술이 발달된 외계와 지구를 잇는 접점이 된다거나.. 여튼 위치하는 건 상당히 다르고, 뭔가 비슷하다 영향을 받았다 이런 걸 주장하고 싶은 건 아닌데 뭐라고 써야 돼-_-;;;;

 

[별빛 속에]도 [노말시티]도 지금 보면 사회 정치 구조를 지나치게 단순화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외부의 세계가 아니라 외부의 세계로 인해 내면이 어떤 변화를 겪는지에 포커스가 아 있는 만큼 어느 정도는 피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겠다. 그리고 나는 [노말시티]를 더 좋아한다< 조만간 봐야징

 

+ 스포스포

이 만화의 격을 높여주는 결말에 대해 안 써놨군. 남자 주인공이 죽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내 가슴을 두고두고 후려치는 것 같다, 새드 엔딩 너무 좋아... ;ㅁ;미;ㅁ;ㅁ;ㅁ;ㅁ;ㅁ; 노말시티에 가면 결말의 파격이 한층 더 강해짐. 여주가 죽는 것도 모잘라 늙어버림!!! 럴쑤!!!! 이럴 수가!!!! 엄청남 갑자기 너무 읽고 싶네 노말시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