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3065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5/05/25
    인어의 숲人魚の 森
    뎡야핑
  2. 2005/05/24
    넘칠 것 같은 풀あふれそうなプ-ル
    뎡야핑
  3. 2005/05/23
    슬로브핫의 딸들, 크레인, 제4도크(6)
    뎡야핑
  4. 2005/05/20
    교통정리하는 팔 경찰
    뎡야핑

디에게시스 [diegesis]

  • 등록일
    2005/05/27 10:59
  • 수정일
    2005/05/27 10:59
  • 분류
    마우스일기


 
요약
어떤 스토리와 그 스토리에 관련된 실제의 말하기를 구분하기 위해 서사이론에서 사용하는 용어. 
  
 
 
 
본문

서술된 사건들(story)이 일어난 허구의 세계를 가리키기 위해 서사이론에서 쓰는 말이다. 즉, 어떤 스토리와 그 스토리에 관련된 실제의 말하기를 구분하기 위한 용법에 사용된다. 디에게시스에 관한 다소 애매하고 조금은 고루한 또 하나의 용법은, 이 용어를 미메시스(mimesis:모방), 즉 작품 외부 현실의 복제와 대비시키는 것이다. 이때의 디에게시스는 사물이나 사건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을 의미하고, 미메시스는 그 사물이나 사건을 가능하면 완전하게 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디에게시스와 미메시스의 차이를 구분해주는 좋은 예를 연극공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연극에서 보여지는 어떤 특수한 장면의 연기를 미메시스라 한다면, 무대 밖에서 일어났거나 그 연극에 재현된 행동(연기)에 앞서서 일어난 다른 행동(이 행동은 관객이 볼 수 없으며 다만 이야기로 알려주는 것을 듣게 된다)에 관하여 등장인물이 이야기하는 것을 디에게시스라고 하여 구분한다.

디에게시스는 이야기를 형식적·체계적 구조로서 취급하며, 이야기가 기능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이야기를 지배하는 코드(code)와 전의(轉義)를 찾아내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는 서사학에서 특히 중시되는 개념이다. 한 편의 이야기(narrative)에 나타나는 디에게시스적 층위는 스토리의 주요 사건들이 일어난 작품 내의 허구적 세계를 가리킨다. 그런데 작품 내의 사건들에 관한 말하기는 그 사건들이 일어난 후에, 또는 또 하나의, 불문에 부쳐진, 허구적 세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스토리에 관한 말하기는 보통 엑스트라디에게시스적으로 간주된다.

영국 해양문학의 대표적 작가로 알려진 조지프 콘래드(Joseph Conrad)의 장편소설 《로드 짐 Lord Jim》은 텍스트 묻어놓기(embeded text)의 기법으로 이루어졌다. 이 작품에서는 스토리텔링 그 자체가 소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인물들은 서술자로서 등장한다. 이러한 경우, 서술자들이 말하는 스토리는 하이포디에게시스적 또는 메타디에게시스적이라고 불러 이 스토리와 소설 속의 일차적 이야기 사이와의 관계를 표시한다.

 

 

 

읽어도 잘 이해가 안 가네..-_- 다이제시스라고 엉터리로 번역해놓은 거 찾다가 열받아서 커헉 스펠링도 안 써놓고 정말 나쁜 사람 총총총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

남극일기

2인은 사망한 당시

 

머프님과 둘만의 오프에서 본 영화. 킨제이 리포트가 벌써 내려서-_-

씨네마스코프는 1:2.25였나? 암튼 가로로 어마어마하게 넓었다. 내가 본 영화 중 최고로 넙적했던 듯.

가로넓이가 3인 등장에 참 적절하더이다.

 

어제 감독 인터뷰도 일부러 읽었는데 특별한 얘기도 없다. 제작기간 길어서 힘들었다, 기존 상업영화 공식대로 할 생각 없었다, 송강호 씨 좋다랑.. 그밖에 영화에 대한 얘기는 기억이 안 날 정도.

 

인터뷰 읽는 걸 좋아하는데 내가 생각지도 못했던 고민들을 보면서 영화의 장점만 자꾸 보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번엔 없었음-_-

 

헬리콥터를 쓰진 않았는데 그렇게 빨리 어떻게 공중에서 촬영했는지 궁금하다. 되게 신기했다.

 

폐쇄된 공간과 같은 운명으로 죽어간 앞서간 자들(20세기 초의 영국팀), 인간의 광기, 환영 등.. 씨네 21에서 읽은 듀나 씨는 외국 영화 뭐뭐뭐를 잔뜩 예로 들었는데 나는 <알포인트>랑 너무 비슷하다 싶었음. 살아남는 자도 똑같고.

 

대사가 안 멋있었다. 화면이 시원했다. 넙적이도 생각보다 좋구만. 그래도 화면이 좋았다고 애써 마무리...-_-

 

추가 : 남극일기에 대한 씨네21의 찬반양론을 읽었다. 이종두 기자는 사실관계를 감독 말을 듣고 파악했나 보다. 라고 내가 말하면 자기는 기분이 좋을까? 관객이 다 바보냐-_-? 황진미 씨나 둘다 완전 관객 바본 줄 알아 아유 기분나빠 무슨 스릴러 아니라서 실망하는 줄 아냐 진짜 자기네만 똑똑하다 그래 당신도 라깡 읽고 지젝 읽었다 그거냐 그렇게 공부한 거 고대로 갖다맞춰서 재밌냐 실재는 개뿔이삼

 

라고 썼는데 너무 심하게 말하는 듯하다. 그런데 그 평론가들도 똑같이 심하게 말했다. 나는 착한 사람이라구;ㅁ; 뭐야 뎡야핑 즐이삼~~~

 

숭어에게 누차 말했듯이 이 영화 최대의 결점은 편집이라고 본다. 감독 머리 속에만 있으면 뭐해 배우들이 다 찍어서 이미 알면 뭐해 감독도 알다시피 미적거려서 전혀 전달이 안 됐잖아 그래서 크레바스가 많다고 하는 건데 뭐시라? 뭐시라??

 

라는 느낌을 또 한 번 적어본다=_=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