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에서 찾기팔레스타인

10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0/02/05
    다 죽여버리고 싶어 ;ㅁ;(9)
    뎡야핑
  2. 2010/02/02
    [영화] 평화의 씨앗(2)
    뎡야핑
  3. 2010/01/21
    아랍어 장학생(10)
    뎡야핑
  4. 2009/12/26
    2009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나의 활동 결산(7)
    뎡야핑

다 죽여버리고 싶어 ;ㅁ;

글이 날라갔어 ;ㅁ; 다 죽여버리고 싶어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어차피 중요한 글도 아니고.. 그래 머... 내가 쓰는 글따위... 흐규흐규 임시저장기능이 있음 좋겠다 흐규흐규 근데 그거 어렵다구 한다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젠장 나의 글이....ㅜㅜㅜㅜㅜㅜ

 

사진은 몇 년 전에 천국을 향하여라는 영화가 한국에 개봉했을 때, 극장에서 캠페인할 때 찍은 거. 아마 내 폰이었던 듯? 영화는 이스라엘의 점령에 저항하는 팔레스타인 청년들, 특히 폭탄을 몸에 두른 두 남자의 이야기를 그린다. 마음을 정말 단단히 먹고, 굳게 결의하고 폭탄을 두르고 갔는데, 뭔가 착오가 있어서 하루가 남은 거다. 죽기 전 하루의 시간... 좌충우돌 웃기기도 하고 너무너무 슬펐던 기억만 남았네 다시 봐야지

 

영화 배급사와 극장 측에서 흔쾌히 동의해서 극장 안에서 캠페인을 진행했었다. 영화를 돌아가면서 보고, 영화 시작 전, 후의 잠깐 동안 캠페인을 하고, 영화 상영 내내 지루하게 기다렸었지. 그때는 팔연대 멤버들과도 그렇게 안 친했다. ㅎㅎ 오랜 시간을 두고 아주 천천히 친해졌다.

 

이런 관계가 좋다 묵은 사과같은... 왠 묵은 사과 아무말이나 막 지껄여 물론 갑자기 친해지는 관계도 좋다만.

 

저때는 지금보다 뚱뚱했다 다만 스카프를 두르는 것만은 영원히 좋아한다 ㅎ

 

아잉.. 무슨 자료 공유하는 위젯이 있길래 달아보고 내 자료도 올려봤는데 외쿡에 서버가 있어설까? 망했어ㅜㅜㅜㅜㅜㅜㅜ 한참을 업로드 하더니 페이지를 찾을 수 없대 시망 쿼억 퉤!

 

아잉은 귀여운 척 아잉이 아니고 아랍어의 글자 아잉이다 거센 콧소리로 "아잉!!!"해야 한다 그냥 이응이 아니고 쌍이응으로다가 "ㆀㅏ잉!"이다. 한국어 발음에도 쌍이응이 있다 

 

인천 사투리로 꼽히는 게 쩔어, 라는 범국민적 유행어와 '몇 요일', 글구 쌍이응이 있다. 이응 발음이 거센 거져. 근데 아랍어 아잉은 더 거셈 인간이 자기가 낼 수 있는 아잉의 거센 콧소리를 최대치로 출력하면 바로 그것이 아랍어의 아잉임 자매품으로 "거잉!!"도 있다 아잉에 점하나 찍으면 거잉이 됨 이것도 최대치로 콧소리 출력

 

아랍어 숫자는 1, 2, 3, 4,랑 다르다 아라비아 숫자란 말은 개뻥이었어..!!!! 5가 동그라미란 것과 0이 점이란 것만 기억나는군 어차피 뭐 글씨도 잘 못읽고 숙제도 안해가는 것을 후후 숙제해 이 자식아..!!! 한심한 자식 그래도 배우니까, 아랍어를 읽고 쓸 수 있다는 게 놀랍다 근데 나 방금 아랍어를 오타쳐서 알바어라고 쳤다 ㅋㅋㅋㅋㅋㅋ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

[영화] 평화의 씨앗

팔레스타인 내에서는 일자리를 구하기 힘들다. 67년 이스라엘의 점령 이후 실업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민족 자본도 마르고 있다. 그래서 많은 팔레스타인 노동자들이 이주노동자로서 이스라엘에 가서 일한다. 한국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매일 팔레스타인에서 이스라엘로 출퇴근을 한다는 점, 체크포인트(검문소)에서 대기 시간이 얼마나 될지 알 수 없다는 점일까? 허가증이 필요하고, 그들의 노동이 없으면 이스라엘 경제가 굴러갈 수 없다는 점은 한국과 같다.

 

영화 제목인 '평화의 씨앗'은 이스라엘의 한 점령촌의 이름이다. 이스라엘은 점령지역인 팔레스타인 곳곳에 이스라엘인들이 살 마을을 짓고 있으며, 유명 인사들의 비난(오바마, 반기문)이나 국제 사회의 압력(불법 판결, 매년 지속되는 캠페인)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그 수가 급증하고 있다. 매해 점령촌을 표시하는 지도를 보면 불과 2~3년 사이에 얼마나 점령촌이 팽창했는지 알 수 있다(점령촌 지도는 팔연대 사무실에 있다...;)

 

아무튼 이스라엘 기업은 점령촌과 국경 지대에 공장을 짓는다. 여기는 법적으로 이스라엘 영토가 아니라 이스라엘 법이 적용되지 않는 지역이다. 환경법 등의 규제에서 자유로운 것은 물론, 노동법에서도 자유롭다. 팔레스타인 노동자는 이스라엘 노동자가 받는 최저임금의 3분의 1정도 되는 수준의 임금을 받는다. 이스라엘 기업과 이스라엘 국가 경제에 있어, 점령촌 안에 공장을 짓는다는 건 매력적인 일이다.

 

팔레스타인 노동자 입장에서는 이스라엘에 가서 일하려 해도 인티파다(87년, 2000년 두 차례 있었던 팔레스타인 민중 봉기) 이후 이스라엘이 허가증을 발급해주지 않아 일하러 들어가기가 거의 불가능해져서, 점령촌과 국경 지대에서 일할 수 있기를 원한다.

 

팔레스타인 노동자들은 노조를 만들고 이스라엘 노동법을 팔레스타인 노동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최저임금, 산재(근무환경이 참혹한 수준이다) 등. 이스라엘 법원에서도 최저임금을 적용하라는 판결과 입법이 몇 차례 있었다. 팔레스타인 노동자들과 이를 지원하는 이스라엘 노동 운동이 결합한 성과였다

 

-여담으로 팔레스타인 노동조합연맹(?) PGFTU는 정치 싸움에 집중하는 둥 팔레스타인 노동자들에게 외면당하고, 이스라엘의 오랜 노조 운동 기관인 스타드루트도 별 행동이 없고.. '카불 라오베드'라는 이스라엘 측의 새로운 단체가 팔 노동자를 지원한다. 근데 그 활동가가 히잡 쓴 걸로 봐서 아랍계 이스라엘인인 듯... 아님 말고;-

 

그러나 법원의 판결이 있으면 무엇하리? 아무도 이스라엘 기업이 최저임금을 지불하고 있는지 감시하지 않으니 기업이 지불할 리가 없다. 뭐 소기의 성과로 임금이 초큼 올랐다는데 최저임금의 2분의 1도 안 되는 수준. 그러나 이런 임금에 대해 이스라엘도 할 말이 있다. 점령촌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요르단과 팔레스타인에서 벌 수 있는 액수의 3-4배를 번다는 것이다. 근데 그거 누가 그렇게 만든 거늬. 너네들이잖아... 너네들이 남의 경제 망친 거잖아!!!!

 

암튼 이스라엘 노동법을 팔 노동자들에게 적용하라는 요구는 약간의 딜레마에 부딪힌다. 이스라엘 땅이 아닌 곳에 이스라엘 법을 적용한다는 것은, 점령촌을 이스라엘 영토화하는 것이 아닌가? 최종 영토 협상에서(오슬로 협정 때 영토 협상을 애매한 조항을 통해 미래에 맡겨놨다) 이스라엘 법이 적용되던 지역은 이스라엘로 합병되지 않겠는가?

 

이스라엘 노동부 장관이라는 작자도 같은 주장을 한다. 점령촌에 이스라엘 노동법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은, 그곳이 이스라엘의 영토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그러나 이스라엘법이 아니라 국제노동관습법상으로 노동자 권리를 인정할 수 있다. 또 이에 대해 한 논평자는 팔레스타인에 현재 독립 국가가 없으므로 이스라엘의 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나의 경우 노동권이 인정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결국 이스라엘 법을 적용하면 미래에 이스라엘에 흡수되고 말 것이 자명한데, 아아 곤란하구나.. 싶었지만 반다의 경우 이스라엘이 어차피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병합하려 들 것인데 그게 노동권을 인정하지 못할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노동권이 있지만 그래도 내 마음은 걱정스럽다규...ㅜㅡ

 

팔레스타인 노동자 뿐 아니라 민족 자본도 사업하기 겁나 힘들다. 한 기업가의 설명에 의하면 팔레스타인 내수 시장을 이스라엘 상품이 60% 이상 점령하고 있는 이유가 "비용" 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팔레스타인의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상품을 이동시키려면 검문소 5~10개를 지나야 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너무 붙어서 상품가격이 오르는데, 이스라엘의 더 먼 지역에서 팔레스타인 대부분 지역으로는 고속도로가 뻥뻥 뚫려 있고, 어떠한 검문/차단도 없어서 비용이 안 드는 만큼 가격도 저렴해지는 것이다. 

 

마지막에 이스라엘과 외국 자본, 팔레스타인이 협력한 이-팔 합동공업지대라는 것이 나온다. 국경에 이스라엘 공장을 세우고, 상품은 서안 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노동자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다. 이스라엘 법의 적용은 안 받고 상품에는 made in Palestine이라고 붙는다.

 

아랍 지역에는 보이콧 이스라엘 운동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데, 팔레스타인산,으로 둔갑한 이스라엘 상품을 아랍 지역에까지 팔아먹는 조..좋은 기획이다. 합동, 협력 이런 좋은 말로 둔갑한..

 

67년을 다룬 소설을 읽었을 때, 이스라엘 자본가 아래서 함께 일하지만 서로를 이해할 수 없었던 팔레스타인 노동자와 이스라엘 노동자가 함께 싸우기를 간절히 바랬는데.. 지금은 같이 일할 기회는 점점 사라지고, 단결할 일도 없어지고, 임금은 초큼 오를 망정 함께 싸우기는 더 힘들어지고 있다. 아아... 하루 빨리 만국의 노동자는 단결하라규... 훈훈한 결말이다<

 


 

 

* <평화의 씨앗>은 제13회 국제노동영화제에서 상영된 작품이다. 번역자 다다는 내 친구다< ㅎ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