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에서 찾기영화

57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20/02/29
    [왓챠 영화 추천] 왈라의 선택 What Walaa Wants, 2018
    뎡야핑
  2. 2019/08/25
    넷플릭스 영화 추천 - 거대한 해킹 (10분 요약)
    뎡야핑
  3. 2019/05/27
    맹룡과강猛龍過江, 1972
    뎡야핑
  4. 2018/12/09
    넷플릭스 영화 추천: 칠드런 오브 맨
    뎡야핑

[왓챠 영화 추천] 왈라의 선택 What Walaa Wants, 2018

What Walaa Wants (Trailer) from NFB/marketing on Vimeo.

- 마스카라도 금지야
- 마스카라를 해야 속눈썹이 풍성해지는데요?
- 하지 말라면 하지 마

ㅋㅋㅋㅋㅋㅋㅋㅋ<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경찰이 되고 싶다는 주인공 '왈라'는 '발라타 난민촌'에 사는 난민 소녀다. 팔레스타인 서안지구 나블루스에 위치한 발라타 난민촌은 서안지구 난민촌 중에서도 인구밀도가 가장 높고, 이스라엘 군사점령에 맞선 1987년 1차 인티파다(민중봉기)가 처음 발발했던 곳이다. 그만큼 이스라엘군에 많은 이들이 살해당하고 투옥당한 곳이기도 하다. 왈라의 엄마도 이스라엘 감옥에서의 8년간의 수감 생활 끝에 2011년 수감자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풀려났다.

영웅의 딸도 영웅일까? 당연히 그러라는 법은 없다. 팔레스타인에 산다고 누구나 투사가 되는 건 아니다. 다만 엄마가 이스라엘 감옥에 수감돼 있다면 정치적인 문제에 다른 또래보다 더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자연스레 정치 의식화가 많이 된 것 같지만, 근데 십대 소녀 특유의 깨발랄함 때문에 우리가 쉽게 상상하는 형태는 아니다. 왈라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팔레스타인 무슬림 소녀에 대한 전형을 와장창 깨뜨린다.

예를 들어 자치정부 경찰이 되고 싶은 이유는 총을 합법적으로 소지하고 싶어서다 ㅋㅋㅋㅋㅋ 아오 그런 얘기를 멋있게 포장하지 않고 계산 없이 솔직하게 할 수 있는 10대 소녀인 것이다 ㅜㅜ (엄마가 석방된 시점에 왈라는 불과 15살이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이스라엘과의 협약(오슬로 협정)에 따라 자체 군대를 가질 수 없고, 국내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만 있다. 이 경찰을 팔레스타인인 스스로는 soldier라고도 부르는 모양이다. 아랍어 몰라서 정확히 모르겠는데 맥락상으로도 자신들을 군인이라고 표현하는 것 같았지만, 어쨌든 군대는 아니다. 이거 뭐냐고 전에 문의받은 일이 있어서 써봄)

그리고 막상 경찰 지원하러 가서, 신체검사하기 위해서 피 뽑아야 된다니까 무섭다고 엄마 부르고 난리남ㅋㅋㅋ 경찰 신입생 키우는 데서도 사고뭉치 진짜 고등학생들 옹기종기 모여 있는 것 같은 귀여움이 넘쳤다. 맨위에 쓴 것도 그런 일부.. 아니 화장하지 말라는데 다 화장하고 있음ㅋㅋㅋㅋ 아이라이너랑 마스카라도 금지야! 라고 교관이 얘기하니까 "마스카라를 해야 속눈썹이 풍성해진다"고 받아침 어쩌라고 ㅋㅋㅋㅋ 너무 귀여움

다혈질에 물불 안 가리는 것 같지만 그래도 훌륭한 직업인이 된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경찰이라는 것은 이스라엘을 향해 투쟁하는 공적 집단이 아니고 국내 팔레스타인인들의 범죄를 관할하는 공권력이다. 즉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침공과 학살을 규탄하는 집회를 제압하고 이스라엘에 의해 테러범으로 지목된 자들을 체포/감금하는 기관이다(물론 기타 치안 관련 잡범도 잡는다). 이 때문에 가족들과, 특히 투사인 엄마랑 갈등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인 건지는 모르겠다. 그래서 사실 팔레스타인 경찰이 되고 싶은 소녀..라는 시놉시스를 보고 별로 보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았었는데.. 팔레스타인에도 다양한 사람이 다양한 욕망을 갖고 서로 충돌하고 변화하며 살아간다는 너무 당연한 사실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그래도 비판의 여지는 남을 것이고, 가족들이 잘 견인해 주시길..<

영화 초반과 후반에 경찰이 되기 전후의 왈라가 집에서 나와 동네를 걷는 장면이 있는데, 발라타 난민촌은 높은 인구밀도만큼 집들이 붙어 있어서 골목이 한 사람 지나기도 어려울 만큼 좁은 곳도 많고, 그만큼 프라이버시가 없고 삶이 열악한 대표적인 난민촌이다. 영화에서는 군사점령을 정면으로 다루지 않는데, 팔레스타인을, 팔레스타인 사람을 다룬 어떤 영화도 의도하지 않아도 군사점령을 보여주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사람들이 이런 팔레스타인 관련 영화를 많이 봤음 좋겠다.

2018년 EIDF 상영작.

왓챠에도 있고, EIDF 홈페이지에서도 유료로 볼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

넷플릭스 영화 추천 - 거대한 해킹 (10분 요약)

※ 영상 내용을 텍스트로 읽으려면: 디지털 정치의 ‘원자재’로 전락한 인간

- 다큐 거대한 해킹의 핵심, 영국의 빅데이터 업체 '캠브리지 애널리티카'의 내부고발자 '브리트니 카이저'라는 인물이 입체적이고 넘 재밌었음 회사의 중역인데 내부고발자가 된 동기도 넘 웃겨 "너 역사에 이렇게 기록돼도 되겠니?" 친구들이 묻길래 생각해 보니 아님 그래서 동료들 배신ㅋㅋㅋ<

젊은 나이에 자기가 설계한대로 여론이 움직이는 거 보고 얼마나 재밌었을까? 종잡을 수가 없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또 사고칠 것 같다는 걱정도 되고; 찾아보니 니 데이터를 니가 소유하라고 데이터권을 재산권으로 보는 운동을 하고 있던데(#ownyourdata) 유튜브 따오기에서 문제점을 잘 지적했네연 (보면 앎)

- 글고 캠브리지 애널리티카가 페이스북이랑 짬짜미했다는 뉴스는 많이 봤는데 민간군사업체(SCL)가 모회산 줄 몰랐음 이것도 흥미롭다

- 캠브리지 애널리티카가 1세계 정치에 개입하기 전에 3세계에서 이짓 저짓 개짓거리 하면서 실력(!)을 쌓았다고 한다. 그 중에 트리니다드 토바고 사례가 흥미로웠다. 젊은 층의 정치에 대한 염증을 자극하고 선거 보이콧 운동(Do So!)을 벌였는데 인도계/흑인계 젊은이 다 동조했지만 막상 선거날 인도계는 엄빠 성화 때매 선거하러 가야 했다고.. 그래서 캠프리지 애널리티카한테 수주한 인도계 정당이 이겼다고. 이게 넘 흥미로웠음

영화가 막 잘 만든 건 아닌데 내용이 흥미로움 가능하면 영화 보시고 안 되면 따오기 10분 요약만 봐도 핵심은 다 캐치할 듯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