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딸기Smultron staallet, 1957

 

 

연대를 보니 잉마르 베르히만 감독이 29살 정도에 만든 것 같은데 이 노인네... 겉껍데기가 창창할 무렵부터 이미 노인네... 주인공인 70대 할배의 마인드를 고스란히 갖고 있음이 느껴지더라는. 그건 신학을 공부해서일 거라는 숭당의 친절한 설명. 그래도 그렇지 끄악.

 

젊은 시절 약혼녀였던 사라의 환영을 볼 때는 보지 못했던 상처를 보고(형과의 키스) 죽은 아내의 정사 장면은 직접 목격한 기억에 새겨진 상처였다.

라고 지난 번에 썼는데 별로 그다지 아무 생각도 없는 것이다.

 

젊어서 좀 나쁜 사람들이 늙어서 쪼그라들면 약간 불쌍하고 귀엽게 보이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라는 쌩뚱맞은 생각... 이 할배도 의사로서 의도는 아니었어도 자기 아들은 거의 미칠 지경으로 정신적 학대를 가했지만 자기 명예를 소중히 해서 남들에게 평판이 좋은 그냥 위선적인 사람이었다.

 

그런데 늙으니까 그런 건 번데기같이 쪼그라들고 거품의 자리가 불쌍하면서도 쪼금 귀여운 것이... 나만의 감정은 아닐 것이다!!! 라고 한 번 큰소리쳐 본다.

 

 

내용이 너무 재미있어서 아무 생각없이 봤다-_- 약간 스쿠루지 할아범의 모험이랑 비슷하다는 느낌이다. 스쿠르지 할배는 환상이었지만 이 할배는 인생길 반발반발 뒤뚱뒤뚱 걸어가듯 하루를 짚고나서 많이 변했다. 소극이 뭔진 몰라도 왠지 소극일 것같은ㅋ

그래서 아들이랑 관계가 전혀 회복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행복하게 끝난 것같다. 적어도 며늘아기씨는 아버님이 죠타고 뽑뽀해 주지 않던가!

 

그런데 아들 얘기는 정말 무섭고 전체 영화에 낑겨 있다. 잘못 만들었다는 소리가 아니라 그 부분만 튀어나온다고. 아들이 후반부에 며느리의 회상씬에서 갑자기 모습을 나타내는데 아이는 절대 가질 수 없다는 그의 돌출이 영화가 끝나도 매끄럽게 지워지지 않고 까끌까끌하게 남아 있다. 그것에 대해 뭐라고 결론은 못 내리겠다.

 

히치하이커 사라와 내가 과거에 사랑한 사라가 동일인이고 극중에서 닮았다는 것은 패스. 왜냐면 사라는... 너무나 매력이 없었기 때문이다-_-


가정부 할머니 너무 귀여웟!

신승원이 며느리 삼기로 한 마리안느. 지금은 죽었겠지-_-;

참고로 내 며느리는 호미 슈나이더

여기서도 거울 등장... 지젝이 거울같은 거 자꾸 얘기하는데 나는 이제 모르겠다고라...(포기-_-)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